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3 No.3 pp.272-278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2.1019

Extraction of Natural Emulsifier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Optimization using CCD-RSM

Seheum Hong, Seung Bum Lee*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Gyeonggi 16890, Korea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Gyeonggi 16890, Korea
Corresponding Author: Dankook Universit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Gyeonggi 16890, Korea Tel: +82-31-8005-3559 e-mail: leesb@dankook.ac.kr
April 13, 2022 ; May 6, 2022 ; May 9, 2022

Abstract


In this study, natural emulsifiers were extracted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The extraction yield using CCD-RSM and the extraction process of foaming stability of the extracted product were optimized and 95% confidence interval was us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reasonableness of the optimization. Herein, independent parameters were the ethanol volu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whereas reaction parameters were the extraction yield and foaming stability. Under the condition of 53.5 vol% ethanol and extraction temperature (70.9 °C), the maximum yield and foaming stability of the extracted product from Medicago sativa L were predicted as 26.2 wt% and 44.5%, respectively. In the case of the extraction from Sapindus saponaria L, the maximum yield and foaming stability were expected to be 31.9 wt% and 47.5%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including 60.4 vol% of ethanol and extraction temperature (72.4 °C). The average experimental error for validating the accuracy was about 3.4(± 0.3)% and 5.0(± 0.04)% for the extraction processes from Medicago sativa L. and Sapindus saponaria L., respectively.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의 추출: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홍 세흠, 이 승범*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부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여 CCD-RSM을 이용한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관한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으며,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독 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출온도, 반응치로는 추출수율과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로 설정하였다. 주정/초순 수 부피비 53.5 vol%, 추출온도 70.9 °C인 최적조건 하에서 알팔파 추출공정의 최대 추출수율은 26.2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4.5%로 예측되었다.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의 경우, 최적조건인 주정/초순수 부피비 60.4 vol%, 추출온도 72.4 °C에서 최대 추출수율은 31.9 wt%, 추출물의 최대 거품안정도는 47.5%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최적화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에 대한 각각의 평균 오차율은 3.4(± 0.3)% 및 5.0(± 0.04)%로 나타났다.



    1. 서 론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에서 삶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불안 정한 생활 리듬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로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안전성 및 피부개선의 효능이 우수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화장품 제형 에 사용되는 기존의 합성유화제가 아닌 천연원료로부터 추출된 천연 유화제의 개발 및 이를 사용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1-2].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계면활성 성분이 함유된 알팔파(Medicago sativa L.)와 무환자나무열매(Sapindus saponaria L.)를 이용하여 천연 유화제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알팔파는 이란, 아제르바이잔, 터키 등 의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콩과 식물의 일종으로서 신장혈관 질병 및 골다공증 등에 대한 훌륭한 예방효과와 항균 및 방부기능, 비 누 및 세제와 같은 계면활성 기능 등으로 인하여 민간요법으로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었으며 의약, 제약,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 고 있다[3-4]. 또한 무환자나무열매 역시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 포하는 식물로서 해열, 거담, 인후통, 기침 등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 능이 있으며, 피부 미백과 여드름 및 피부질환에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와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 를 추출하여 화장품 제형에 적합한 천연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알 아보고자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을 이용하여 알 팔파와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는 공정을 최적화 하고자 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은 효과적인 실험설계 방법의 일종으 로서 실제의 실험을 통하여 얻은 실험데이터에 대해 회귀분석을 진행 하여 독립변수와 반응치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6], 최소한의 실험으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어 화학공업, 생명 과학, 식품제조, 화장품제조 등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 다[7-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CD-RSM을 수행하기 위한 독립변수 f로 추출용매의 조성과 추출온도를, 반응치는 알팔파와 무환자나무열 매의 추출수율과 추출된 천연유화제의 계면활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거품안정도로 설정하였다.

    2. 실험방법

    2.1.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의 추출

    본 연구에서 천연유화제를 추출하기 위한 천연물질로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를 선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알팔파와 무환자나무 열매는 건조과정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용매로는 초순수 (Vivagenen EXL-III)와 95% 주정(Daehan Ethanol Life Co.)을 이용하 였다. 추출용매 400 mL를 기준으로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의 양 을 10 g으로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냉동건조법(freeze drying method)을 이용하여 수율을 측정하였다. 추출된 천연유화제는 여과과 정을 거친 후 진공증류를 통하여 농축한 후 –10 °C에서 6 h 동안 1차 동결하였다. 동결된 시료는 냉동건조장치(LP3, Jouan, France)에서 0.1 mbar, -40 °C에서 24 h 동안 건조하였다.

    2.2. 천연유화제의 계면활성능 평가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추출된 천연유화제의 계면활성능은 거품안정도(forming stability)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냉동건조 후 천 연유화제 0.5 g를 1 mL의 물속에 혼합시킨 후 water bath (SL-WB6D, Sunil Science Co., Ltd)을 이용하여 40 ± 0.5 °C로 예열하여 22 × 150 mm 규격인 유리시험관(Cap Test Tube, Samwoo Kurex Co., Ltd)에 주 입하였다[9]. 거품안정도는 충분히 진탕한 후 수용액 위에 형성된 거 품의 높이와 10분간 방치한 후 거품의 높이를 비교하여 식(1)을 사용 하여 계산하였다. 거품안정도가 높을수록 유화제의 계면활성능이 우 수한 것으로 판단한다. 실험 결과의 정확성을 위하여 모든 측정 데이 터는 5번 반복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Foaming Stability ( % ) = ( H ( f i n a l ) H I n i t i a l ) × 100 ( % )
    (1)

    여기서 H(Initial)은 초기 진탕 후 거품의 높이, H(final)은 10분간 방치 후 거품의 높이를 나타낸다.

    3. 결과 및 고찰

    3.1. 천연유화제 추출을 위한 CCD-RSM의 설계

    본 연구에서 알팔파와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한 후 CCD-RSM를 이용하여 추출수율 및 천연유화제의 거품안정도를 최적화하였다. CCD-RSM 독립변수 범위는 기초실험을 통하여 알팔 파의 경우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45~60 vol%, 추출온도는 65~75 °C, 무환자나무열매의 경우에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50~70 vol%, 추출온도는 70~80 °C의 조건에서 1 h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공정의 최적화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CCD-RSM을 이용하여 Table 1과 같이 13개의 실험을 설계하였으며, 실제실험을 진행한 후 결과데이터를 이 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3.2. 알팔파로부터 천연유화제 추출을 위한 CCD-RSM의 최적화

    CCD-RSM에 의해 알팔파로부터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의 추출수율에 대한 반응표면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Y = 210.0 + 3.226 x 1 + 4.155 x 2 0.02989 x 1 2 0.02901 x 2 2 + 0.00009 x 1 x 2
    (2)

    여기서 Y는 추출공정의 추출수율이며,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 의 부피비(x1)와 추출온도(x2)로 설정하였다. 회귀방정식에 따라 각 독 립변수의 주효과도는 각 독립변수의 계수비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 비 : 추출온도 = 1.00 : 1.29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출수율에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 독립변수의 영향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추출온도가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보다 다소 크게 나타났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Figure 1과 같이 등고선도를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그림에서와 같이 추출수율에 대한 두 가지 독립변수의 영향 수준은 서로 접근하며, 최 대의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은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의 경우 51~57 vol%, 추출온도는 67.5~72.5 °C 범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CCD-RSM을 이용하여 추출수율 만을 대상으로 최적화한 결과 주 정/초순수의 부피비는 54.1 vol%, 추출온도는 71.6 °C로 산출되었다. 또한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유화제의 계면활성능 분석을 위해 거 품안정도를 측정한 경우, CCD-RSM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 식을 얻을 수 있었다.

    F = 994 + 17.72 x 1 + 15.94 x 2 0.1643 x 1 2 0.1116 x 2 2 0.0022 x 1 x 2
    (3)

    여기서 F 는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이고, 독립변수로는 주정/초순수 의 부피비(x1)와 추출온도(x2)로 설정하였다. 회귀방정식에 따라 각 독 립변수의 주효과도는 각 독립변수의 계수비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 비 : 추출온도 = 1.11 : 1.00로 나타났다. Figure 1과 같이 알팔파로부 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한 공정에서 두 가지 독립변수가 추출물의 거품 안정도에 대한 영향 수준은 서로 접근하며 최대 거품안정도를 얻을 수 있는 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54 vol%, 추출온도는 70.0~72.5 °C 범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CD-RSM을 이용하여 추 출물의 거품안정도만을 대상으로 최적화한 결과 주정/초순수의 부피 비는 53.5 vol%와 추출온도는 70.9 °C로 산출되었다.

    위에서 수행한 최적화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최적화 수행 과 정 중 이용한 목적함수의 합리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Figure 2와 같이 CCD-RSM에 의한 실험설계로부터 얻어 진 실제의 결과 데이터에 대한 95% 신뢰구간 내에서의 분포상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고찰은 통계학적 normal distribution 이론에 관한 데이터의 총 수(N), 평균값, 표준편차(stDEV), AD값(Andersondarling), P-value 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CCD-RSM에 의해 설계 된 총 실험횟수(N)는 13회이다. 표준편차는 데이터들의 분산상황을 표시하는 척도로서 이 값이 작을수록 데이터들 간의 분산 분포도는 작아지는 것으로 판단한다[10]. 또한 데이터 예상 분포구간 내에서의 분포균일정도는 AD값으로 판단한다. AD값이 작을수록 해당 분포구 간 내에서 데이터가 더욱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것을 뜻한다[11]. P-value는 고찰된 데이터가 목표분포구간 내에서 만족하는가를 확인 하는 척도이다. 즉, 해당 회귀방정식이 정규분포에 만족되는지를 확인 하는 척도로서 95% 신뢰구간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0.05를 기 준으로 비교 판단한다. P-value > 0.05인 경우 데이터들이 목표분포 에 만족된다. 반대로 P-value < 0.05인 경우 데이터들이 목표분포에 만족하지 못하여 해당 회귀방정식은 통계학적으로 합리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2에 알팔파로부터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의 추 출수율과 거품안정도에 대한 통계학적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CCD-RSM에 의해 설계된 실험을 통하여 얻은 추출수율에 관한 평균 값은 24.53, 표준편차는 1.529, AD값은 0.546으로 나타났다. P-value 는 0.128로 0.05보다 크기 때문에 회귀방정식 정규분포에 만족하는 것 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거품안정도를 분석한 경우, 실험설계로부터 데 이터의 평균값은 36.97이고, 표준편차는 7.780이었다. 또한 AD값은 0.558, P-value는 0.119로 0.05보다 크기 때문에 회귀방정식 정규분포 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D-RSM 을 적용하여 알팔파로부터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에 대한 최적화 결과 는 총체적으로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두 가지 반응치인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관한 회귀방정식은 모두 정규분 포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천연식물인 알팔파의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에 대한 추출공 정에 대한 효율 및 추출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출수율 및 거품안정도를 각각 최적화하였다. 위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두 가 지 반응치를 대상으로 산출된 회귀방정식은 모두 정규분포에 만족하 며 최적화과정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두 개의 독 립변수 및 두 개의 반응치를 함께 고려하여 추출공정의 수율 및 추출 물의 거품안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다중반응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두 개의 반응치를 대 상으로 산출된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다중반응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그래프를 통해 두 개의 반응치를 동시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53.5 vol%, 추출온 도 70.9 °C로 산출되었으며, 해당 조건에서 얻을 수 있는 추출수율은 26.1 wt%, 거품안정도 44.6%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해당 조건 하에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추출공정의 추출 수율은 25.3 wt%, 거품안정도는 43.0%로서 오차율은 각각 3.2%와 3.7%이였다.

    3.3.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 추출을 위한 CCD-RSM의 최적화

    무환자나무열매부터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의 추출수율에 대한 반응 표면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Y = 212.8 + 4.933 x 1 + 2.483 x 2 0.03422 x 1 2 0.01275 x 2 2 0.00947 x 1 x 2
    (4)

    회귀방정식에 따라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는 각 독립변수의 계수 비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 추출온도 = 1.99 : 1.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출온도보다 주정/초순수의 부피비가 추출수율에 보다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CD-RSM을 이용하여 추출수 율 만을 대상으로 최적화를 진행한 결과, 추출공정의 최적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61.9 vol%, 추출온도는 74.4 °C로 산출되었 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Figure 4와 같이 등고선도를 작성하여 분석하 였다. 그래프 분석 결과를 통하여 추출수율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가 추출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크게 나타났 다. 최대 추출수율을 얻을 수 있는 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는 60~65 vol%, 추출온도는 70~75 °C로 나타났다. 이는 예측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추출한 천연유화제의 거품안정도를 분석하여 CCD-RSM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을 산출하였다.

    F = 183.6 + 3.31 x 1 + 3.74 x 2 0.02962 x 1 2 0.02712 x 2 2 + 0.0025 x 1 x 2
    (5)

    회귀방정식에 따라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는 각 독립변수의 계수 비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 : 추출온도 = 1.00 : 1.3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가지 독립변수가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끼치는 영향 정도 는 큰 차이가 없지만 추출온도가 거품안정도에 다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CD-RSM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거품안정도 에 대한 최적화를 진행한 결과, 추출공정의 최적조건으로서 주정/초순 수의 부피비는 59.0 vol%, 추출온도는 71.6 °C로 산출되었다. 이를 확 인하기 위해 Figure 4에서와 같이 무환자나무열매에 관한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에서 두 가지 독립변수가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끼치는 영 향수준은 서로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의 거품안정도를 얻을 수 있는 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60 vol%, 추출온도는 70 °C 범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측 결과와 상당히 일치하였 다.

    위의 최적화 수행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Figure 5와 같이 CCD-RSM에 의한 실험설계로부터 얻어진 실제의 결과 데이터에 대 한 95% 신뢰구간 내의 분포상황을 고찰하였다. 무환자나무열매에 대 한 추출공정의 추출수율과 거품안정도에 대한 통계학적 평가결과를 나타내었다. CCD-RSM에 의해 설계된 총 13회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추출수율에 대한 평균값은 28.72, 표준편차는 3.393, AD값은 0.719, P-value는 0.050으로 회귀방정식 정규분포에 만족하는 조건임을 알 수 있다. 거품안정도 분석의 경우, 실험설계부터 얻어진 13개 데이터의 평균값은 44.18, 표준편차는 3.325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 에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출하는 공정에서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대한 최적화 효과는 상대적으로 뚜렷한 것으로 판단하 였다. 또한 AD값은 0.701, P-value는 0.051로 회귀방정식 정규분포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D-RSM을 이용하여 무환자나무열매 추출공정에 대한 최적화 결과는 총체적으 로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두 가지 반응치인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대해 얻어진 회귀방정식은 모두 정규분포 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천연식물인 무환자나무열매의 천연유화제 추출공정에 대한 효율 및 추출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출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를 각각 최적화하였다. 위의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두 가 지 반응치를 대상으로 산출된 회귀방정식은 모두 정규분포에 만족하 며 최적화 과정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추출공정의 수율 및 추출물의 거품안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며, 두 개의 독립변 수 및 두 개의 반응치를 함께 고려한 다중반응 최적화를 수행하기 가 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반응치를 대상으로 산출된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다중반응을 수행하여 그 결과는 Figure 6 에 나타내었다. 그래프에서와 같이 두 개의 반응치를 동시 최대화시 킬 수 있는 조건으로서 주정/초순수의 부피비는 60.4 vol%, 추출온도 는 72.4 °C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조건 하에서 얻을 수 있는 추출수율 의 최대값은 31.9 wt%, 거품안정도의 최대값은 47.5%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조건 하에서 실제의 실험을 진행 한 결과, 추출수율은 30.4 wt%, 거품안정도는 45.1%로 나타났다. 평 균 오차율은 5.0(± 0.3)%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 및 무환자나무열매로부터 천연유화제를 추 출하였다. CCD-RSM을 이용하여 추출공정의 효율 및 추출물의 기능 성에 대한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알팔파를 원료로 이용한 추출공정을 수행한 경우, 두 가지 독립 변수인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출온도가 반응치인 추출수율 및 추 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끼치는 영향은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95%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두 가지 반응치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는 모 두 통계학적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의 독립변수와 두 개의 반응치를 동시에 고려한 다중반응 최적화를 수행하여 주정/초순 수 부피비는 53.5 vol%, 추출온도는 70.9 °C인 최적조건으로부터 예 측된 알팔파 추출물에 대한 최대의 추출수율은 26.2 wt%, 거품안정도 의 최대값은 44.5%로 예측되었다. 이 예측 결과 값의 정확성을 확인 하기 위해 동일 조건 하에서 실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실제실험의 결 과와 예측결과 간의 평균 오차율은 3.4 (± 0.3)%로 낮게 나타났다.

    2. 무환자나무열매를 원료로 이용한 추출공정을 수행한 경우, 추출 수율에 끼치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의 영향이 추출온도보다 크게 나 타났으며, 추출물의 거품안정도에 끼치는 주정/초순수의 부피비와 추 출온도의 영향은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95% 신뢰구간을 이용 하여 두 가지 반응치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는 모두 통계학적 합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의 독립변수와 두 개의 반응치를 동시에 고려하여 다중반응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 주정/초순수 부피비는 60.4 vol%, 추출온도는 72.4 °C인 최적조건으로부터 예측된 무환자나무열 매의 추출물에 대한 최대의 추출수율은 31.9 wt%, 거품안정도의 최대 값은 47.5%로 예측되었다. 이 예측 결과 값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 해 동일 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험의 결과와 예측 결과 간의 평균 오차율은 5.0 (± 0.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팔파와 무환자나무열매의 추출물은 모두 비 교적 우수한 거품안정도를 보임으로서 천연유화제로서의 응용 가능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Figures

    ACE-33-3-272_F1.gif
    3D surface and contour graph of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Medicago sativa L.
    ACE-33-3-272_F2.gif
    Scatter plot in 95% confidence interval of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Medicago sativa L.
    ACE-33-3-272_F3.gif
    Optimization graph of response surface for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Medicago sativa L.
    ACE-33-3-272_F4.gif
    3D surface and contour graph of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Sapindus saponaria L.
    ACE-33-3-272_F5.gif
    Scatter plot in 95% confidence interval of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Sapindus saponaria L.
    ACE-33-3-272_F6.gif
    Optimization graph of response surface for yield and foaming property of extraction process from Sapindus saponaria L.

    Tables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f Two Variables and Corresponding Response Values

    References

    1. K. Ogino and M. Abe, Mixed surfactant systems: Solution properties of anionic-nonionic mixed surfactant systems, Marcel Dekker, Inc., 1-23 (1992).
    2. E. Gawel and M. Grzelak, Lucerne(Medicago sativa L.) in the human diet-Case reports and short reports, J. Herb. Med., 10, 8-16 (2017).
    3. Z. Bialy, M. Jurzysta, W. Oleszek, S. Piacente, C. Pizza, and J. Agric, Saponins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Root and Their Structural Elucidation, J. Agric. Food. Chem., 47, 3185-3192 (1999).
    4. X. G. Liu, Y. Q. Sun, J. Bain, T. Han, D. D. Yue, D. Q. Li, and P. Y. Gao, Neuroprotective effects of triterpenoid saponins from Medicago sativa L.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SHSY5Y cells, Bioorg. Chem., 83, 468-476 (2019).
    5. F. Rodrigues, P. D. Oliveria, J. Neves, B. Sarmento, M. H. Amaral, and M. B. Oliveira, Medicago spp. extracts as promising ingredients for skin care products, Ind. Crops Prod., 49, 634-644 (2013).
    6. M. Homayoonfal, F. Khodaiyan, and M. Mousavi, Modelling and optimising of physicochemical features of walnut-oil beverage emulsions by implement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Effect of preparation conditions on emulsion stability, Food Chem., 174, 649-659 (2015).
    7. B. S. Qader, E. E. Supeni, M. K. A. Ariffin, and A. R. A. Talib, RSM approach for modeling and optimization of designing parameters for inclined fins of solar air heater, Renew. Energy, 136, 48-68 (2019).
    8. C. Yu, T. Cheng, J. Chen, Z. Ren, and M. Zeng, Investigation on thermal-hydraulic performance of parallel-flow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with a new type of anti-vibration baffle and wire coil using RSM method, Int. J. Therm. Sci., 138, 351-366 (2019).
    9. A. Garcia, S. A. Rhoden, J. Bernardi-Wenzel, R. C. Orlandelli, J. L. Azevedo, and J. A. Pamphile,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 Sapindus saponaria L., J. Appl. Pharm. Sci., 2, 35-40 (2012).
    10. Z. Wang, J. Hong, L. Zhang, and P. Liu, Voltage fault detection and precaution of batteries based on entropy and standard deviation for electric vehicles, Energy Procedia, 105, 2163-2168 (2017).
    11. J. R. Pycke, Multivariate extensions of the Anderson–Darling process, Stat. Probabil. Lett., 63, 387-399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