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들어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의 피부 건강에 대한 관심 이 증가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피부 건강을 해치는 여러 요 인들 중 하나인 자외선은 인체 표피 세포를 손상시키는 동시에 진피 에서 멜라닌(melanin)의 침전을 촉진하며 피부의 보습 기능을 파괴하 고 심지어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1,2]. 따라서 건강한 피부를 유 지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 만, 현재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는 주로 화학물질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 알레르기, 염증 등 여 러 가지의 부작용이 있다[3].
시벅턴 오일(sea buckthorn oil)은 시벅턴(Hippophae rhamnoides Linn.) 으로부터 제조되는 천연 식물성 오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거의 없으며 자외선 흡수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벅턴 오일 에는 다량의 비타민 E, 폴리페놀(polyphenol) 및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UV-B (280~320 nm)을 효과 적으로 흡수함으로서 태양 빛에 의한 피부의 광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4-5]. 그러나 압착, 용해 및 침출 등의 생산 공정으로 제 조되는 시벅턴 원유는 다양한 색소와 인지질 및 미량 금속 등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있어 적갈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화장품의 원료로 서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안정성과 자외선 흡수능력이 우 수한 고순도의 시벅턴 오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유 중에 포함된 색소, 인지질 및 미량금속 등을 제거하는 탈색공정이 반드시 수행되 어야 한다[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벅턴 원유에 대한 탈색공정으 로 흡착탈색공정을 사용하였다. 흡착탈색공정은 활성탄, 활성점토 등 다중 탈색제를 이용하여 원유 중 색소 및 기타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여러 공정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7,8]. 하지만 탈색제가 오일과 접촉하면서 소량의 오일을 가수분해 시켜 탈색 후 정 제유의 산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9,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식물성 오일인 시벅턴 원유를 천연 자 외선 흡수제로 이용하기 위해 흡착탈색공정을 진행하였으며, 반응표 면분석법 중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최적화과 정의 반응치(response)로는 탈색과정의 탈색효과,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 및 자외선 흡수능력 등을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탈색제의 첨가량, 탈색온도, 탈색시간 등을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2. 실험방법
2.1. 탈색제의 선택
시벅턴 원유의 흡착탈색공정을 위해 25 g의 시벅턴 원유에 4.0 wt.% 의 탈색제를 첨가하여 160 ℃, 200 rpm의 조건에서 20 min간 흡착시 켰다. 흡착과정 후 고속원심분리기(Scientific Co., Ltd)를 이용하여 20 min, 4000 rpm인 조건 하에서 정제유를 분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탈 색제는 활성탄, 활성점토, 산성점토,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하였다.
2.2. 시벅턴 정제유의 탈색효과 평가
시벅턴 원유에 대한 흡착탈색공정 후 탈색효과 및 탈색 전후 정제 유의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벅턴 원유를 n-hexane에 희석하 여 10 wt.%의 시료를 제조한 후 UV 분광광도계(Optizen 2120 UV, MECASYS)를 이용하여 200~600 nm에서 가시광선과 자외선의 흡수 피크를 확인하여 해당 피크에 대응한 파장범위의 흡광도를 측정하였 다[11]. 탈색효과는 흡착탈색공정 전후 시료의 가시광선 흡수피크를 비 교하여 식 (1)과 같이 정의하였다.
여기서 A(i)는 탈색 전 시벅턴 원유의 가시광선 영역대의 흡광도이 며 A(f)는 탈색 후 시벅턴 정제유의 가시광선 영역대의 흡광도이다. 따 라서 탈색효과의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탈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2.3. 정제유의 산가 평가
산가는 오일의 생산 및 저장 과정 중 오일의 품질에 대한 중요한 평 가 지표로서, 보통 1 g당 오일 시료를 중화하는 데 필요한 수산화칼륨 (KOH)의 질량으로 정의한다. 산가 측정을 위하여 시벅턴 오일 10 g을 100 g의 이소프로필알코올과 톨루엔을 1 : 1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 에 희석한 후, 페놀프탈레인 10 g/L 용액을 0.3 mL 첨가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산가 측정은 0.1 N KOH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적정 표준 상태는 시료 용액이 옅은 분홍색 상태를 30 s 간 유지될 때까지로 정 하였으며 최종 시료의 산가는 다음 식 (2)으로 계산하였다. 식 (2)에서 V는 KOH 용액의 적정량, F는 KOH 용액의 농도계수, S는 오일의 질 량이다[12].
3. 결과 및 고찰
3.1. 시벅턴 오일의 물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시벅턴 오일에 대한 흡착탈색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200~600 nm 범위 내에서의 시벅턴 원유와 정제유의 자외선 및 가시 광선의 흡광도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흡광도 분석 결과, 탈 색 전의 시벅턴 원유와 탈색 후의 시벅턴 정제유의 자외선 흡수피크 는 290 nm 근처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탈색공정을 통한 시벅턴 오일의 UV-B 흡수 능력은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3]. 또한, 시벅턴 원유의 가시광선 흡수피크는 460 nm 근처인 파랑 색 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파랑색에 대한 흡수능이 가장 뚜렷함을 알 수 있었으나 470~600 nm의 가사광선 영역대에서의 흡수능은 급격 히 감소하여 600 nm이상에서는 기준선(base line)에 접근한 경향을 보 였다. 따라서 시벅턴 원유는 빨강색 영역대인 600 nm이상 범위의 가 시광선에 대한 흡수능은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완전히 반사한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시벅턴 원유가 보통 적갈색을 띄는 것과 일 치한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착탈색공정 전후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를 시벅턴 오일의 자외선 흡수능력 평가기준으로 설정 하였으며, 460 nm에서의 가시광선 흡광도를 흡착탈색공정의 탈색효 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다.
3.2. 탈색제 종류의 선택
시벅턴 오일에 대한 탈색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활성탄, 활성점토, 산성점토, 벤토나이트 등을 이용하여 탈색과정의 탈색효과,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 및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를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와 같이 4가지 탈색제 중 활 성점토의 탈색 효과는 94%,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는 2.90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산가는 2.10 mg/g KOH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서 활성점토를 본 연구의 탈색제로 선정하였다.
3.3. CCD-RSM에 의해 탈색공정의 최적화
본 연구에서 CCD-RSM을 이용하여 시벅턴 오일에 대한 흡착탈색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최적화과정 중 각 반응치로는 탈색과정의 탈색 효과, 정제유의 산가 및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탈색제의 첨가량(3~5 wt.%), 탈색온도(120~160 ℃) 및 탈색시간(15~25 min)으로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해 세 개 독립 변수부터 설계된 실험조건 및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최적화 과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 다. Table 2에 나타낸 R2는 결정계수로서 최적화 효과의 척도를 나타 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실험데이터와 회 귀방정식이 정규분포에 부합하며 최적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 한다[15]. 각 독립변수의 P-value 및 F-value는 해당 독립변수의 중요 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함께 분석하며, P-value는 작을수록 동시에 F-value는 클수록 해당 독립변수가 반응치에 더욱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한다[16-17].
CCD-RSM를 적용하여 탈색과정의 탈색효과에 관한 회귀방정식을 구하고 이를 식 (3)에 나타내었다. 식 (3)에서 탈색효과는 Y1, 독립변수 로서 x1은 탈색제의 첨가량, x2는 탈색온도, x3는 탈색시간으로 설정 하였다.
Table 2에서와 같이 탈색과정의 탈색효과만 고려할 경우 결정계수 R2 = 95.04로 제일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최적화 효과가 제일 뚜렷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각 독립변수의 P-value는 각각 x1 = 0.002, x2 = 0.468, x3 = 0.552로 나타나며, F-value의 경우는 x1 = 18.14, x2 = 0.57, x3 = 0.38로 나타났다. 따라서 탈색과정의 탈색효과만 고려할 경우, 탈색제의 첨가량 (x1)의 P-value가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는 제일 크기 때문에 주효과도가 제일 높음으로 해석하였으며 탈색과정의 탈 색효과에 대한 가장 중요한 독립변수로 판단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가 2개인 경우, 각 독립변수들 간의 끼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교호효과 도를 분석한 필요가 있다. Table 2에 나타낸 x1x2, x1x3, x2x3는 각각 (탈색제의 첨가량 × 탈색온도), (탈색제의 첨가량 × 탈색시간), (탈색온 도 × 탈색시간)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중 x1x2의 P-value는 < 0.0001 로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는 61.30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호효과도 중 x1x2 (탈색제의 첨가량 × 탈색온도)의 교호효과도가 탈 색과정의 탈색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Figure 3(a)와 같이 CCD-RSM을 사용하 여 3가지 계량인자 중 1개는 고정하고 다른 2개를 변화시켜 등고선도 를 작성하였다. 등고선도를 같이 비교한 결과, (탈색제의 첨가량 × 탈 색온도)가 탈색과정의 탈색효과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위의 통계학적 분석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CD-RSM에 의해 탈색효과만 고려할 경우의 최적조건은 탈색제의 첨 가량은 4.63 wt.%, 탈색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20.4 min 등으로 산출되며, 해당 조건 하에서 예측되는 탈색효과의 최대값은 94.81%로 나타났다.
식 (3)에서와 같이, CCD-RSM를 적용하여 정제유의 산가를 Y2로 하 는 회귀방정식 식 (4)를 얻었다.
Table 2에서와 같이 정제유의 산가만 고려한 경우, 결정계수는 R2 = 90.82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기서 각 독립변수의 P-value 는 x1 = 0.282, x2 = 0.001, x3 = 0.061로, F-value는 각각 x1 = 1.29, x2 = 22.22, x3 = 4.45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제유의 산가만 고려한 경우, 탈색온도 (x2)의 P-value가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가 제일 크기 때문에 주효과도가 제일 높음으로 판단하였다. 교호효과도 의 경우, 각 독립변수의 교호효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P-value는 각각 x1x2 = 0.758, x1x3 = 0.758, x2x3 = 0.364, F-value는 각각 x1x2 = 0.10, x1x3 = 0.10, x2x3 = 0.91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호효과도 중 x2x3의 P-value가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는 제일 큼을 알 수 있 다. 이는 (탈색온도 × 탈색시간)의 교호효과도가 제일 큰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으며, 해당 교호인자가 정제유의 산가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CCD-RSM에 의한 등고선도를 작성하여 Figure 3(b)에 나타내었다. 등고선도를 통 하여 (탈색온도 × 탈색시간)이 정제유의 산가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친 것임을 알 수 있었으며, 위의 통계학적 분석결과와도 일치한다. CCD-RSM에 의해 산가만 고려할 경우, 최적조건으로서 탈색제의 첨 가량은 3.85 wt.%, 탈색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18.4 min 등으로 산출되며 해당 조건하에서 예측되는 정제유의 산가의 최소값은 2.076 mg/g KOH로 나타났다.
CCD-RSM를 적용하여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효과를 Y3로 하는 회귀방정식 식 (5)를 얻었다.
Table 2에서와 같이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만 고려한 경우, 회 귀방정식의 결정계수는 R2 = 75.46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독립변수의 P-value는 x1 = 0.058, x2 = 0.062, x3 = 0.387로, F-value는 각각 x1 = 4.59, x2 = 4.40, x3 = 0.82로 나타났다. 이 경우, 탈색제 의 첨가량 (x1)의 P-value가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가 제일 크기 때 문에 주효과도가 제일 높음으로 판단하였다. 각 독립변수 간의 교호 효과의 경우, P-value는 각각 x1x2 = 0.770, x1x3 = 0.953, x2x3 = 0.815 로, F-value는 각각 x1x2 = 0.09, x1x3 < 0.0001, x2x3 = 0.06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x1x2의 P-value가 제일 작은 동시에 F-value는 제일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탈색제의 첨가량 × 탈색온도)의 교호효과도가 제일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에 제 일 큰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 해 Figure 3(c)에 CCD-RSM에 의한 등고선도를 작성하여 나타내었다. 그래프를 통해 탈색제의 첨가량과 탈색온도를 동시에 변화시킨 경우 가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에 대해 제일 큰 영향을 끼친 것을 확 실하게 알 수 있으며 이것은 위의 통계학적 분석결과와도 일치한다. CCD-RSM에 의해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만 고려할 경우, 최적 화 결과를 통한 최적조건으로서 탈색제의 첨가량은 4.39 wt.%, 탈색 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21.4 min 등으로 산출되며 이 조건하에 서 예측된 자외선흡광도의 최대값은 2.91으로 나타났다.
통계학적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독립변수의 ± 10% 변화에 따른 각 반응치의 변화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최적탈색제 첨가량 인 4.32 wt.%을 기준으로 ± 0.2 wt.%, 최적탈색온도인 134.9 ℃을 기 준으로 ± 4℃, 최적탈색시간인 19.7 min을 기준으로 ± 1.0 min을 설정 하였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탈색과정의 탈색효과와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도는 탈색제의 첨가량 이며, 정제유의 산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도는 탈색온도 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통계학적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 적용한 통계학적 분석이 정확하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4. CCD-RSM에 의한 최적화과정의 종합만족도 평가
시벅턴 오일을 이용한 탈색과정에서 탈색과정의 탈색효과, 정제유 의 산가 및 290 nm에서 자외선 흡광도를 평가하기 위해 탈색제의 첨 가량, 탈색온도, 탈색시간을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 적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이에 관한 최적화 종합만족도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와 같이 세 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탈색조건의 탈색제의 첨가량은 4.32 wt.%, 탈색온도는 134.9 ℃, 탈색시간은 19.7 min으로 산출되었으며, 최적화 과정의 종합만족도는 0.8848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 하에서 중심합성계획모델을 통해 예상한 3가지의 반응치의 경우 탈색과정의 탈색효과는 94.78 wt.%, 정제유의 산가는 2.08 mg/g KOH,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 도는 2.90으로 나타났다. 최적 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탈 색효과는 93.78 wt.%, 산가는 2.10 mg/g KOH,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는 2.89로 측정되었으며, 평균오차율은 1.1 (± 0.6)%로 나타났 다. 이와 같이 CCD-RSM을 시벅턴 오일의 흡착 탈색공정에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오일인 시벅턴 오일을 천연 자외선 흡수 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천연 식물성 오일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사용 가능 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벅턴 원유에 대한 흡착 탈색공정을 진행하였 으며, CCD-RSM을 이용하여 탈색과정의 탈색효과,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 및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에 관한 최적화 공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통계학적 분석 결과 탈색과정의 탈색효과의 경우 탈색효과에 가 장 큰 영향이 미친 주효과도는 탈색제의 첨가량이며, 교호인자는 (탈 색제의 첨가량 × 탈색온도)로 나타났다. 또한 CCD-RSM에 의한 최적 화 결과, 탈색효과의 최대값을 얻기 위한 최적조건으로 탈색제의 첨 가량은 4.63 wt.%, 탈색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20.4 min으로 산 출되었으며 탈색효과의 최대값은 94.81%로 예측되었다.
-
2. 탈색 후 정제유의 산가의 경우 정제유의 산가에 대한 제일 중요 한 독립변수는 탈색온도이며, 교호인자는 (탈색온도 × 탈색시간)으로 나타났다. CCD-RSM에 의한 최적화 결과, 정제유의 산가의 최소값을 얻기 위한 최적 조건으로 탈색제의 첨가량은 3.85 wt.%, 탈색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18.4 min으로 산출되었으며 정제유의 산가 최소 값은 2.076 mg/g KOH로 예측되었다.
-
3. 탈색 후 정제유의 29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의 경우 주효과도 가 가장 큰 독립변수는 탈색제의 첨가량이며, 교호인자는 (탈색제의 첨가량 × 탈색온도)이었다. CCD-RSM에 의해 최적화한 결과, 290 nm 에서의 최대의 자외선 흡광도를 얻기 위한 최적조건으로 탈색제의 첨 가량은 4.39 wt.%, 탈색온도는 132.9 ℃, 탈색시간은 21.4 min으로 산 출되었으며 이 조건으로부터 예측된 290 nm에서의 자외선흡광도의 최대값은 2.91이었다.
-
4. CCD-RSM에 의해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으 로 탈색제의 첨가량은 4.32 wt.%, 탈색온도는 134.9 ℃, 탈색시간은 19.8 min이며, 이때 예측된 각각의 반응치인 탈색효과는 94.78%, 정 제유의 산가는 2.08 mg/g KOH, 290 nm에서의 자외선흡광도는 2.90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최적 조건하에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오 차율은 2% 이하로 낮게 나타나 CCD-RSM을 시벅턴 오일의 흡착 탈 색공정에 적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얻을 수 있으며 시벅턴 오일이 천연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