1. 서 론
복합화력발전은 낮은 초기 설치 비용과 높은 효율을 가지며, 천연 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석탄화력 발전에 비해 청정에너지 로 인식되어 해마다 발전 비중이 증가되고 있다[1,2]. 이에 따라 복합 화력발전에 의한 대기오염 기여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LNG 발전시설의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화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LNG 발전은 첨두 부하(peak load)용으로 건설 되기 때문에 설비의 정지 및 기동이 빈번하다[3,4]. 이때 불완전 연소 로 인해 일산화탄소(CO)와 총 탄화수소(THC)가 다량 발생하여 굴뚝 으로 배출될 뿐 아니라 고농도의 질소산화물(NOx) 배출로 황연현상 (yellow plume phenomenon)이 발생한다[2]. 일반적으로 LNG 발전의 정상가동 시 배출되는 NOx 제거를 위해 선택적 촉매환원(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기술이 사용되며, 300~400 °C의 활성 온도 를 가진다[5]. 하지만 정지/기동 시 발생하는 NOx 저감을 위해서는 SCR의 저온활성(150~250 °C)이 요구된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로서 fast SCR 반응은 NO와 NO2의 농도가 동일할 때 기존 SCR보다 반응속도가 빨라져 저온에서도 높은 탈질 효율을 가진다[6,7]. Fast SCR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SCR 공정 전단계에 산화 촉매를 이 용하여 NO 일부를 NO2로 산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때 산화 촉매는 저온에서 고농도로 발생하는 CO와 THC도 함께 산화시켜 인 체에 무해한 CO2와 수증기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촉매산화 반응에 많이 연구된 촉매는 Pt, Rh, Pd 등의 귀 금속계 및 전이금속계로 구분된다[8-10]. 귀금속계 촉매는 낮은 온도 에서 높은 촉매 활성을 보이지만 귀금속의 희소성 및 높은 가격으로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저가이면서 귀금속 촉매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Mn, Cu, Ce 등의 비귀금속계 촉매에 대한 연구가 주 목받아왔다. 이 중 망간산화물은 다가의 금속 이온 상태(Mn2+, Mn3+, Mn4+) 및 풍부한 활성 산소 종으로 우수한 산화 및 환원 활성을 나타 낸다[11,12]. 이러한 망간산화물 촉매의 활성을 더욱 증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양한 금속산화물과 혼합한 망간기반 복합산화물 촉매 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Mn-Cu, Mn-Ce, Mn-Fe, Mn-Co/ CeO2 등의 다양한 복합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연구들에서 망간 이온 과 금속 이온 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냈 다고 보고하였다[11,13-15]. 하지만 Al2O3를 지지체로 사용한 망간기 반 복합산화물 촉매들의 NO, CO 및 CH4의 동시 산화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 CO 및 CH4의 동시 산화를 위해 Al2O3에 담지한 Mn-M (M=Cu, Ce, Fe, Co) 산화물 촉매를 제조하고 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들 촉매 중 가장 산화 활 성이 우수한 촉매에 대해 XRD, Raman, XPS, O2-TPD 등의 분석을 수 행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촉매 상에서 NO, CO 및 CH4 가스가 각 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2. 실 험
2.1. 시료
본 연구에서 사용된 γ-Al2O3 담지 Mn-M 산화물 촉매는 습윤 함침 법으로 제조하였다. Mn과 함께 활성 금속물질로 Cu, Ce, Fe, Co 등을 선택하였으며, 각 물질의 전구 물질로는 Mn(NO3)2·4H2O (Sigma-Aldrich, 97%), Cu(NO3)2·2.5H2O (Sigma-Aldrich, 98%), Ce(NO3)3·6H2O (Sigma- Aldrich, 99%), Fe(NO3)3·9H2O (Sigma-Aldrich, 99%), Co(NO3)2·6H2O (Sigma-Aldrich, 98%)을 사용하였다. 망간 및 활성 금속산화물은 지지 체에 각각 9 wt%와 3 wt%로 담지될 수 있는 양으로서 두 전구물질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γ-Al2O3 (Sigma-Aldrich)에 공침하였다. 이 후 110 °C 오븐에서 12 hr 동안 건조한 다음 550 °C에서 5 hr 동안 공기 로 소성하여 Mn-M/Al2O3 촉매들을 제조하였다. 이들 촉매들은 Mn-Cu/Al2O3, Mn-Ce/Al2O3, Mn-Fe/Al2O3, Mn-Co/Al2O3 등으로 표시 하였다. 또한 9 wt% Mn, 3 wt% Cu 단일물질 담지 촉매도 같은 방법 으로 제조하였으며 Mn/Al2O3, Cu/Al2O3로 표시하였다.
2.2. 특성 분석
제조한 촉매들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X-ray diffraction (Rigaku, MiniFlex 600)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일 및 이종 담지 촉매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aman spectroscopy (Horiba, LabRAM HR Evolution Visible_NIR) 분석을 수행하였다. 활성 금속의 산화 상 태를 확인하기 위해 XPS (Shimadzu, Kratos AXIS Nova) 분석을 수행 하였다. 제조한 촉매들의 O2 흡착능을 평가하기 위해 O2-TPD 분석을 수행하였다. 반응기에 1.5 g의 촉매를 충진하고 400 °C에서 N2로 전 처리하여 촉매 내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후, 50 °C에서 공기(21% O2, 79% N2)를 공급하면서 1 hr 동안 촉매에 O2를 흡착시켰다. 이후 상온 에서 N2로 30 min 동안 퍼징하여 물리 흡착된 O2를 제거하였다. O2-TPD 분석은 N2를 30 cc/min로 주입하면서 10 °C/min의 승온 속도 로 820 °C까지 승온하면서 GC-TCD (Shimadzu, GC 2014)로 반응물 의 탈착량을 측정하였다.
2.3. 반응 실험
제조된 촉매의 NO, CO 및 CH4의 동시 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장치도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실험 장치는 가스주입 장치, 촉 매 반응기, 가스분석 장치로 구성된다. 반응기에 주입되는 가스는 MFC (Mass Flow Controller. Brooks)를 이용하여 200 ppm NO, 1000 ppm CO, 1000 ppm CH4, 10% O2, N2 balance로 조절되었다. 수분 공 급은 O2가 물이 충진되어 있는 버블러를 통과시켜 10%의 수분을 함 유하도록 하였다. 가스의 총 유량은 800 ml/min로 유지되어 반응기로 유입되며, 공간 속도는 15000 hr-1로 고정하였다. 촉매는 50-70 mesh 크기로 체거름한 다음 직경 25 mm, 높이 250 mm의 석영반응기 내 석영 솜으로 고정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는 150~500 °C 범위에서 50 °C 간격으로 승온하였으며, 각 온도에서 30 min 이상 유지한 다음 가 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반응가스 분석을 위해 반응기를 통과한 가스 들을 냉각 트랩에 통과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분석기에 주입되었다. NO 및 CO 농도는 Flue gas analyzer (Ecom, MK3000, Germany)을 이 용하고, CH4 농도는 GC-FID (Shimazu, GC 2010)를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Mn/Al2O3 및 Mn-M/Al2O3 촉매의 CO, NO 및 CH4의 동시 산화
Mn/Al2O3 촉매와 4 종의 Mn-M/Al2O3 촉매들의 CO, NO 및 CH4 동 시 산화 활성 결과를 각각 Figure 2A, 2B, 2C에 나타내었다. CO 산화 활성은 반응온도 전 구간에서 Mn-Co/Al2O3 < Mn-Fe/Al2O3 < Mn-Ce/ Al2O3 < Mn/Al2O3 < Mn-Cu/Al2O3 순으로 나타났고, NO 산화 활성은 250~350 °C에서 Mn-Co/Al2O3 < Mn-Fe/Al2O3 < Mn/Al2O3 < Mn-Ce/ Al2O3 < Mn-Cu/Al2O3 순으로 나타났다. Figure 3은 Figure 2A와 2B의 CO 및 NO 전환율 그래프로부터 산출한 T50 (전환율 50%의 반응 온 도)이다. 5 종의 촉매 가운데 Mn-Cu/Al2O3 촉매가 가장 높은 CO 및 NO 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CO 산화 활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한편 Figure 2C에 나타냈듯이 5 종 촉매 모두 400 °C 이하에서 CH4 산화 활성이 없었으며, 500 °C에서조차 Mn-Cu/Al2O3 촉매의 CH4 산 화율이 30% 정도에 불과하였다.
Figure 4는 Mn/Al2O3 촉매와 4 종의 Mn-M/Al2O3 촉매들의 XRD 회 절도이다. Figure 4(a)의 Mn/Al2O3 촉매의 XRD 회절도에서는 γ -Al2O3, MnO2 및 Mn2O3 등의 결정 피크가 나타났다. Figure 4(b), (c), (d)의 Mn-Fe/Al2O3, Mn-Co/Al2O3, Mn-Ce/Al2O3 촉매들의 XRD 회절 도에서는 MnO2 및 Mn2O3와 공침 금속의 산화물인 Fe2O3, Co3O4, CeO2에 해당하는 결정 피크를 볼 수 있다. 이는 Mn과 함께 담지된 Fe, Co, Ce 등은 지지체 결정 표면에서 각각의 산화물 상태로 존재함 을 의미한다. 반면 Figure 4(e)의 Mn-Cu/Al2O3 촉매의 XRD 회절도에 서는 Mn 산화물과 Cu 산화물의 결정 피크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Mn-Cu/Al2O3 촉매의 경우에는 담지 물질이 무정형의 Mn-Cu 복합산 화물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Mn-Cu 공 침 산화물 촉매에서는 Mn과 Cu 결합 간의 전자 이동으로 촉매 활성 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된다[16,17]. 따라서 Figure 2에서 보여준 바 와 같이 Mn-Cu/Al2O3 촉매가 가장 우수한 동시 산화 활성을 갖는 것 은 생성된 Mn-Cu 복합산화물에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Mn-Cu/Al2O3 촉매를 제외한 다른 3 종의 Mn-M/Al2O3 촉매들 특히 Mn-Fe/Al2O3과 Mn-Co/Al2O3 촉매들의 낮은 CO 및 NO 산화 활성은 Mn-Fe 및 Mn-Co 복합산화물의 생성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3.2. Mn-Cu/Al2O3 촉매의 특성분석
4 종의 Mn-M/Al2O3 촉매들 가운데 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Mn-Cu/Al2O3 촉매에서 Mn과 Cu의 결합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Raman 분석을 수행하고 Figure 5에 나타내었다. Figure 5(a)의 Mn/Al2O3 촉매의 Raman 스펙트럼에서는 MnO2 및 Mn2O3 구조에 기 인한 Mn-O 결합 밴드가[18-20] 각각 531 cm-1와 214, 653, 699 cm-1에 서 나타났다. 이러한 Mn/Al2O3 촉매에 대한 Raman 분석 결과는 앞서 XRD 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Figure 5(b)의 Cu/Al2O3 촉매의 Raman 스펙트럼 경우에는 Raman 신호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ure 5(c)의 Mn-Cu/Al2O3 촉매의 Raman 스펙트럼은 Mn/Al2O3 촉매와 달리 넓은 단일 밴드 형태를 보였으며, Mn-O 결합 밴드는 516 cm-1와 647 cm-1 에서 나타났다. Mn-Cu/Al2O3 촉매에서 Mn-O 결합 밴드의 파수(wave number)가 Mn/Al2O3 촉매와 비교하여 다소 작아진 것은 Mn-O 결합 길이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21]. Fan 등[11]은 Mn 원자보다 반경이 작은 Cu 원자가 Mn 산화물 격자에 삽입되어 Mn-O-Cu 구조가 생성된 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Mn-Cu/Al2O3 촉매의 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 는 넓고 커다란 밴드는 Mn과 Cu가 함께 담지되면서 생성된 Mn-Cu 복합산화물의 Mn-O-Cu 결합과 관련된다고 판단된다.
Mn-Cu/Al2O3 촉매와 Mn/Al2O3 및 Cu/Al2O3 촉매에 대한 XPS 분석 결과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Figure 6A에서 Mn/Al2O3 촉매의 Mn 2p3/2 결합에너지 피크는 Mn3+ (641.1 eV) 피크와 Mn4+ (643.6 eV) 피 크로[17,22] 분리되었다. Mn-Cu/Al2O3 촉매에서 Mn 2p3/2 결합에너지 는 Mn/Al2O3 촉매에 비해 약간 증가했으며, 그 결과 Mn 2p3/2 결합에 너지는 641.7 (Mn3+)와 643.9 eV (Mn4+)로 분리되었다. Figure 6B의 Cu/Al2O3 촉매에서 Cu 2p3/2와 2p1/2의 결합에너지는 각각 933.4와 953.2 eV로서 둘 다 Cu2+를 나타낸다. 반면, Mn-Cu/Al2O3 촉매에서는 Cu2+에 해당하는 피크는 감소하는 대신, Cu+에 해당하는 피크가 931.4 와 951.1 eV에서[11] 나타났다. Figure 6C의 O 1s 결합에너지 피크는 3 촉매 모두에서 격자 산소(Olattice) 피크와 표면 흡착산소(Oads) 피크로 [22] 분리되었다. Table 1은 Figure 6의 XPS 스펙트럼을 통해 얻은 각 원자의 산화 상태별 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Mn-Cu/Al2O3 촉매는 Mn/Al2O3 또는 Cu/Al2O3 촉매에 비해 Mn4+ 및 Cu+ 비율이 증가하였 다. Xuen 등[23]에 따르면 Mn-Cu 촉매에서 MnCuOx 고용체의 형성 및 Mn과 Cu의 전자 이동이 존재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Mn-Cu/Al2O3 촉매는 Mn-Cu 복합산화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Mn3+ 와 Cu2+ 사이 전자의 수수가 일어남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Table 1을 보면 Mn-Cu/Al2O3 촉매는 Mn/Al2O3 및 Cu/Al2O3 촉매에 비해 흡착산 소 종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Mn 이온과 Cu 이온은 이온 반경과 전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Mn-O-Cu 결합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전 하 불균형과 산소 공석이 발생할 수 있다[17,23]. 결국 Mn-Cu/Al2O3 촉매에서는 촉매 제조 시 생성되는 Mn-Cu 복합산화물의 Mn-O-Cu 격 자 구조에서 산소 공석이 형성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산소 공석은 기체 산소분자의 흡착을 촉진함으로서 촉매표면 흡착산소 종을 증가 시키고 촉매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n-Cu/Al2O3 촉매 내 활성 산소 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O2-TPD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Figure 7에 나타내었다. O2-TPD 프로 파일에서 탈착 피크는 물리흡착 산소(O2(ads)), 화학흡착 산소(O2-(ads)), O-(ads)), 격자 산소(O2-(lattice)) 순서로 나타난다[24]. Figure 7을 보면 모 든 촉매에서 물리흡착 산소의 탈착 피크는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흡 착 산소의 탈착 피크는 Figure 7(a)의 Mn/Al2O3 촉매에서는 421, 551 °C에서 나타난 반면, Figure 7(b)의 Cu/Al2O3 촉매에서는 탈착 피크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Figure 7(c)의 Mn-Cu/Al2O3 촉매에서는 Mn/Al2O3 촉매에 비해 100 °C 이상 낮은 308 °C에서 탈착 피크가 출 현했으며, 화학흡착 산소의 탈착 피크 면적 즉 화학흡착 산소량도 Mn/Al2O3 촉매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O2-TPD 결과는 Mn-Cu/Al2O3 촉매의 경우 Mn/Al2O3와 Cu/Al2O3 촉매에 비해 산소가 쉽게 촉매 표면에서 탈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표면 흡착산소 종이 더 많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XPS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화학흡착 산 소 종은 산화 반응에 참여하기 쉽기 때문에 촉매 산화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5,26]. 한편, Figure 7(c)를 보면 Mn-Cu/Al2O3 촉매의 600 °C 이상에서 나타나는 격자 산소의 탈착량은 Mn/Al2O3와 Cu/Al2O3 촉매에 비해 증가했지만, 높은 온도에 기인하여 150~500 °C 구간의 산화 반응에는 영향이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3.3. CO, NO 및 CH4이 다른 가스의 촉매 산화에 미치는 영향
CO, NO 및 CH4의 동시 촉매 산화에서 한 가스가 다른 가스의 산화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n-Cu/Al2O3 촉매 상에서 주입 가스 를 달리하면서 산화 반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Figure 8에 나타내었 다. Figure 8A에 나타낸 CO 전환율은 150~200 °C 구간에서 주입 가 스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NO가 존재하면 CO 전환율은 10~22% point 증가했지만, CH4은 CO 전환율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못했다. 200 ppm의 NO와 1000 ppm의 CH4이 동시에 존재하면 CO 전 환율은 NO만 존재할 때와 비슷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 촉매 산화에 NO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8B에 나타낸 NO 전환율은 150~300 °C, 350~400 °C, 450 °C 이상에 서 추가 유입 가스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CO가 존재하면 NO 전환율은 150~300 °C에서는 10~25% point 감소했지만, 350 °C 이상에서는 4~5% point 감소하였다. CH4이 존재하면 NO 전환율은 150~300 °C에서는 2% point 정도 감소에 그친 반면, 350~400 °C에서 는 10~12% point 그 이상에서는 4% point 정도 감소하였다. CO와 CH4이 동시에 존재하면 NO 전환율은 모든 온도 구간에서 CO만 존재 할 때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Figure 8C에서 보여주듯이 Mn-Cu/Al2O3 촉매의 CH4 산화 활성은 400 °C 이상에서 나타나는데, CO가 존재하면 CH4 전환율은 CO가 존재할 때 3~4% point 감소하였 다. 반면, NO만 존재하거나 NO와 CO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CH4 전환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Figure 8의 결과를 정리하면, Mn-Cu/Al2O3 촉매 상에서 NO의 존재 는 CO 산화 활성을 촉진하며, CO 및 CH4은 NO 산화 활성을 저하하 였다. Al-Harbi 등[27]은 NO 산화로 생성된 NO2는 산화성이 크기 때 문에 CO 및 HC를 산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Figure 8C의 결 과처럼 NO에 의한 CH4 전환율의 증가는 미미했는데, 이는 CH4의 촉 매 산화 온도가 높아서 NO2에 의한 CH4 산화 반응이 활성화되지 못 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igure 8B의 결과처럼 CH4에 의한 NO 산화의 억제는 NO 산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NO2가 CH4에 의해 NO로 다시 환원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CO와 CH4의 경우 상대 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는 작지만 분명히 존재하였다. 이는 Mn-Cu/Al2O3 촉매 상에서 CO와 CH4 분자의 경쟁 반응이 존재하지만, CO와 CH4의 촉매 활성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 효과가 크게 발현되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Mn-Cu/Al2O3 촉매 를 복합화력 발전의 기동/정지 시 fast SCR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산 화 촉매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CO에 의한 NO 산화 억제 효 과를 감소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 결 론
Mn-Fe/Al2O3, Mn-Co/Al2O3, Mn-Ce/Al2O3, Mn-Cu/Al2O3 등 Mn-M/ Al2O3 촉매 4 종과 Mn/Al2O3 촉매를 제조하고 NO, CO 및 CH4의 동 시 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동시 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Mn-Cu/Al2O3 촉매에 대해 특성 분석하였다. 아울러 Mn-Cu/Al2O3 촉매 상에서 NO, CO 및 CH4 가스가 다른 가스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5 종의 촉매들 가운데 Mn-Cu/Al2O3 촉매가 CO, NO 및 CH4 산화 모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5 종의 촉 매들의 XRD 분석 결과, Mn-Cu/Al2O3 촉매는 담지한 금속들의 복합 산화물이 존재하였다. Mn-Cu/Al2O3 촉매의 Raman 분석 결과, Mn-O 결합에 기인하는 라만 신호가 Mn/Al2O3 촉매에 비해 크게 달라졌는 데 이는 Mn-Cu 복합산화물의 Mn-O-Cu 결합 형성과 관련한다고 판단 된다. XPS 분석 결과, Mn-Cu/Al2O3 촉매는 Mn/Al2O3 촉매에 비해 Mn4+ 비율이 증가하고 Cu/Al2O3 촉매에 비해 Cu+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는 Mn-Cu 복합산화물 생성 과정에서 Mn 이온과 Cu 이온 간의 전 자 수수가 일어났다고 판단된다. 또한 XPS O 1s 분석 및 O2-TPD 분 석 결과, Mn-Cu/Al2O3 촉매의 흡착산소 종은 Mn/Al2O3 촉매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Mn-Cu/Al2O3 촉매의 높은 산 화 활성은 산화 반응 참여가 용이한 흡착산소 종이 많음에 기인한다 고 볼 수 있다. Mn-Cu/Al2O3 촉매 상에서 주입 가스를 달리하면서 NO, CO, CH4의 동시 산화 반응을 실시한 결과, NO는 CO 및 CH4 산 화를 촉진하는 반면 NO 산화는 CO와 CH4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는 NO의 산화로 생성된 NO2가 CO 및 CH4의 산화제로 사용되기 때문으 로 추측된다. 또한 CO와 CH4의 산화는 경쟁 반응으로 보이지만 산화 활성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의 산화 억제 효과는 두드러지지 않 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