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리튬이온전지는 가볍고, 높은 에너지 밀도, 고용량 및 고효율 특성 으로 스마트폰, 이동용 전기장치 및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중 하나이다[1-2]. 휘발성이 높고 가연성인 유기 용매를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는 크기가 작고 메모리 효 과가 거의 없으며 필요할 때마다 충전해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안전성 문제와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래서 무기 고체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이 증가하고 에너지 및 전력 밀도가 개선된 전고체 리튬이온전지는 에너 지 저장을 위한 차세대 장치로 간주된다[3]. 최근 몇 년 동안 이온전도 도가 높은 고체전해질이 보고됨에 따라 전고체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4-5].
지난 30년 동안 리튬이온전지의 상업화 성공을 이끈 이유 중 하나 는 낮은 탈/리튬화 전압, 372 mAh/g의 높은 이론 용량, 낮은 가격 및 긴 수명 특성을 가진 흑연을 음극으로 사용한 것이다[6-7]. 전고체 리 튬이온전지 음극 연구에 흑연을 이용한 연구는 2000년도 중반부터 보 고되었다[8-9]. 하지만 흑연을 이용한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연구 초기 에는 새로운 전고체 전해질을 개발 후 성능 평가를 위해 흑연이 음극 으로 활용되었으며, 최근에 높은 압력 공정을 통해 흑연끼리 접촉을 증가하여 음극 복합체 내 전기전도도 향상을 통한 흑연의 전기화학 성능 향상 연구가 보고되었을 뿐[10-11], 전고체 전지 시스템에 적합 한 흑연 개질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탄소재료의 경우 의도치 않게 비정질 탄소가 재료 표면에 흡착되는 일이 흔하며[12], 또한 흑연의 경우 입자크기 및 형태를 균일하게 하 는 공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표면에 비정질 탄소가 흡착된다[13]. 이러 한 비정질 탄소는 음극 전기화학 성능에 몇 가지 문제점을 일으킨다. 첫째로 비정질 탄소는 흑연 음극내 저항층으로 작용하여 흑연-흑연의 이온 및 전기 전도도 감소를 유발한다[14]. 또한 전해액과의 부반응을 유발하여 초기 쿨롱 효율이 낮아지는 원인 중 하나인 지속적인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layer 형성에 관여한다[15].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 연구에서 흑연 표면에 흡착된 비정질 탄소를 제거하는 연구들이 보고되었지만[16], 안정적인 SEI layer 형성에 관 해 연구가 집중하였으며[17],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연구에서는 비정 질 탄소에 의한 지속적인 부반응을 피하기 위해 graphitic hollow nanocarbon을 사용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18].
본 연구에서는 흑연 표면에 있는 저항층 비정질 탄소를 열처리를 통해 제거하여 황화물계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음극복합체의 전기전 도도, 초기 충⋅방전 효율 및 수명 특성을 향상하였다. 비정질 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400 °C, 500 °C 및 600 °C 열처리 온도에 따른 3가지 종류 흑연 샘플을 준비하였으며, XRD 분석결과 비정질 탄소가 제거 되어 흑연의 (002) 피크 반치폭이 가장 좁은 500 °C 열처리 한 흑연에 서 향상된 초기 충ㆍ방전 효율 및 용량유지율을 보였다. 또한 EIS 분 석 결과 10 사이클 이후 500 °C 흑연을 이용한 음극 복합체의 직렬 저항(Rs)과 SEI 및 전하 이동의 결합된 저항(RSEI+CT)이 가장 낮은 특 성을 가졌다. 우리 연구는 비정질 탄소 제거를 통해 황화물계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음극 흑연의 전기화학 성능 향상 방법을 제시한다. 간 단한 열처리를 통한 비정질 저항층 제거 방법은 쉽고 저렴하여 열처 리 한 흑연을 황화물계 음극 재료로 적용하는 것을 촉진할 것으로 예 상한다.
2. 실 험
2.1. 실험재료 및 물성분석
15~20 μm 구형화 된 천연 흑연(SG-17, Spherical graphite)를 온도 별(400, 500 및 600 °C)로 공기 중에서 2시간 열처리했다. 흑연의 표 면 형상을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TESCAN, MIRA 3 LMH In-Beam Detector)을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In-Beam SE 모드, 전압 3 kV로 하여 분석하였다. Bare 및 열처리 후 흑연의 결정 구조를 측정 하기 위해 X-선 회절 분석기(Rigaku, Ultima Ⅳ)를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Cu-Kα (λ = 1.54 Å), 주사 속도는 4.8 °/min, 주사 범위(scan range)는 5~80°로 하여 분석하였다.
2.2.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전고체 리튬이온전지는 다음과 같이 조립했다. 천연 흑연 또는 열 처리된 흑연을 고체전해질(Li6PS5Cl, SE)과 6:4의 중량비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음극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상대전극으로 Li-In은 3:97의 비 율로 섞어준 후 SE를 4:1의 비율로 추가적으로 섞은 후 Li-In-SE을 사 용했다. 전고체 전지 cell 조립은 다음과 같이 제작되었다. 먼저, 150 mg Li6PS5Cl 전해질을 10 MPa 압력으로 pelletizing (13 mm)하여 전 해질 층을 만들었다. 그 다음 전해질층 한 면에 15 mg의 음극 복합체 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Ni을 덮었다. 이때 로딩은 11.3 mg/cm이다. 다 음으로, 전해질 층의 다른 면에 Li-In을 60 mg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그 위에 Ni 호일을 덮었다. 마지막으로 제작한 cell에 60 MPa의 압력 을 가했다. Cell은 Ar 분위기의 글러브박스에서 제작하였다.
제조된 전지는 전압 안정화 후 테스트하였으며, 초기 충ㆍ방전 용 량은 0.03 C-rate (10.8 mA/g)의 전류를 인가하고, -0.615~0.88 V의 전압 범위에서 테스트하였다. 수명 특성 실험은 0.3 C-rate (1C: 360 mA/g)의 전류를 인가하고, -0.615~0.88 V 전압 범위에서 테스트하였다. 충ㆍ방 전 1회를 1 사이클로 하고, 10회 동안 진행하였다. 셀의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석은 100 kHz~0.1 Hz의 주파수 범위에서 –0.62 V의 전위 에 대해 ±1 V 범위의 섭동(perturbation)으로 측정했다. 제조된 전지의 성능 실험은 WBCS 3000Le32 Battery Cycler (Won A Tech)를 이용하 였으며, CC/CV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복합 모드를 적용하 였다.
3. 결과 및 고찰
Figure 1(a)에서처럼, 흑연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비정질 탄소는 흑 연-흑연 내 전기 및 이온 전도도 감소를 유발하므로 다양한 온도의 열 처리 공정을 통해 비정질 탄소를 제거하였다[12,16]. Figure 1(b)는 bare 흑연과 비정질 탄소를 400 °C, 500 °C, 600 °C 열처리로 제거한 후 흑연의 SEM image을 나타낸다. 400 °C 및 500 °C 열처리한 흑연 의 경우 bare 흑연처럼 가장자리가 열분해 된 형상은 발견되지 않았 다. 하지만, 600 °C 열처리한 경우 흑연 가장자리가 열분해 된 형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형상은 강한 산소 분위기에서 열처리된 흑연의 모 습과 유사하다[16]. SEM 분석으로 600 °C 열처리한 흑연 외형 부분 만 손상된 것처럼 보이지만, 400 °C 및 500 °C 열처리한 흑연도 SEM 분석으로 관측되지 않은 손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흑연의 모든 영 역이 열처리된 것을 고려하면 내부에 있는 그래핀 층도 손상을 받을 수 있기에 XRD 분석으로 열처리 후 흑연의 결정성 향상 및 감소 확 인이 필요하다.
열처리 공정을 통해 비정질 탄소를 제거할 수 있지만, 흑연의 손상 도 함께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Figure 2(a)처럼 XRD 분석을 통해 열 처리 후 흑연의 결정성을 확인했다. 흑연의 평균 결정 크기(Lc)는 (002) 피크(26.619 degree)의 간격으로 계산할 수 있다[19]. Scherrer 방정식에 의해 (002) 피크의 반치폭이 좁을수록 흑연의 평균 결정 크 기는 증가한다[20]. Bare 흑연 및 400 °C, 500 °C 및 600 °C 열처리 흑연의 (002) 피크 반치폭은 0.382, 0.317, 0.295 및 0.353 degree이다. 전반적으로 열처리를 하면 흑연의 (002) 피크 반치폭이 감소하는 경 향을 보인다. 500 °C 열처리 이후 (002) 피크 반치폭이 가장 좁았으며, 이것은 평균 결정 크기가 가장 큰 것을 의미한다.
Bare와 열처리된 흑연을 이용한 전기화학 평가를 보면(Figure 3, Table 1), bare 흑연의 경우 충전용량이 404.0 mAh/g, 방전용량이 331.2 mAh/g이고 쿨롱효율(coulombic efficiency, ICE) 81.9%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음극 복합체 압력을 증가하여 평가한 흑연 결과와 유 사한 성능을 보인다[19]. 또한 정전류 충전 구간이 끝나고 정전압 충 전 구간에 45 mAh/g이 더 충전되었다. 즉 정전류 충전 구간에서 SOC (State of charge)가 91.1%이고 정전압 충전 구간 SOC는 8.9%이다. Bare 흑연의 경우 정전압 충전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특성을 보였다. 열처리한 흑연의 경우 전반적으로 bare 흑연보다 충전용량, 방전용량 및 ICE이 높다. 400 °C 열처리한 샘플의 경우, 충전용량이 416.7 mAh/g, 방전용량이 337.0 mAh/g 및 ICE가 80.8%로 bare 흑연보다 방 전용량은 증가하였지만, 효율은 유사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500 °C 열 처리 한 흑연의 경우 충전용량이 384.3 mAh/g, 방전용량이 331.1 mAh/g 및 ICE 86.2%로 열처리한 샘플들 중 효율이 가장 높다. 500 °C 열처리한 샘플에서 가장 높은 초기효율을 보인 이유는 열처리를 통해 흑연 표면에 있는 비정질 탄소가 제거되어, 비정질 탄소와 고체 전해질의 부반응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18]. 또한 정전압 충전 구 간에 6.9 mAh/g이 충전되어 정전압 충전 구간 SOC는 1.7%로 상당히 낮았다. 정전압 충전 구간이 짧은 이유는 열처리 동안 흑연의 손상 없 이 비정질 탄소가 가장 잘 제거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21]. 한편 600 °C로 열처리한 흑연의 경우도 충전용량이 405.9 mAh/g, 방전용 량이 344.7 mAh/g 및 ICE가 84.9%로 초기 충ㆍ방전 결과에서 bare 흑연보다 향상된 전기화학 성능을 보여준다. 즉 열처리를 하면 비정 질 탄소가 제거되어 정전압 충전 구간이 짧아져서 정전압 충전 구간 SOC가 낮아지고 방전용량 및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Figure 4(a)처럼, bare 흑연 및 열처리한 흑연의 수명 특성은 0.3 C-rate (1C: 360 mAh/g), 10회 충ㆍ방전으로 평가되었다. Bare 흑연의 경우 1 사이클 때 방전용량이 304.6 mAh/g이지만, 사이클이 증가할 때마다 방전 용량이 약 5.2 mAh/g 감소하여 10 사이클 때 방전용량이 252.6 mAh/g 및 용량 유지율이 82.9%이다. 열처리한 샘플의 경우 전 반적으로 10 사이클 이후 방전 용량 및 용량 유지율이 bare 흑연보다 높았다. 400 °C 열처리 흑연의 경우 1 사이클 방전용량이 312.8 mAh/g 이고 10 사이클 일 때 방전용량이 288.6 mAh/g 및 용량 유지율이 92.2% 이다. Bare 흑연보다 1 사이클 방전용량이 36 mAh/g 높고 10 사이클 이후 유지율도 9.3% 증가하였다. 500 °C 열처리 흑연의 경우 1 사이클 방전용량이 316.2 mAh/g이고 10 사이클 일 때 방전용량이 293.4 mAh/g 및 용량 유지율이 92.7%이다. 600 °C 열처리한 흑연의 경우도 1 사이클 때 방전용량이 332 mAh/g으로 향상된 용량을 보여 주지만 10 사이클 때 용량이 290.8 mAh/g로 유지율이 500 °C 보다 낮은 87.6%이다. 즉 bare 흑연과 열처리한 흑연의 수명 특성 평가 결 과 열처리 후 대부분 용량 유지율이 향상하지만 흑연의 평균 결정 크 기가 가장 컸는 500 °C 열처리 흑연에서 가장 높은 방전용량과 용량 유지율 특성을 보였다. (002) 피크 반치폭이 가장 좁은 500 °C 열처리 흑연의 XRD 분석 결과를 고려하면, 비정질 탄소가 가장 많이 제거된 500 °C 열처리 흑연에서 고체전해질 부반응이 감소하여 낮은 용량 감 소가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Formation 평가에서 사이클 평가로 C-rate가 0.03C에서 0.3C으로 증가할 때 bare, 400 °C, 500 °C 및 600 °C 열처리 흑연의 용량 감소는 각각 99, 72, 68 및 12 mAh/g으로 600 °C 열처리 흑연의 용량 감소가 가장 적은 특성을 보여주었지만, 10 사이 클 이후 용량 유지율은 500 °C 열처리 흑연이 92.7%로 가장 우수하였 다. 또한 Figure 4(b)처럼, 사이클 평가 중 coulombic efficiency는 500 °C 열처리 흑연이 다른 흑연들보다 높은 효율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 다. 즉, 10 사이클 충ㆍ방전 평가 중 Li 소모가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전극의 작동 및 성능 저하를 추가로 분석하기 위해 Figure 5와 같이 bare, 400 °C, 500 °C 및 600 °C 열처리된 흑연 전극의 formation 및 10 사이클 이후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을 측정하였다. 우리는 단순히 직렬 저항(Rs)과 SEI 및 전하 이동의 결합된 저항(RSEI+CT)을 측정했다[22-26]. Rs는 x 축 절편값으로 cell의 전체 저항을 의미하고, RSEI+CT는 반원으로 나타 나며 흑연과 전해질의 전하이동저항으로 저항이 낮을수록 전하이동 효율이 높음을 의미한다[22,23]. Figure 5(a)처럼, formation 측정 후 bare, 400 °C, 500 °C, 600 °C의 Rs는 각각 18.5 Ω, 20.3 Ω, 22.5 Ω 및 32.6 Ω으로 bare 흑연의 Rs이 가장 낮았지만, Figure 5(b)처럼 10 사이클 후 Rs는 43.9 Ω, 78.2 Ω, 20.5 Ω 및 26.0 Ω으로 bare 흑연과 400 °C 열처리 흑연의 Rs는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Table 2). Formation 측정 후 bare, 400 °C, 500 °C, 600 °C의 RSEI+CT는 32.7 Ω, 35.5 Ω, 33.6 Ω 및 49.0 Ω으로 bare 흑연의 RSEI+CT가 가장 낮았지 만, 10 사이클 후 RSEI+CT는 70.8 Ω, 107.5 Ω, 40.1 Ω 및 62.7 Ω으로 500 °C에서 가장 적은 증가를 보였다. 이는 비정질 탄소가 잘 제거된 500 °C 열처리 흑연의 경우 사이클 동안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SEI layer 형성이 되었음을 의미한다[27].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흑연 표면에 있는 비정질 탄소를 공기 열처리로 제 거하여 황화물계 전고체 리튬이온전지 음극 복합체의 전기화학 성능 평가를 조사하였다. 400 °C, 500 °C 및 600 °C 열처리 한 흑연을 이용 하여 음극 소재로 준비하였다. 열처리 후 SEM 분석 결과 600 °C 열처 리 조건은 흑연 가장자리에 손상을 주었지만, 400 °C 및 500 °C 열처 리 한 흑연의 경우 bare 흑연과 유사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002) 피크 반치폭을 분석한 결과 열처리 한 흑연의 반치폭이 bare 흑연보다 반치폭이 좁았으며 이는 열처리 후 흑연의 결정성 향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정질 탄소가 제거된 흑연의 경우 향상된 전기전도도, 초기 충ㆍ방전 효율 및 수명 특성을 보였다. 500 °C 열처리 한 흑연은 0.03 C-rate의 초기 충ㆍ방전 결과 86.2%의 우수한 초기 충ㆍ방전 효율을 보였고 0.3 C-rate의 10회 사이클 평가 결과 92.7%의 향상된 유지율을 보였다. 또한 EIS 분석 결과 10회 사이클 충ㆍ방전 후 가정 적은 양의 SEI layer 형성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