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1 No.2 pp.179-186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0.101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on Chitosan/Zeolite Composites

Woong-Gil Hong1, Kyung-Jun Hwang*,1, Gyeong-Won Jeong**, Soon-Do Yoon***,†, Wang Geun Shim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Jeollanam-do 57922, Republic of Korea
*NanoSD Inc., San Diego, CA 92130, USA
**Department of Bio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hosun College of Science and Technolgy, Gwangju 61453, Republic of Korea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Republic of Korea
1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Corresponding Author: S. D. Yoon,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59626, Republic of Korea; W. G. Shim, Suncho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Suncheon, Jeollanam-do 57922, Republic of Korea Tel: S. D. Yoon, +82-61-659-7297; W. G. Shim, +82-61-750-3568 e-mail: S. D. Yoon, yunsd03@chonnam.ac.kr; W. G. Shim, wgshim@sunchon.ac.kr
February 18, 2020 ; March 6, 2020 ; March 10, 2020

Abstract


In this study, chitosan/zeolite composites were prepared by using basalt-based zeolite impregnated with aqueous chitosan solution for the adsorptive separation of CO2. The prepared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nitrogen adsorp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adsorption equilibrium isotherms for CO2 and N2 were measured at 298 K using a volumetric adsorption syste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adsorption isotherm equations (Langmuir, Freundlich, and Sips) and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It was found that CO2 adsorption capaciti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zeolite, and the ratio of elements [N/C, Al/(Si + A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oreover, the CO2/N2 adsorption selectivity was calculated under the mixture conditions of 15 V : 85 V, 50 V : 50 V, and 85 V : 15 V using the Langmuir equation and the ideal adsorption solution theory (IAST).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홍 웅길1, 황 경준*,1, 정 경원**, 윤 순도***,†, 심 왕근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NanoSD Inc.
**조선이공대학교 생명환경화공과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CO2 가스의 흡착 분리를 위해 현무암 기반 제올라이트에 키토산 수용액을 함침하여 키토산/제올라이 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복합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SEM, 질소 흡착, FT-IR, TGA, XPS로 분석하였다. 또한 부피식 흡착장치를 이용하여 복합체의 CO2와 N2 흡착량을 298 K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흡착등온식(Langmuir, Freundlich, Sips)과 흡착에너지 분포함수(AED)로 조사하였다.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량은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의 구 조적 특성과 복합체 표면에 새롭게 형성된 원소인 N/C와 Al/(Si + Al)의 비율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CO2/N2 분리 선택도는 Langmuir 흡착등온식과 이상흡착용액이론(IAST)을 이용하여 혼합물 조성이 15 V : 85 V, 50 V : 50 V, 85 V : 15 V인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1. 서 론

    기후 변화에 의한 지구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대표 가스로 이산화 탄소(CO2)는 주로 인간 활동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배출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규제하여 각 국가별로 감축 계획을 수립 후 이행하고 있다[1,2].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저 감 및 재사용을 위한 다양한 분리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주로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소에서 연소 후 나온 이 산화탄소를 연소가스에서 분리하는 방법으로 아민계 흡수제를 이용 한 이산화탄소 흡수법과 고형의 다공성 흡착제인 활성탄, 제올라이트 (zeolite), 알칼리금속계열 산화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었다 [3]. 또한, 분리막인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연소가스에서 이 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4].

    주로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연구개발 초창기에는 산업 현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은 석회석(limestone)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흡수 제로 활용되었으나 낮은 재흡수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흡수제의 개발 이 이루어졌다[5]. 이러한 연구 중, 고리형 아민(cyclic amines) 및 알 칸올아민(alkanolamin)은 대표적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제로써 대기압 및 상온에서 99% 가까운 흡수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하고 대부분 이 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기존 산업 공정에 적용하고 있다[6]. 하지만 아 민계 흡수제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분리를 위해 금속으로 구성된 공정 설비에 대하여 높은 부식력을 갖고 있어 높은 이산화탄소 저감 시설 유지비를 요구한다[7,8]. 이와 같은 아민 습식 흡수제의 단점은 보다 단순하며 효율적인 공정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분리를 위한 알칼리 금속/알칼리토금속 기반 고상 흡수제, 가교결합 고분자 계열의 고상 흡수제, 아민 기반 흡착제(amine grafted adsorbent), 제올라이트, 활성 탄과 같은 고상 흡착제에 관한 연구 개발을 가져왔다[9,10].

    기존의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미세 세공이 잘 발달한 제올라이트와 활성탄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착 분리하는 공정은 아민계 흡수 제를 통한 흡수 공정 보다 이산화탄소를 포집 후 고농도로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11]. 하지만 이산화탄소 분리 공정에서 제올라 이트는 높은 친수성을 갖고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외 공 정상 기타 가스도 흡착이 잘되어 흡착 선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 다. 활성탄의 경우 기존 아민계 흡수제에 비해 이산화탄소 포집력이 적으며 재생 시 안정성이 상당히 떨어져 흡착제를 지속적으로 교체해 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12]. 또한, 아민 고상 흡수제의 경우 아민과 이 산화탄소의 화학 결합 통해 요소를 생성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 으로 포집한다. 하지만, 미세 세공을 가진 흡착 소재에 비하여 낮은 표면적으로 갖고 있어 이산화탄소 흡착력을 증가시키는데 제한이 있 다. 그리고 아민과 이산화탄소의 화학 결합 후, 아민과 이산화탄소 분 리 시에 부족한 물 분자로 인하여 요소와 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만 드는 역반응이 일어나기 힘들어 아민 고상 흡수제의 재생에 있어 문 제점을 갖고 있다[13].

    최근에 제올라이트와 같은 친수성 흡착제에 아민기를 결합하여 아 민 기반 흡착제인 아민-제올라이트 혹은 아민-메조포러스 실리카 복 합체를 제조하여 이산화탄소의 흡착 및 탈착 후 재생력이 우수한 흡 착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흡착제는 고온에서도 제올라이트의 친수 성으로 인한 흡착제 화학 결합 구조의 물 분자들이 이산화탄소 흡착 후 생성된 요소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 반응이 유리한 환경을 조 성하여 준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기공이 잘 발달되어 있으 면서도 높은 친수성을 갖고 있는 현무암 광물을 활용하여 제조한 제 올라이트를 고상 흡착제로 이용하였다. 여기에 아민기를 다수 갖고 있 어 이산화탄소의 화학 결합을 할 수 있는 키토산 수용액을 활용하여 준비된 제올라이트 고상 흡착제에 다양한 농도 별로 함침 후 아민 기 반 흡착제인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키토산/ 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는 SEM, 질소 흡착, FT-IR, TGA, XPS를 이용 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동 부피식 흡착 평형 장치를 활용 하여 298 K에서 CO2와 N2에 대한 복합체의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또 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에 있어 흡착 기반 장치 설계 시 필수 정보로 흡착 평형 특성을 조사하였 다. 그리고 개발된 복합흡착제의 불균일 특성을 흡착에너지 분포함수 로 나타내었으며 개발된 복합흡착제와 CO2 흡착 평형 특성 결과를 이 용하여 혼합 가스에 대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흡 착 선택도를 분석하여 제시했다.

    2. 실 험

    2.1.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 제조

    키토산(Mw 141 kDa, Sigma-Aldrich, South Korea)과 제올라이트 (Cheorwon Plasma Research Institute, South Korea) 혼합물을 사용하 여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를 제조하였으며, 복합흡착제 제조 과정은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제올라이트는 본 연구의 저자 들이 앞서 연구했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15]. 키토산/제올라 이트(Ch-Z) 복합흡착제는 1~3 wt%의 키토산 수용액에 제올라이트 1 g을 넣어 약 12 h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된 용액을 25 mL 원심 분리 튜브에 넣어 원심 분리기를 이용하여 4 ℃ 온도에서 500 rpm의 회전 속도로 복합흡착제와 남은 반응 용액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튜브 하층에 침전된 복합흡착제는 동결 건조기 용기로 옮긴 다음 4 h 건조 후 제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 착제는 Ch-Z-1, Ch-Z-2, Ch-Z-3로 표기하였으며, Ch와 Z는 키토산과 제올라이트를 의미하며 숫자는 키토산 함량을 나타낸다.

    2.2.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특성 분석

    제조한 복합흡착제의 표면 화학 구조는 적외선 분광광도계(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JP/IRAffinity-1S, Shimadzu)로 분석하였다. 복합 흡착체의 구조적 변화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비 교군으로 키토산과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였으며, 650~4,000 cm-1의 범 위의 파장 영역에서 관찰하였다. Ch-Z의 표면 형상은 전계 방사형 주 사 전자현미경(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SM-7610F Plus, JEOL)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단결정 X-선 회 절 분석기(XRD: X-ray diffraction analysis, R-AXIS RAPID II, Rigaku) 로 키토산, 제올라이트, Ch-Z의 결정 구조를 분석하였다. XRD 분석은 입사각(2θ) 5~80˚ 범위에서 분석하였다. 열중량 분석계(TGA: thermogravimetry analyzer, Q50, TA Instrument)로 키토산, 제올라이트, Ch-Z의 열적 특성을 조사했다. 열분석의 승온 속도는 10 ℃/min로 30 ℃에서 800 ℃까지 측정하였다. 그리고 완전연소를 위하여 carrier gas 로 공기를 40 mL/min로 공급하면서 분석하였다. X-선 광전자 분광기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ultilab 2000 System, SSK) 로 키토산, 제올라이트, Ch-Z의 표면 화학 조성을 조사하였다.

    복합흡착제의 비표면적, 기공 부피 및 기공 크기 등의 구조적 특성 변화는 77 K 에서 측정한 질소흡착등온선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 다. 질소 흡착량은 자동 부피식 흡착량 측정장치(nanoPorosity-XG, Mirae SI)로 353 K(제올라이트-773 K)에서 24 h 동안 시료를 진공으 로 배기한 후 측정하였다. 비표면적은 Brunauer-Emmett-Teller (BET) 관계식을 이용하였으며, 기공부피는 Dubinin-Raduskevich (DR) 및 Barrett-Joyner-Halenda (BJH) 식으로 구하였다[16-18]. 또한, 흡착제의 Fractal dimension은 Frenkel-Halsey-Hill (FHH) 관계식으로 구하였다 [19]. 키토산 복합체의 표면 불균일성은 흡착에너지 분포함수(AED: adsorption energy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계산했다[15,20,21]. AED 기본관계식은 아래와 같다.

    θ ( p ) = Δ θ ( p , E ) F ( E ) d E
    (1)

    여기에서 pE는 압력과 흡착에너지를 나타내며, Δ는 적분 영역 을 의미한다. 그리고 θ ( p ) , θ ( p , E ) , F ( E ) 는 실험으로 얻은 흡착등온선 데이터, 국부 흡착등온식, AED를 나타낸다.

    2.3. 흡착 평형 실험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에 대한 CO2와 N2 흡착평형실험은 자동 부 피식 흡착량 측정장치(nanoPorosity-XG, Mirae SI)를 이용하여 298.15 K에서 가스 압력은 최대 110 kPa까지 측정하였다. 흡착 평형 실험은 복합흡착제 약 0.1 g을 흡착 셀에 넣고 압력은 진공 조건, 353 K(제올 라이트-773 K)인 조건에서 24 h 동안 전처리하여 흡착제에 남아 있는 수분과 미량의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수행하였다. 흡착 실험에 사용한 CO2와 N2 가스는 고순도 가스(> 99.99%)를 사용했다.

    3. 결과 및 고찰

    3.1. Ch-Z 복합체 특성 분석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Ch-Z-1, Ch-Z-2, Ch-Z-3)의 질소 흡 착등온선과 이로부터 구한 BET 비표면적, 미세 및 중간 기공 부피, 평 균 기공 크기를 Figure 2(a), (b)와 Table 1에 나타냈다. 질소흡착등온 선은 IUPAC에서 제안한 분류 방식 type III에 해당하였는데 이는 키토 산 흡착제의 질소 흡착 경향과 유사한 것이었다[Inset in Figure 2(a)]. 즉, 복합체의 구조적 특성은 키토산 함량에 큰 영향을 받았다. 키토산 함량이 가장 작은 Ch-Z-1의 질소 흡착등온선은 상대 압력이 낮은 영 역에서는 위로 볼록한(favorable) 형태를 보이지만, 키토산 함량이 높 아지면 질소 흡착등온선은 선형인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키토산 함량을 증가시킬수록 제올라이트의 미세기공이 막히게 되어 복합체 의 비표면적과 미세기공 부피는 크게 감소한 반면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에서 새로운 구조 형성으로 인한 중간기공영역의 기공 부피는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에 비해서 크게 증가하고, 중간 기공 크기도 커졌 다[Figure 2(b), Table 1].

    Figure 2(c)는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질소 흡착에너지 분 포함수(AED)를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착에너지는 흡착제의 표면 특성 및 기공 크기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중간 기공이 발달 한 흡착제의 AED 피크는 낮은 에너지 영역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미 세기공이 발달한 흡착제의 AED 피크는 높은 에너지 영역에 위치한다 [22]. 제조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 흡착체는 하나의 피크를 나타내 는 것으로 보아 복합체 표면에 질소 분자에 대해 하나의 주 에너지 사 이트가 존재함을 확인 하였다. 제조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 의 AED 피크 폭(kJ/mol)은 9.45 (Ch-Z-1), 9.01 (Ch-Z-2), 8.68 (Ch-Z-3) 으로 나타나 키토산 함유량이 커질수록 피크 폭이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복합흡착제의 AED 최대피크(kJ/mol)/최고 높이 (mol/kJ)는 6.28/1.57 (Ch-Z-1), 6.17/1.96 (Ch-Z-2), 5.95/2.38 (Ch-Z-3) 으로 키토산 함유량이 커질수록 최대 피크 위치는 낮은 에너지로 이 동하고 최고 피크 높이는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Figure 2(c) inset 에는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의 AED 피크를 비교하였다. 키토산의 AED 곡선은 낮은 에너지 영역(3.0~9.5 kJ/mol)에서 1개의 피크를 보인 반 면 제올라이트는 높은 에너지 영역(11.5~14.5 kJ/mol)과 낮은 에너지 영역(3.0~8.5 kJ/mol)에서 2개의 피크를 나타냈다. 이는 질소에 대해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의 주 흡착 사이트가 다르게 존재함을 의미하며 제올라이트는 미세공영역이 더 발달한 흡착제임을 확인해 주는 결과 이다. 또한 제올라이트에 키토산 함유량을 점차 높이면 제올라이트에 있는 미세기공들이 제올라이트의 세공 표면에 결합된 키토산 층에 의 해 차단되어 AED 피크는 흡착에너지가 낮은 쪽으로 조금씩 이동해가 고 이에 따른 복합체의 표면 에너지 균일성도 올라감을 알 수 있다. 또한, FHH 관계식에서 구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표면 거칠기 값의 범위는 2.83~2.88으로 제올라이트(2.93)보다 작고 키토산 (2.59)보다는 큰 값을 나타내었다[Figure 2(d)]. 이로부터 제올라이트 에 키토산 용액으로 코팅한 복합흡착제의 표면 거칠기는 키토산의 코 팅양이 증가할수록 더 완화되어 부드럽게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키토산의 양을 증가시켜 제올라이트를 코팅하여 제조 한 키토산/제 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형태학적 특성은 FE-SEM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는 Figure 3(a)~(c)에 나타내었다.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의 비율 이 1 : 1인 Figure 3(a)는 제올라이트의 형상이 선명하게 보이는 반면, 키토산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키토산이 제올라이트에 코팅 정도가 증 가하여 제올라이트의 형태가 조금씩 변형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 다[Figure 3(b), (c)]. 이는 제올라이트의 형태가 키토산 비율이 증가할 수록 더 많이 코팅이 되어서 제올라이트의 형태가 없어진 것으로 보 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기술한 Figure 2(c), (d)의 AED와 FHH를 이용하여 키토산/제올라이트의 복합흡착제의 표면 특성 분석을 한 결 과와 일치한다. 또한, Table 1에 정리한 XPS 분석결과는 키토산/제올 라이트 복합흡착제의 표면에 순수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에 있는 C, N, Al, Si 성분들이 일정 비율로 새롭게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들 비 율은 순수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이 결과는 키토 산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잘 코팅되어 화학 결합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러나 키토산 코팅량에 따른 N/C 비율과 Al/(Si + Al) 비율간의 상관 관 계성은 특별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제조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 화학 구조는 FT-IR을 이용 하여 규명했으며, 그 결과를 Figure 4(a)에 키토산 및 제올라이트와 함 께 나타냈다. 그림에 비교하여 나타낸 것처럼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 흡착제의 경우 키토산의 고유 피크인 1,550 cm-1에서 amide II의 -NH- 에 해당하는 굽힘 진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복합흡착제 에서 키토산이 제올라이트 구조 표면에 결합되어 아민기를 가진 제올 라이트가 형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 착제의 결정성을 규명하기 위해 키토산과 제올라이트, 비율별로 제조 된 복합흡착제를 XRD로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Figure 4(b)에 나타 내었다. 키토산은 2θ = 10˚와 2θ = 20˚에서 아민기와 수산기의 배 열에 의한 결정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체적인 회절 패턴은 결 정성과 비결정성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23]. 그리고 제올라 트의 경우에는 2θ = 6 (200), 15.5 (420), 23 (600), 27 (640), 31˚ (694) 부근에서 가장 제올라이트 Na4A 결정 구조에 관한 피크가 가장 강하 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 Na4A 계열 제올라이트의 XRD 피크 형태와 일치하였다[24]. 이와는 달리 제조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경우 제올라이트의 결정성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θ = 6˚ (Ch-Z-1)와 2θ = 25˚ 부근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결정성 피크를 보 였다. 이는 제올라이트 위에 코팅층을 형성한 키토산이 강한 결정성을 보이는 제올라이트의 회절 패턴을 상쇄 후 감소된 제올라이트 XRD 회절 패턴을 보여주는 현상에 기인한다.

    Figure 4(c)는 열중량 분석계(TGA)를 이용하여 비율별로 제조한 복 합흡착제의 열적 특성 결과를 키토산 및 제올라이트의 샘플의 분석 결과와 함께 나타내었다. 제올라이트의 무게는 온도 약 150 ℃ 부근 까지 기공 내부에 남아있는 흡착된 수분이 증발 되면서 완만하게 감 소하였으며, 이후 300 ℃ 이상에서는 무게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토산은 온도 약 100 ℃ 부근에서 수분이 제거되면서 1차 적인 무게 감소가 약 5% 정도 이루어지고 이후 약 260 ℃에서 키토산 의 아민 그룹이 분해기 시작하면서2번째로 급격한 무게 감소가 이루어 졌다. 그리고 온도가 800 ℃까지 올라감에 따라 무게 변화는 20% 이 하로 계속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 (Ch-Z)는 키토산의 코팅 양이 증가하면서 분해 온도가 234 (Ch-Z-1), 240 (Ch-Z-2), 245 ℃(Ch-Z-3)로 키토산과 제올라이트 분해 온도의 중 간 부분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올라이트에 키토산 코팅이 잘 형성되어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열적 안정성 궁극적으로 올라갔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제조된 복합흡착제가 CO2 흡착 후 열적 탈착 및 재생 시 사용되는 130~200 ℃의 고온 영역 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함을 입증해주는 결과이다[25].

    3.2. 복합체의 흡착 평형 특성

    흡착 평형 데이터는 목적 물질에 대한 흡착제의 흡착 능력 평가, 흡 착제의 흡착 수명, 흡착 거동 해석, 흡착 기반 장치 설계 등에 이용되 는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26,27]. Figure 5(a), (b)에는 키토산/ 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 특성을 키토산과 제올라이트 흡 착 특성과 함께 비교하였다. 그림에 비교한 것처럼, 복합체의 CO2 흡 착 특성은 키토산과 제올라이트의 흡착 특성이 혼재된 경향으로 나타 났지만 전반적인 흡착 특성은 키토산의 경우와 유사했다. 즉,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흡착제는 모두 선형적으로 흡착량이 증가하는 경 향을 보여주었다. CO2 흡착량은 복합흡착제가 키토산에 비해서는 흡 착량이 3.4~6.4 배 더 컸지만, 제올라이트에 비해서는 오히려 흡착량 이 0.2~0.3배 더 작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흡착제의 구조적 특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Table 1에 앞서 정리한 것처럼, 복합 흡착체 의 비표면적값은 제올라이트에 비해 작지만 키토산에 비해서는 더 큰 값을 보인다. 한편 100 kPa에서 구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에 대한 CO2 흡착량은 Ch-Z-2 (1.17 mol/kg) > Ch-Z-1 (0.80 mol/kg) > Ch-Z-3 (0.64 mol/kg) 순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 결과는 기존에 연구된 키토산 복합체의 CO2 흡착량과 유사한 범위에 있는 것이었다[28]. 그 리고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 특성 결과는 흡착제 가 지니고 있는 구조적 특성 이외에 다른 요인이 흡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Ch-Z-2와 Ch-Z-1의 비표면적은 Ch-Z-3 의 34~48%이나 CO2 흡착량은 1.3~1.9배 더 컸다. 그런데 Table 1에 정 리한 것처럼, 복합체를 구성하고 있는 키토산 및 제올라이트의 구성 원소를 살펴보면 N/C 및 Al/(Si + Al) 비율 크기는 Ch-Z-2 > Ch-Z-1 > Ch-Z-3으로 나타나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 특성은 구조적 특성보 다는 복합흡착제를 구성하고 있는 원소 비율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 으로 판단된다.

    CO2에 대한 대상 흡착제의 흡착 평형 특성 관계는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Langmuir, Freundlich, Sips으로 살펴보았다. 이들 관계 식은 Table 2에 각 식의 매개변수들과 함께 정리하였다. Langmuir와 Freundlich 흡착등온식은 2개의 매개변수를 갖는 반면에 Sips식은 3개 의 매개변수를 갖는다[26,27]. 이들 흡착등온식의 매개변수들은 Nelder- Mead 법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실험값과 계산값의 차이는 회귀 분석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15,22]. Table 3에 정리한 것처럼, 모든 흡착등온식이 R2 > 0.998 이상으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CO2 흡착 특성 관계를 잘 설명해주었다. Figure 5(a)는 이 연구에 적 용한 흡착등온식 가운데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예측한 결과를 실 험데이터와 함께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Freundlich와 Sips 등온식에서 흡착에너지 불균일 정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 값(n)이 1.0 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CO2에 대한 흡착에너지는 비교적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공성 매질의 표면 성질은 매질이 지닌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불균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흡착에너지분포함수는 이러한 다공성 매 질의 표면 에너지 불균일 특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 중 하 나이다[20-22,26,27]. Figure 5(c), (d)는 298 K에서 CO2에 대한 키토산 /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흡착에너지 분포를 키토산 및 제올라이트 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AED 결과를 구하기 위해 Generalized Nonlinear Regularization (GNR) 법을 사용하였다[15,22,29]. Figure 5(c)에 비교한 것처럼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는 AED 피크 폭과 높이는 차이가 있지만 키토산 함유량에 관계없이 하나의 피크를 보여주었다. 이는 제조한 복합흡착제가 CO2에 대해 하나의 주 요한 흡착 사이트를 지님을 의미한다. AED의 피크 폭과 최대 피크 높 이는 Ch-Z-2 (26.1 kJ/mol, 0.316 mol/kJ) > Ch-Z-1 (25.2 kJ/mol, 0.313 mol/kJ)> Ch-Z-3 (24.8 kJ/mol, 0.306 mol/kJ) 순서로 나타났다. 이 결 과는 CO2에 대한 흡착등온식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Ch-Z-2는 다른 복합흡착제에 비해 더 강하고 많은 흡착 사이트를 갖고 있음을 의미 한다. AED 특성과 흡착제의 비표면적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 려져 있으나 이 계산 결과는 복합흡착제의 흡착 친화성은 제조한 복 합체의 구조적 요인 이외에 다른 특성도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편 AED 피크 폭은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가 키토산 (26.1 kJ/mol)과 제올라이트(5.5 kJ/mol)에 비해 더 넓었다. 하지만, 피 크 높이는 키토산(0.131 mol/kJ)에 비해 더 높은 반면 제올라이트(0.345 mol/kJ))에 비해서는 더 낮았다. 이와 같이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 착제의 AED 모양과 형태는 키토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키토산이 제조한 복합체의 구조-에너지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제 CO2 분리를 위한 응용 관점에서는 대상 흡착제의 높은 CO2 흡착량과 기체 혼합물에서 높은 CO2 선택도가 중요하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CO2와 더불어 연도 가스(flue gas)의 주성분 가운 데 하나인 N2를 비교 물질로 선정하여 CO2의 선택도를 살펴보았다. Figure 6(a)는 3종류의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 가운데 CO2 흡 착량이 가장 높았던 Ch-Z-2에 대해 298 K에서 측정한 N2 흡착등온선 데이터를 CO2 흡착등온선 데이터와 Langmuir 흡착등온식으로 fitting 한 결과(실선)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이 비교 결과는 CO2에 대한 Ch-Z-2의 흡착량이 N2에 비해 더 큼을 나타내는데 이는 대부분의 다 공성 매질에서 볼 수 있는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15]. 평형 압력 100 kPa에서 비교한 Ch-Z-2의 CO2 흡착량은 N2 흡착량보다 약 8.2배 더 컸는데 기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극자모멘트(quardrupole moment) 와 분극율(polarizability) 값이 큰 CO2 가 N2에 비해 흡착량이 더 크다 고 알려져 있다[30]. Table 4는 N2에 대한 Langmuir, Freundlich, Sips 흡착등온식 매개변수값을 정리한 것이다. Langmuir 흡착등온식의 R2 값은 0.952 이상으로 질소 흡착등온선을 비교적 만족스럽게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Freundlich와 Sips의 경우에도 R2값이 0.999 이상으로 실 험 결과를 매우 잘 설명하고 있으며, 불균일지수를 나타내는 n값은 1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Ch-Z-2의 N2에 대한 흡착 특성은 CO2 흡착 등온선과는 다르게 비우호적이었다. Figure 6(b)는 Ch-Z-2의 CO2와 N2의 AED를 비교한 것이다.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닌 흡착 질이 대상 흡착제 표면에서 에너지 불균일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 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298 K에서 측정한 N2 데이 터를 이용하여 AED를 계산하였다. 그림에 비교한 것처럼, N2의 AED 는 CO2와 동일하게 단일 피크를 보여 제조한 복합체에 하나의 흡착에 너지 사이트가 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N2의 흡착에너지 값은 CO2보 다 적으면서 피크 폭은 더 좁고 최대 피크 높이는 더 높았다. 이로부 터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경우에는 N2가 CO2에 비해 더 균 일한 흡착에너지 분포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CO2 흡착량이 가장 좋았던 Ch-Z-2가 CO2와 N2가 혼합된 조건에서 얼마나 좋은 기체 분리/정제 성능을 보이는지 이상흡착용액이론 (IAST)을 이용한 선택도와 순수성분 흡착 선택도를 이용하여 비교하 였다. 이 방법은 혼합 성분에 관한 실험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단일 성분 흡착등온식 결과만으로도 흡착제의 분리 특성을 예측해볼 수 있 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15,31,32]. IAST선택도와 순수 성분 흡착 선택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용액(IAST) 선택도 S C O 2 N 2 = x C O 2 y C O 2 x N 2 y N 2
    (2)

    순수성분 흡착 선택도 K C O 2 N 2 = K H C O 2 K H N 2
    (3)

    여기서 x, y는 흡착상과 기체상의 몰분율을 나타내며, K는 헨리상 수로 흡착질과 흡착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CO2 : N2 비율을 일반적인 flue 가스 혼합물 조성인 15 V : 85 V를 비롯하 여 50 V : 50 V와 85 V : 15 V를 선정하여 압력 변화에 따른 IAST 선택도 변화와 고정 압력(100 kPa)에서 CO2 몰분율에 따른 IAST 선 택도를 구하여 Figure 7(a), (b)에 나타냈다. 여기서 단일 성분의 Langmuir 흡착등온식의 매개변수값으로 IAST 선택도를 구하였다. 그 림에 나타낸 것처럼 CO2 선택도가 압력과 몰분율에 크게 영향을 받음 을 알 수 있다. CO2 선택도는 압력은 낮을수록 그리고 CO2 몰분율은 높을수록 높아짐을 IAST 선택도 계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IAST 선택도는 이 연구에서 선정한 모든 CO2 : N2 비율에서 압력이 올라가 면서 급격한 기울기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CO2 비율이 15와 50 V인 경우에는 압력 약 20 kPa을 넘어가면 IAST 선택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85 V인 경우에는 압력에 따른 IAST 선택도 변화가 여 전히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다[Figure 7(a)]. 그리고 CO2 몰분율이 높 아질수록 IAST 선택도 값도 크게 올라감이 확인된다. 100 kPa에서 IAST 선택도 값은 1.7 (15 V : 85 V), 7.4 (50 V : 50 V), 38.0 (85 V : 15 V)이었다[Figure 7(b)]. 그리고 flue 가스 조건으로 구한 순수 성분 흡착 선택도는 12.6으로 문헌에 보고된 유사한 아민 개질 제올라 이트 흡착제의 선택도 값에 비해 작았는데 이는 대상물질(CO2, N2)에 대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흡착친화도가 낮기 때문이다. 하지 만. 계산된 CO2의 순도( ( q C O 2 / ( q C O 2 + q N 2 ) × 100 ) )는 약90%로 문헌에 보 고된 값과 비슷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키토산/제올라이트 복 합체가 CO2 분리 매질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32].

    4. 결 론

    현무암 기반 제올라이트에 서로 다른 농도를 지닌 키토산 수용액을 함침하여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질소가스 흡 착, SEM 및 XRD 분석을 통해 복합흡착제의 구조 분석 결과 제올라 이트는 키토산에 의하여 미세 세공이 막혀 비표면적과 기공 부피는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FT-IR 분석결과 키토산은 제올라 이트 구조 표면에 코팅되어 안정적인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를 형 성하고 있었다. 또한, TGA 분석을 통하여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 착제의 CO2 분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온도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 을 수 있었다.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CO2 흡착량은 298 K 에서 0.64~1.2 mmol/g으로 제올라이트에 비교해서는 적었지만 키토산 보다는 더 큰 흡착량을 보여주었다. 특히 제조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CO2 흡착은 흡착체의 구조적 특성과 흡착체 표면에 새롭게 형성된 원소들 즉 N/C 및 Al/(Si + Al)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복합체에 대한 CO2와 N2 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 Freundlich, Sips 등온식으로 만족스럽게 예측되었으며, AED 관계식 은 복합체의 표면에너지 균일성을 평가하는데 좋은 정보를 제공해주 었다. 한편 이 연구에서 개발된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흡착제의 산업 현장의 연도 가스 내 CO2와 N2 분리 공정 가능성 판단을 위해 IAST 선택도를 계산한 결과 압력이 높아질수록 CO2에 대한 IAST 선택도는 감소한 반면 CO2의 몰분율은 증가할수록 IAST 선택도는 증가함을 확 인했다.

    감 사

    이 논문은 2017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No. NRF-2017R1D1A3B03034385)과 2017 년 순천대학교 학술연구비 공모과제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립 니다.

    Figures

    ACE-31-2-179_F1.gif

    Schematic procedure of chitosan/zeolite composites.

    ACE-31-2-179_F2.gif

    Nitrogen adsorption isotherms (a) and corresponding pore size distribution curves (b) for chitosan/zeolite composites. Adsorption energy distribution curves (c) and FHH fractal dimensions (d) for chitosan/zeolite composites.

    ACE-31-2-179_F3.gif

    FE-SEM images of chitosan/zeolite composites: (a) Ch-Z-1, (b) Ch-Z-2, and (c) Ch-Z-3.

    ACE-31-2-179_F4.gif

    FT-IR spectra (a), XRD patterns (b) and TGA curves(c) of chitosan/zeolite composites, zeolite and chitosan.

    ACE-31-2-179_F5.gif

    Adsorption isotherms of CO2 at 298 K for (a) chitosan/zeolite composites and (b) chitosan and zeolite. CO2 adsorption energy distribution curves for (c) chitosan/zeolite composites and (d) chitosan and zeolite.

    ACE-31-2-179_F6.gif

    Adsorption isotherms of CO2 and N2 at 298 K for (a) Ch-Z-2 and their adsorption energy distribution curves (b).

    ACE-31-2-179_F7.gif

    IAST selectivities for CO2/N2 mixtures on Ch-Z-2 [IAST selectivity vs pressure (a) and IAST selectivity vs mole fraction (b)].

    Tables

    Textural Properties and XPS Analysis of Chitosan/Zeolite Composites, Zeolite and Chitosan

    Adsorption Isotherm Equations

    Isotherm Parameters of Langmuir, Freundlich, and Sips Models for CO2 on Chitosan/Zeolite Composites

    Isotherm Parameters of Langmuir, Freundlich, and Sips Models for N2 on Ch-Z-2

    References

    1. IEA, Prospects for CO2 capture and storage, Energy Technology Analysis, Paris, France (2004).
    2. E. Klein, Affinity membranes: A 10-year review, J. Membr. Sci., 179, 1-27 (2000).
    3. S. H. Hyun, S. Y. Jo, and B. S. Kang, Surface modification of γ- alumina membranes by silane coupling for CO2 separation, J. Membr. Sci., 120, 197-206 (1996).
    4. Y. M. Cho, J. Y. Lee, S. B. Kwon, D. S. Park, J. S. Choi, and J. Y. Le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at low concentration on zeolite 5A and zeolic 13X, J. Korean Soc. Atmos. Environ., 27, 191-200 (2011).
    5.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as Cleaning, Pittsburgh, USA (2002).
    6. A. Jamal, A. Meisen, and C. J. Lim, Kinetics of carbon dioxide absorption and desorption in aqueous alkanolamine solutions using a novel hemispherical contactor-I. Experimental apparatus and mathematical modeling, Chem. Eng. Sci., 61, 6571-6589 (2006).
    7. J. C. S. Terra, J. A. Moores, and F. C. C. Moura, Amine-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as a support for on-demand release of copper in the A3-coupling reaction: Ultralow concentration catalysis and confinement effect, ACS Sustain. Chem. Eng., 7, 8696-8705 (2019).
    8. Z. Hu, D. Zhang, and J. Wang, Direct synthesis of amine-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or CO2 adsorption, Chin. J. Chem. Eng., 19, 386-390 (2011).
    9. R. V. Siriwardane, M.-S. Shen, E. P. Fisher, and J. Losch, Adsorption of CO2 on zeolites at moderate temperatures, Energy Fuel, 19, 1153-1159 (2005).
    10. M. Pellerano, P. Pré, M. Kacem, and A. Delebarre, CO2 capture by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s using pressure modulation, Energy Procedia, 1, 647-653 (2009).
    11. M. Oschatz and M. Antonietti, A search for selectivity to enable CO2 capture with porous adsorbents, Energ. Environ. Sci., 11, 57-70 (2018).
    12. M. J. Lashaki, S. Khiavi, and A. Sayari, Stability of amine-functionalized CO2 adsorbents: A multifaceted puzzle, Chem. Soc. Rev., 48, 3320-3405 (2019).
    13. C. Kim, H. S. Cho, S. Chang, S. J. Cho, and M. Choi, An ethylenediamine- grafted Y zeolite: A highly regenerable carbon dioxide adsorbent via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without urea formation, Energ. Environ. Sci., 9, 1803-1811 (2016).
    14. K. Min, W. Choi, C. Kim, and M. Choi, Oxidation-stable amine-containing adsorbents for carbon dioxide capture, Nat. Commun., 9, 726 (2018).
    15. K.-J. Hwang, W.-S. Choi, S.-H. Jung, Y.-J. Kwon, S. Hong, C. Choi, J.-W. Lee, and W.-G. Shim, Synthesis of zeolitic material from basalt rock and its adsorption properties for carbon dioxide, RSC Adv., 8, 9524-9529 (2018).
    16. S, Brunauer, P. H. Emmett, and E, Teller, Adsorption of gases in multimolecular layers, J. Am. Chem. Soc., 60, 309-319 (1938).
    17. E. P. Barrett, L. G. Joyner, and P. P. Halenda, The determination of pore volume and area distributions in porous substances. I. Computations from nitrogen isotherms, J. Am. Chem. Soc., 73, 373-380 (1951).
    18. M. M. Dubinin and L. V. Radushkevich, The equation of the characteristic curve of activated charcoal, Dokl. Akad. Nauk. SSSR, 55, 327-329 (1947).
    19. D. Avnir and M. Jaroniec, An isotherm equation for adsorption on fractal surfaces of heterogeneous porous materials, Langmuir, 5, 1431-1433 (1989).
    20. M. Jaroniec and R. Madey, Physical Adsorption on Heterogeneous Solids,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 (1988).
    21. W. Rudzinski and D. Everett, Adsorption of Gases on Heterogeneous Solid Surfaces,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1991).
    22. K.-J. Hwang, C. Im, D.W. Cho, S.-J. Yoo, J.-W. Lee, and W.-G. Shim, Enhanced photovoltaic properties of TiO2 film prepared by polycondensation in sol reaction, RSC Adv., 2, 3034-3048 (2012).
    23. N. M. Julkapli, Z. Ahmad, and H. M. Akil, X-Ray diffraction studies of cross linked chitosan with different cross linking agents for waste water treatment application, AIP Conf. Proc., 1202, 106-111 (2010).
    24. F. Zamani, M. Rezapour, and S. Kianpour, Immobilization of L-lysine on zeolite 4A as an organic-inorganic composite basic catalyst for synthesis of α,β-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under mild conditions, Bull. Korean Chem. Soc., 34, 2367-2374 (2013).
    25. T. C. Drage, K. M. Smith, A. Arenillas, and C. E. Snape,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regeneration of polyethylenimine based CO2 adsorbents, Energy Procedia, 100, 875-880 (2009).
    26. C. Tien, Adsorption Calculations and Modelling, Butterworth-Heinemann, London, England (1994).
    27. D. D. Do, Adsorption Analysis: Equilibria and Kinetics, Imperial College Press, London, England (1998).
    28. G. Sneddon, A. Y. Ganin, and H. H. P. Yiu, Sustainable CO2 adsorbents prepared by coating chitosan onto mesoporous silicas for large‐scale carbon capture technology, Energy Technol., 3, 249-258 (2015).
    29. Y. H. Yoon, S. D. Yoon, J. W. Nah, and W. G. Shim, Adsorption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sulindac on chitosan-based molecularly imprinted functional polymer films, Appl. Chem. Eng., 30, 233-240 (2019).
    30. J. R. Li, R. J. Kuppler, and H. C. Zhou, Selective gas adsorption and separation in metal-organic frameworks, Chem. Soc. Rev., 38, 1477-1504 (2009).
    31. A. L. Myers and J. M. Prausnitz, Thermodynamics of mixed‐gas adsorption, AIChE J., 11, 121-127 (1965).
    32. D. Panda, E. A. Kumar, S. K. Singh, Amine modification of binder- containing zeolite 4A bodies for post-combustion CO2 capture, Ind. Eng. Chem. Res., 58, 5301-531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