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암모니아(NH3)는 요소(Urea)를 원료 또는 재료로 사용하는 코크스 제조공정, 석유 정련소 등의 화학시설에서 배출된다. 뿐만 아니라, 화 력발전소, 소각로 그리고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을 제거하기 위하여 환원제로 암모니아 또는 요소를 이용한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이 이용되는데, 이때 완전히 반응하지 못한 미 반응 암모니아 또한 배기가스 내에 포함되어 배출된다. 이처럼 다양한 고 정오염원 또는 이동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의 배출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1]. 이러한 암모니아는 인체 및 환경에 심각한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농도 암모니아가 인체에 노출되는 경 우 기도화상, 피부 화상, 점막 화상 등을 입을 수 있으며, 고농도 암모 니아는 호흡 장애를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 근 문제가 되고 있는 초미세먼지(PM2.5)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의 오존(O3), 수산화기(OH-)과 반응하여 질산(HNO3)을 생성하고, 생성된 질산이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2차적 미세먼지 중 하나인 질산암모늄 (NH4NO3)을 생성한다. 따라서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의 필 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스상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 기술로는 흡착법, 흡수법, 연소법, 생물학적 처리법, 촉매산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2]. 이 중 암모니아의 농도에 크게 영 향을 받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선택적 촉매 산화법(SCO, selective catalytic oxidation)이 각광 받고 있다. 선택적 촉매 산화법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3,4].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 산화법(NH3-SCO)에 사용되는 촉매의 활성 금속은 귀금속(noble metal) 계와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계로 나눌 수 있다. 전이금속 계 촉매에 사용되는 활성금속은 Fe2O3[5,6], CuO[7], CeO2[8], CoO[9] 등이 있다. Lee 등[8]에 따르면 암모니아를 질소로 선택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하여 Ce/TiO2 촉매를 이용했을 때 250 ℃에 서 약 18%의 암모니아 전환율을 보였다. 또한 Long 등[5]에 따르면 Fe2O3-TiO2 촉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 산화 실험을 했을 때 300 ℃에 서 39%의 암모니아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이렇듯 암모니아 산화 반응 에서 비귀금속 계 촉매는 300 ℃ 이하의 온도에서 암모니아 전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범위에서 암모니아를 산화하기 위하여 귀금속 계 촉매가 주로 이용되며, Pt[10], Ag[11], Ru[12] 등이 있다. Kim 등[13]은 Pt/V/TiO2 촉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산화하였 을 때 250 ℃의 낮은 온도에서 100%의 암모니아 전환율을 보였다. 그 러나 백금(Pt)은 가격이 매우 비싸며, 조촉매 없이는 N2로의 선택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백금을 대체하기 위한 귀금속 계 촉매의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루테늄(Ru)은 암모니아 산화에 우수한 효 율을 갖는 활성금속으로 알려져 있다[12,14]. Cui 등[12]은 20Ru20Cu/ Al-ZrO2 촉매를 이용하여 200 ℃에서 100%의 암모니아 전환율을 나 타내었으며, 90%가 넘는 N2 선택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높은 함량 의 활성금속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낮은 함량의 활성금속을 이용하 여 반응활성이 우수한 촉매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루테늄을 이용하여 우수한 전환율 및 NH3의 N2 전환율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습윤 함침법을 이용하였으며, 지지체는 환원성 지지체인 TiO2에 루테늄을 담지하여 촉매를 제조하였다. Kim 등[15]은 CO 산화 촉매인 Pt/TiO2의 열처리 방법으로 소성/환원 조건 에 따라 활성금속의 산화가와 분산도를 제어하였으며, 이에 따라 반 응활성의 차이를 나타내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루테늄 촉매 제조 시 소성/환원 조건에 따른 활성금속의 암모니아 전환율 및 N2 선택도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XRD, BET, TEM, XPS, H2-TPR 분 석을 통하여 Ru/TiO2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2. 실 험
2.1. 촉매 제조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촉매는 활성금속으로 루테늄(Ru)을 사용하였고, 지지체로는 상용 TiO2 (crystal Co. G5)을 사용하였다. 촉매는 습윤 함 침법(wet impregn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활성금속의 전구체는 루테늄 나이트로실나이트레이트[Ru(NO)(NO3)3, Alfa Aesar Co.]를 사용하였으며, 지지체에 대한 무게비(wt.%)로 담지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성금속의 무게비는 1 wt.%로 계산하였으며, 전구체를 제외한 순수 활성금속의 양만큼 계산하여 50 mL의 증류수에 가하였 다. 루테늄 수용액은 30 min 이상 교반하였으며, 정량된 지지체에 수용 액을 혼합하였다. 슬러리 형태의 혼합 용액을 1 h 이상 교반하였으며, 회전진공증발기(Eyela Co. N-N series)를 이용하여 70 ℃, 65 mmHg 의 조건에서 수분을 제거하였다. 또한 미세기공에 수분을 완전히 제 거하기 위하여 103 ℃ 오븐에서 24 h 이상 건조시켰다. 건조 후 촉매 는 공기 분위기에서 10 ℃/min의 승온 속도로 400 ℃에서 4 h 동안 소성하였으며, 해당 촉매를 Ru[1]/TiO2 cal로 언급하였다. 또한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기 위하여 앞서 소성된 촉매를 30% H2/N2 분위기로 600 ℃에서 1 h 동안 환원하였으며, 해당 촉매를 Ru[1]/TiO2 red로 언 급하였다. 촉매 제조에 대한 모식도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2.2. 실험장치 및 방법
본 연구에서 NH3-SCO 실험에 사용된 실험 장치의 모식도는 Figure 2에 나타내었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가스는 산소(O2), 아르곤(Ar), 암 모니아(NH3)로 mass flow controller (MFC)를 사용하여 유량을 조절 하였다. 또한 bubbler에 서큘레이터를 연결하여 40 ℃의 물을 순환시 켰고, Ar 가스를 폭기시켜 일정량의 수분을 반응기로 공급하였다. 또 한 수분이 응축되지 않도록 유입되는 가스의 온도를 180 ℃로 유지하 였다. 반응기는 내경 8 mm, 높이 600 mm인 석영관(quartz tube)을 사 용하였고, 온도를 200~350 ℃로 유지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에 사용되는 촉매는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압프레스를 이용하 여 펠렛화 시킨 후 40~50 mesh로 체거름하여 반응기에 0.25 g을 충진 시켰다. NH3 산화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일산화질소(NO) 농도는 콜 드 트랩(cold trap) 장치를 거쳐 수분을 제거 후 비분산 적외선 가스분 석기(ZKJ-2, Fuji Electric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아산화질 소(N2O)의 농도는 비분산 적외선 가스분석기(ULTRAMAT 6, Siemens) 로 측정하였다. 이산화질소(NO2)의 농도는 검지관(9L, Gas Tec. Co.) 을 사용하였고, 촉매와 미 반응하여 배출되는 NH3 농도는 검지관(3M, 3La, 3L, Gas Tec. Co.)을 사용하였다.
Table 1에는 본 연구의 반응조건을 나타내었다. 반응가스 중 NH3의 농도는 200 ppm으로 고정하였고, 반응가스 내 산소의 농도는 10 vol.% 로 주입하였고, 수분은 전체 유량의 6 vol.%로 주입하여 총 유량은 500 cc/min로 유지하였다.
실험방법은 제조 된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하고, 촉매를 400 ℃에서 전처리하여 촉매의 산화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였다. 전처리 후 실험 온도까지 냉각 하여 실험온도에서 1 h 가량 유지하고 실험을 시작한 다. NH3 가스를 반응기로 투입한 후 농도가 일정해질 때까지 실험을 지속시키고, 이때의 농도를 기록한다. 촉매의 활성은 NH3의 전환율 및 NH3의 N2 전환율로 확인하였으며, 식 (5), (6)과 같이 정의하였다.
2.3. 촉매 특성분석
2.3.1. BET (Brunauer Emmett Teller), BJH (Barrett Joyer Hanlenda)
촉매의 비표면적과 기공 크기는 Micromeritic 사의 ASAP 2010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ET 식을 사용하여 비표면적을 구하였고, 총 기공 부피와 평균 기공 크기는 BJH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2.3.2. XRD (X-ray diffraction)
촉매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ANalytical 사의 X’Pert PRO MRD를 이용하여 X-ray generator: 30 kW, radiation source: Cu Ka (λ = 1.5056 Å) 조건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2θ는 10~90°의 범위로 설정하였고, 6 °/min 주사속도로 측정하였다.
2.3.3. FE-TEM (field emiss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EM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활성금속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FE-TEM과 STEM 분석을 수 행하였다. 사용된 기기는 JEOL사의 JEM-2100F를 사용하였다. 샘플링 은 에탄올에 소량의 촉매를 넣은 후 초음파 진동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구리(Cu) 그리드에 한 방울 떨어뜨리고 건조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2.3.4.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활성금속의 산화가 및 산소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Thermo사의 Alpha-K를 사용하였으며, excitation source는 Al Kα monochromatic (1486.6 eV)로 측정하였다.
2.3.5. H2-TPR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촉매의 분산도 및 환원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Micromeritics사의 2920 Autochem을 사용하였고, 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를 사용하였다. 촉매를 0.3 g 충진하고 불순물 및 수분 제거를 위하여 400 ℃에서 30 min 동안 10% O2/He 분위기로 50 cc/min 유량 에서 전처리 되었다. 60 ℃에서 10% H2/Ar 분위기로 촉매 표면을 안정 화 시켰으며, 10 ℃/min의 승온속도로 800 ℃까지 승온하여 소모된 H2를 확인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소성/환원 조건에 따른 Ru/TiO2 촉매의 활성 영향
본 연구에서는 NH3-SCO 촉매로 지지체인 TiO2에 활성금속 Ru를 1 wt.% 담지하여 Ru[1]/TiO2 촉매를 제조하였다. Gang 등[16]은 Ag/Al2O3 촉매 제조 시 열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소성/환원 촉매를 비 교하였으며, 공기 분위기에서 소성한 촉매에 비하여 수소 분위기에서 환원한 촉매가 더 낮은 온도까지 효율이 우수하다고 언급하였다. 따 라서 제조된 Ru/TiO2 촉매의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촉매 특성 차이 를 확인하였으며, NH3-SCO 반응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igure 3은 Ru[1]/TiO2 cal과 Ru[1]/TiO2 red의 NH3 전환율 및 NH3의 N2 전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ure 3(a)는 NH3 전환율을 나타내 었고, Figure 3(b)는 NH3의 N2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은 공간속도 60,000 hr-1, O2 10 vol.%, H2O 6 vol.%, NH3 200 ppm, Ar balance에서 수행하였으며, 350~20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하였다.
Figure 3(a)에서 Ru[1]/TiO2 red는 250 ℃까지 100%의 효율을 나타 내었고 Ru[1]/TiO2 cal은 275 ℃까지 100%를 나타내었다. 즉, Ru[1]/TiO2 red가 Ru[1]/TiO2 cal에 비하여 더 낮은 온도까지 우수한 NH3 전환율 을 나타내었다. Figure 3(b)에서 NH3의 N2 전환율을 확인해 본 결과 두 촉매 모두 350 ℃에서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반응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NH3의 N2 전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Ru[1]/TiO2 cal은 275 ℃를 기준으로, Ru[1]/TiO2 red는 250 ℃를 기준 으로 NH3의 N2 전환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 후 NH3 전환율과 함께 NH3의 N2 전환율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ure 4는 반응 온도에서 Ru[1]/TiO2 촉매의 NH3 산화 시 부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질 소산화물(NO, NO2, N2O)의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Figure 4(a)는 일산 화질소(NO), Figure 4(b)는 이산화질소(NO2), Figure 4(c)는 아산화질 소(N2O)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두 촉매 모두 N2O의 생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성/환원 조건에 따른 Ru[1]/TiO2의 NH3의 N2 전환율은 주로 NO와 NO2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 촉매의 NO, NO2의 생성량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반응온도가 증가함 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Ru[1]/TiO2 red 는 Ru[1]/TiO2 cal에 비하여 NH3 전환율이 낮은 온도까지 증가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NOx의 농도는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다.
3.2. 소성/환원 조건에 따른 Ru/TiO2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
앞 절에서는 소성/환원 조건에 따라 Ru[1]/TiO2 촉매의 반응활성 차 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성/환원 조건이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XRD, BET, TEM, XPS, H2-TPR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촉매의 비표면적이 효율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BET, BJH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 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Ru[1]/TiO2 cal와 Ru[1]/TiO2 red의 비표면적은 각각 120과 32.581 m2⋅g-1을 나타내었으며, Ru[1]/TiO2 cal의 비표면적이 비교적 넓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u[1]/TiO2 red가 Ru[1]/TiO2 cal에 비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되었기 때문에 낮은 비표면적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총 기공 부피(total pore volume)과 평균 기공 크기(mean pore diameter)또한 Ru[1]/TiO2 cal이 더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른 비표면적의 감소는 활성금속의 분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따라서 TiO2와 Ru의 결정구조를 확 인하기 위하여 XR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5에 나타 내었다.
XRD 분석 결과 Ru[1]/TiO2 cal과 Ru[1]/TiO2 red 촉매는 동일하게 TiO2 anatase (JCPDF No. 00-001-0562)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Wang 등[18]에 따르면 TiO2는 anatase, rutile, brookite의 3가 지 결정구조를 가지며, 약 728 ℃에서 anatase TiO2는 rutile TiO2로 전 이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해당 촉매에서는 열처리로 인한 TiO2의 상전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Ru[1]/TiO2 cal은 28.12 와 35.02°에서 추가적인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당 피크는 RuO2 (JCPDF No. 00-018-1139)로 확인되었다. Aranda-perez 등[19]에 따르 면 28.12와 35.02°는 결정형의 RuO2의 (110), (101)면에 해당하는 피 크로 언급하였다. 따라서 XRD 분석을 통하여 Ru[1]/TiO2 cal은 결정 형의 RuO2가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Ru[1]/TiO2 red는 활성금속이 분산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Figure 6은 활성금속의 분산도를 확 인할 수 있는 HR-TEM과 S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6(a)와 (b)는 Ru[1]/TiO2 cal의 HR-TEM 결과이며, Figure 6(c)와 (d)는 Ru[1]/ TiO2 red의 HR-TEM과 STEM 결과이다.
Ru[1]/TiO2 cal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Figure 6(a)와 (b)를 확인해 보 았을 때, Figure 6(a)는 Ru 입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Figure 6(b)에서 는 약 64 nm에 해당하는 활성금속 입자를 확인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u[1]/TiO2 cal에서 일부 Ru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결정 을 이루어 결정형의 RuO2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 나 Figure 6(a)와 동일한 배율에서 측정된 Figure 6(c)는 Ru[1]/TiO2 red의 HR-TEM 결과로써, 약 2.35 nm 크기로 확인되는 다량의 Ru 입 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Figure 6(d)의 STEM의 결과에 서도 확인 가능하였으며, TiO2 표면에 Ru이 Ru[1]/TiO2 cal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결과를 통하여 비표면적이 낮은 Ru[1]/TiO2 red가 Ru[1]/TiO2 cal에 비하여 더 우수한 분산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rballo 등[20]에 따르면 anatase TiO2에서 Ru의 분산도는 rutile TiO2에 비하 여 좋지 않았다. 이는 RuO2가 rutile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상을 갖는 rutile TiO2와 결정을 이루지만, anatase TiO2와는 결정을 이루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Londhe 등[21]에 따르면 환원 처리로 인하여 금속 응집물(metal agglomerates)이 재분산 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natase TiO2를 사용했기 때문에 Ru이 TiO2와 결합하지 못하고 RuO2 결정을 생성하 여 분산도가 낮았지만, 환원처리를 함에 따라 분산도가 증가한 것으 로 판단된다.
NH3-SCO 반응에서 활성금속의 분산도뿐만 아니라, 활성금속의 산 화가 또는 표면 산소종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Kim 등[15]에 따르면 Pt/TiO2 촉매 제조 시 공기 분위기에서 소성한 촉매를 수소 분위기에 서 환원했을 때 일부 산화가가 Pt0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언 급하였다. 따라서 Ru[1]/TiO2 cal과 Ru[1]/TiO2 red의 Ru 산화가를 확 인하기 위한 XPS의 Ru 3d 결과는 Figure 7에 나타내었다.
Ftouni 등[23]에 따르면 Ru/TiO2의 XPS 결과에서 Ru 3d 피크는 C 1s와 겹쳐서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어서 284.8 eV는 C 1s, 283.6 eV는 Ru4+, 281.3 eV는 여기된 전자로 인한 Ruδ+ 그리고 280.0 eV는 금속 Ru0에 해당한다고 언급되었다. Figure 7(a)는 Ru[1]/TiO2 cal의 Ru 3d 와 C 1s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84.8 eV에서 C 1s에 해당하는 피크와 288.8 eV에서 C=O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고, 283.6 eV에서 Ru4+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7(b)는 Ru[1]/TiO2 red의 Ru 3d와 C 1s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Ru[1]/TiO2 cal과 동일하게 C 1s와 C=O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283.6 eV에서 Ru4+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280.0 eV에서 금속 Ru0에 해당하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Ru[1]/TiO2 cal은 Ru4+로 존재함에 따라 주로 RuO2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Ru[1]/TiO2 red는 Ru4+에 해당하는 피크의 면적이 감소하고 금속 Ru0에 해당하는 피크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 RuO2가 금속 Ru로 환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uan 등[24]에 따르면, O 1s의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는 529.9~ 533.5 eV에서 나타나며, 이는 다양한 산소화합물의 특성 피크가 겹쳐 서 나타난다고 언급하였으며, 530 eV는 격자산소종, 531 eV는 화학 흡 착된 산소종 그리고 532 eV는 표면의 -OH기에 의한 산소종으로 언급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하게 O 1s를 분리하였으며, 격자산 소종(Oα), 표면 흡착 산소종(Oβ), -OH기에 의한 산소종(Oγ)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8은 Ru[1]/TiO2 cal과 Ru[1]/TiO2 red의 산소종을 확인하기 위한 O 1s 분석 결과이다. 또한 Table 3은 두 촉매의 피크 분리를 통한 산소종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O 1s 분리 결과 Ru[1]/TiO2 cal은 Oα가 86.38%로 비율이 가장 높았 고 Oβ가 11.45%, Oγ가 2.17%를 차지하였다. 또한 Ru[1]/TiO2 red도 동일하게 Oα가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59.8%로 Ru[1]/TiO2 cal에 비 하여 비교적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Oβ가 38.51%로 크게 증가하 였고 Oγ는 1.69%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Ru[1]/TiO2는 환원처리로 인 하여 격자산소(Oα)가 표면 흡착 산소종(Oβ)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ui 등[22]에 따르면, Ru계 촉매에서 표면 흡착 산소종 (surface adsorbed oxygen)은 높은 이동성을 갖기 때문에 흡착된 NH3 와 반응하기 쉽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환원처리로 인한 표면 흡착 산소종(Oβ)의 증가는 NH3 산화 반응에서 효율 증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 등[25]에 따르면 Ru계 촉매의 H2-TPR 분석 결과 105 ℃는 잘 분산되어 있는 Ru에 대한 피크이며, 125 ℃는 다소 분산도가 줄어든 벌크(bulk) Ru에 대한 피크, 150 ℃에서 Ru와 지지체의 상호작용(interaction) 에 의한 산소종과 RuO2에 의한 피크라고 언급하였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Ru의 분산도 및 환원성을 확인 가능한 H2-TPR 분 석을 수행하여 Figure 9에 나타내었다.
H2-TPR 분석 결과 Ru[1]/TiO2 cal은 94, 137, 333 ℃에서 피크를 확 인할 수 있었으며, 이전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94 ℃는 잘 분산되어있 는 Ru 피크로 판단되며, 137 ℃는 분산도가 감소한 벌크 Ru에 의한 피크로 판단되고, 333 ℃는 TiO2 표면 산소로 판단된다[26]. 반면에 Ru[1]/TiO2 red는 89, 334 ℃에서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89 ℃는 잘 분산되어있는 Ru 피크로 판단되고, 332 ℃는 TiO2 표면 산소로 판 단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Ru[1]/TiO2 cal 촉매에서 관찰되던 벌크 Ru 종은 환원처리 함에 따라 고분산되어 H2-TPR에서 낮은 온도로 피크 가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더 낮은 온도에서 이용 가 능한 산소의 양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Ru[1]/TiO2 red는 환원처리로 인하여 Ru[1]/TiO2 cal에 비하여 더 낮은 비표면적 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분산 특성을 갖으며, 암모니아 산 화 반응에 유리한 표면 흡착 산소종(Oβ)가 증가함에 따라 우수한 NH3 전환율 및 NH3의 N2 전환율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Ru[1]/TiO2 촉매 제조 시 소성/환원 조건에 따른 암 모니아 산화 효율을 비교하였다. Ru[1]/TiO2의 열처리 조건은 air 분위 기에서 400 ℃ 온도로 4 h 동안 소성한 촉매와 해당 촉매를 30% H2/N2 분위기에서 600 ℃ 온도로 1 h 동안 환원한 촉매로 선정하였다. 환원 분위기에서 제조된 Ru[1]/TiO2 red는 소성 분위기에서 제조된 Ru[1]/TiO2 cal에 비하여 우수한 NH3 전환율 및 NH3의 N2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BET, XRD, TEM, XPS, H2-TPR 분석을 통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Ru[1]/TiO2 촉매의 열처리 조건 중 H2를 이용한 환원은 활성금속의 분산도와 표면 흡착 산소종(Oβ) 비율을 크게 증진시켰으며, 이는 NH3-SCO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