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2 No.1 pp.97-101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1.1001

Adsorption Behavior of Heavy Metals and Organics in the Mixed Packed Column of Scoria/Activated Carbon

Seung-Geon Kim, Soo-Hyoung Moon*, Ho-Won Le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3243, Korea
*Water Resources Research Team, Jeju Province Development Co., Jeju 63345, Korea
Corresponding Author: Je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Jeju 63243, Korea Tel: 064-754-3684 e-mail: hwlee@jejunu.ac.kr
January 4, 2021 ; January 15, 2021 ; January 20, 2021

Abstract


Adsorp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s and organics in the mixed packed column of scoria and activated carbon, as well a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groups of scoria were investigated. As the mixing ratio of scoria increased, the average removal ratios of cadmium, nickel, chromium, and lead ions increased, but that of benzene and toluene decreased. The mixed packed column of scoria and activated carbon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heavy metals and organics. Scoria has Si-H and Si-O functional groups, and it was confirmed that Si-O functional groups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스코리아/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에서의 중금속 및 유기물의 흡착 거동

김 승건, 문 수형*, 이 호원†
제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

초록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에서 중금속과 유기물의 흡착 특성,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기를 조사하 였다.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카드뮴, 니켈, 크롬, 납 이온의 평균제거율은 증가하였으나,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은 중금속과 유기물의 동시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스코리아는 Si-H와 Si-O 작용기를 갖고 있으며, 이중 Si-O 관능기가 중금속의 흡착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서 론

    제주도의 소형 화산체는 전형적인 단성화산(monogenetic volcano) 으로서 분화활동에 관여하는 마그마의 성질에 의해 여러 유형으로 분 류된다. 현무암질 마그마로부터 주로 형성되는 화산쇄설구(pyroclastic cone)는 폭발식 분화에 의해 화구 위로 방출된 화산쇄설물이 화구 주 변으로 떨어져 쌓임으로써 형성되는 원추형태의 화산체이다. 이러한 화산쇄설구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이 스코리아 콘(scoria cone)이며 제주 도의 단성화산도 대부분 스코리아 콘에 해당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

    스코리아 콘의 구성 물질은 현무암질 마그마가 기원인 다공성 화산 쇄설물인 스코리아(scoria)로 알려져 있다. 스코리아는 화산폭발 시 휘 발성 성분이 빠져나가면서 많은 기공발달로 인해 투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주지질층에 겹겹이 산재된 형태로 부존하기 때문에 강우가 지하수로 이동하는데 지구화학적인 물-암석반응에 의하여 제주 지하 수의 미네랄 함량과 오염물질의 정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정수처리를 위한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이 커야할 뿐만 아니라 저비용(inexpensive)과 비독성(nontoxic)이 요구되고 있어, 최근 천연 지질 소재 무기물질(inorganic)과 유기물질(organic)을 대상 으로 흡착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3-6].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화산암(volcanic rock)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음용수와 폐수로부터 중금속 제거에 대한 흡착 제로서의 가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7,8].

    본 연구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이 혼합 충전된 충전탑에서의 중금속 과 유기물의 흡착 특성을 파악하여 필터소재로서 스코리아와 활성탄 의 혼합 충전탑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비율에 따른 중금속과 유기물의 흡착 제 거 특성을 살펴보았고,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흡착에 관여하 는 스코리아의 작용기를 규명하였다.

    2. 실 험

    스코리아와 활성탄을 혼합하여 충전한 혼합 충전탑에서 중금속 및 유기물의 흡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혼합 충전탑에서 중금속과 유 기물이 혼합된 혼합용액의 연속 흡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충전탑은 아크릴 관을 이용하여 내경이 10 mm, 길이가 300 mm의 크기로 제작하였다. 컬럼은 총 6개조를 이중관 형태 로 제작하여 흡착 온도를 25 ± 1 ℃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고, 각 각의 컬럼에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을 혼합하여 충전하였다. 스코리아 는 제주 동광지역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활성탄(Jeilchemical Co.)은 야자각으로 만든 것으로서 비표면적은 약 1000 m2/g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을 표준체(8~30 mesh)로 각각 체질한 후, 0.6~2.36 mm의 일정 크기의 것만 사용하였다.

    공급 용액은 카드뮴(Cd2+), 니켈(Ni2+), 납(Pb2+) 및 크롬 이온(Cr3+) 과 벤젠 및 톨루엔이 각각 0.5 mg/L인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카드 뮴, 니켈, 납 및 크롬 이온은 각각 Cd(NO3)2⋅4H2O, Ni(NO3)2⋅6H2O, Pb(NO3)2 및 Cr(NO3)3⋅9H2O을 탈이온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시약은 모두 대정화금(Daejung Chemicals & Metals Co.)의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공급용액의 공급은 펌프(BP-90361, WON Corporation, Korea)에 의 해 10 mL/min로 일정하게 상향식으로 공급하였으며, 매 시간마다 충 전탑의 유출액을 샘플링하고, 이를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ICP-OES 720)와 GC/MS (6890, Agilent, USA)를 이용하여 중금속과 유기물을 각각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 여 BET 비표면적 측정기(TriStar II 3020, Micromeritics, USA), XRD (X’Pert MPD, Philips) 및 X-선 형광분석기(Shimadzu, Japan)를 사용 하여 스코리아의 BET 비표면적, 결정 구조 및 구성 성분을 각각 분석 하였으며, ATR-FTIR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을 사용하여 스코리아의 관능기를 분석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코리아는 제주 동광지역에서 채취한 스코리 아로서 채취한 스코리아를 100~200 mesh (75~150 μm)로 일정하게 선별한 후에 TriStar II 3020 (Micromeritics, USA)를 이용하여 스코리 아의 BET 비표면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스코리아의 BET 비표 면적은 8.73 m2/g이었다.

    스코리아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XRD (X’Pert MPD, Philips) 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스코리아는 중성장석[(Ca,Na)(Al,Si)4O8], 휘석 [Ca(Mg,Fe)Si2O6], 마그네슘 감람석(Mg2SiO4), 자철석(Fe2O4), 적철석 (Fe2O3), 석영(SiO2)의 결정 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장분산형 X-선 형광분석기(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스 코리아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코리아의 주요 구성성 분은 SiO2, Al2O3, Fe2O3, CaO, MgO 등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량 분석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3.2. 혼합 충전탑에서의 중금속 및 유기물의 흡착

    흡착질(adsorbate)이 함유된 유체를 충전탑 하부로 유입시키면 초기 에는 흡착이 탑 하부의 비교적 좁은 영역에서 일어나다가 시간이 경 과함에 따라 탑 하부의 흡착이 포화되면서 흡착이 일어나는 물질전달 영역은 점차적으로 탑 상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운전 시간에 따른 흡착질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곡선을 파과곡선(breakthrough curve)이라고 하고, 흡착질의 유입 농도에 대한 유출 농도의 비(C/C0)가 0.05에 도달하는 시간을 파과점(break point)이라고 한다.

    흡착질의 제거율과 C/C0의 관계는 식 (1)과 같다.

    ACE-32-1-97_EQ1.gif
    (1)

    Figure 1은 운전 시간에 따른 중금속(카드뮴, 니켈, 크롬 및 납 이온) 및 유기물(벤젠과 톨루엔)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때 공급 용액은 카드뮴, 니켈, 납 및 크롬 이온과 벤젠 및 톨루엔이 각각 0.5 mg/L인 혼합 용액을 사용하였다.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카드뮴, 니켈, 크롬, 납 이온)의 파과점은 길어졌으며, 제거율은 증가하였다. 반면에 벤젠과 톨 루엔의 흡착에 있어서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60%보다 작은 경우에 벤젠과 톨루엔은 거의 흡착되어 11 h 경과 후에도 파과점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80% 이상인 경우에는 1 h 이내에 파과점에 도달하였다.

    Figure 2에 스코리아/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에서 스코리아의 혼합비 에 따른 평균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이때의 평균제거율은 11시간 동 안의 운전시간에 따른 제거율을 평균한 값이다. 중금속에 대한 스코 리아의 흡착능은 니켈 < 카드뮴 < 크롬 < 납 이온의 순서로 증가하였 다. 납 및 크롬 이온의 평균제거율은 모두 95% 이상으로서 스코리아 의 혼합비에 관계없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니켈과 카드뮴 이온은 스코리아의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 제거율이 크게 증가하는 경 향을 나타났다.

    그러나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제거율은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60% 이하에서 95% 이상이었으나,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60%을 초과함 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스코리아 충전탑에서의 납, 크롬, 카드뮴 및 니켈 이온의 제거율은 각각 99.9, 98.6, 87.6 및 76.7%이었고, 벤젠 과 톨루엔의 제거율은 각각 20.2 및 22.1%이었다. 또한 활성탄 충전탑 에서의 크롬, 카드뮴 및 니켈 이온의 제거율은 각각 94.8, 95.1, 19.1 및 20.0%이었고, 벤젠과 톨루엔의 제거율은 모두 100%이었다.

    따라서 활성탄과 스코리아의 혼합 충전탑은 중금속과 유기물의 동 시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 스코리아의 관능기 분석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코리아가 활성탄에 비해 작은 비표면적 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코리아의 중금속 흡착능은 활성탄의 중 금속 흡착능에 비해 매우 뛰어나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하여 ATR-FTIR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을 사용하여 스코리아의 관 능기를 분석하였다. 시료에 흡수, 방출된 적외선 파장 스펙트럼은 화 학 구조에 따라 고유하기 때문에 흡착 전⋅후의 ART-FTIR 분석을 통 해서 시료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흡착제의 상대적 흡착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10 mg/L의 카 드뮴 용액에 8~30 mesh 크기의 활성탄과 스코리아를 각각 24 h 동안 넣어 흡착이 충분히 일어나게 한 후에 젖은 상태의 것(Wet로 표기)과 건조 상태의 것(Dry로 표기)을 각각 ART-FTIR로 분석하고, 그 결과 를 흡착 전의 것(New로 표기)과 비교하였다.

    Figure 3은 카드뮴 흡착 전의 활성탄(New)과 흡착 후에 건조된 활 성탄(Dry)의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카드뮴 흡착 여부에 관계없이 같은 유형의 반사 곡선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활성탄에 의해 카드뮴 이온의 흡착이 미진함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4에 카드뮴 흡착 전의 스코리아(New), 흡착 후 젖은 상태의 스코리아(Wet) 및 흡착 후 건조된 스코리아(Dry)의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젖은 상태의 스코리아(Wet)에서는 3300과 1650 cm-1 근 처의 피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H2O의 OH-기에 해당한다.

    또한 스코리아에서는 활성탄에서는 볼 수 없었던 2100 및 850~900 cm-1에서의 피크가 관찰되었는데, 이 피크는 Depci[10], Selvara[11] 및 Stryahilev[12]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각각 Si-H 및 Si-O 작용기에 해 당한다. 특히 흡착 전과 후에 Si-H 피크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Si-O 피크의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코리아의 Si-O 관능기가 카드뮴 흡착에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스코리아의 Si-O 관능기 가 카드뮴 이온과의 site-binding에 의하여 표면 착물반응(surface complexation) 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5는 혼합용액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흡착 전의 스코리아 (New)와 흡착 후 젖은 상태의 스코리아(Wet)의 FTIR 분석 결과를 나 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혼합용액은 카드뮴, 니켈, 납 및 크롬 이온과 벤젠 및 톨루엔의 농도가 각각 0.5 mg/L인 혼합 용액으로서 충전탑 실험에 사용된 용액과 동일한 조성의 혼합용액이다.

    젖은 상태의 스코리아(Wet)에서 3300과 1650 cm-1 근처의 OH-기에 해당하는 피크 이외의 톨루엔 및 벤젠에 해당하는 특성 피크는 발견 되지 않았으며, 흡착 전후에 850~900 cm-1에서의 피크 변화가 관찰되 었는데, 이 피크는 스코리아의 Si-O 작용기에 해당하는 피크이다. 따 라서 스코리아의 Si-O 관능기가 중금속 이온의 흡착에 관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 충전탑을 중금속과 유기물의 동시 제거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는 스코리아와 활성탄의 혼합비율에 따른 중금속과 유기물의 흡착 제 거 특성, 스코리아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기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금속에 대한 스코리아의 흡착능은 니켈 < 카드뮴 < 크롬 < 납 이 온의 순서로 증가하였고, 스코리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카드뮴, 니켈, 크롬, 납 이온의 평균제거율은 증가하나,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제거율은 감소하였다. 활성탄과 스코리아의 혼합 충전탑은 중금속과 유기물의 동시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스코리아는 Si-H 와 Si-O 작용기를 갖고 있으며, 이중 Si-O 관능기가 중금속의 흡착에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 사

    이 논문은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학술연구사업과 2019학년도 제 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Figures

    ACE-32-1-97_F1.gif
    Breakthrough curve for cadmium ion (a), nickel ion (b), chromium ion (c), lead ion (d), benzene (e), and toluene (f) (● AC; ▲ scoria: 20%; ■ scoria: 40%; □ scoria: 60%; △ scoria: 80%; ○ scoria).
    ACE-32-1-97_F2.gif
    Average removal ratio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scoria.
    ACE-32-1-97_F3.gif
    FTIR analysis of activated carbon. New: AC before cadmium adsorption; Dry: AC dried after adsorption.
    ACE-32-1-97_F4.gif
    FTIR analysis of scoria. New: scoria before cadmium adsorption; Wet: wet scoria after adsorption; Dry: dried scoria after adsorption.
    ACE-32-1-97_F5.gif
    FTIR analysis of scoria. New: scoria before adsorption of mixed solution; Wet: wet scoria after adsorption of mixed solution.

    Tables

    Composition of Scoria

    References

    1. S. P. Park, A study on Jeju island side volcano, J. Chonnam National University, 30, 159-166 (1985).
    2. J. M. Morgan-Sagastume and A. Noyola, Evaluation of an aerobic submerged filter packed with volcanic scoria, Bioresour. Technol., 99, 2528-2536 (2008).
    3. C. H. Jeong and G. Y. Jeong, Effect of groundwater anions and pH on the sorption removal of heavy metals by bentonite, Econ. Environ. Geol., 33, 31-40 (2000).
    4. U. Wingenfelder, C. Hansen, G. Furrer and R. Schulin,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mine waters by natural zeolites, Environ. Sci. Technol., 39, 4606-4613 (2005).
    5. M. G. Fonseca, M. M. Oliveira and L. N. H, Removal of cadmium, zinc, manganese and chromium cat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a clay mineral, J. Hazard. Mater., B137, 288-292 (2006).
    6. J. H. Potgieter, S. S. Potgieter-Vermaak and P. D. Kalibantona, Heavy metals removal from solution by palygorskite clay, Miner. Eng., 19, 463-470 (2006).
    7. S. H. Moon, H. W. Lee, J. H. Kim, K. K. Kang and Y. S. Mok, Characteristics of volcanic cinders and their adsorption trait for heavy metal removal, Res. J. Chem. Environ., 15, 920-927 (2011).
    8. M. Yavuz, F. Gode, E. Pehlivan, S. Ozmert and Y. C. Sharma, An economic removal of Cu2+ and Cr3+ on the new adsorbents: Pumice and polyacrylonitrile/pumice composite, Chem. Eng. J., 137, 453- 461 (2007).
    9. M. R. Moufti, A. A. Sabtan, O. R. El-mahsy and W. M. Shehata, Assessment of the industrial utilization of scoria materials in central Harrat Rahat, Eng. Geol., 57, 155-162 (2000).
    10. T. Depci, T. Efe, M. Tapan, A. Ozvan, M. Aclan and T. Uner,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atnos scoria, Physicochem. Probl. Miner. Process, 48, 303-315 (2012).
    11. M. Selvaraj, B. H. Kim and T. G. Lee, FTIR studies on selected mesoporous metallosilicate molecular sieves, Chem. Lett., 34, 1290-1291 (2005).
    12. D. Stryahilev, F. Diehl and B. Schroder, The splitting of absorption bands in IR spectra of anisotropic SiH monolayers covering the internal surfaces in μc-Si:H, J. Non-Crystalline Solids, 266-269, 166-170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