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곁사슬 액정고분자(side-chain liquid crystalline polymer, SCLCP)는 메소젠기가 고분자의 곁사슬에 위치해 있는 경우로서, 골격사슬, 유연 격자, 메소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조합되어 있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물성을 갖는 SCLCP가 될 수 있다. 특히, 메소젠기가 골 격사슬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면 액정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유연격자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SCLCP들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1-6].
유연성이 큰 골격사슬로 되어 있는 SCLCP는 사슬의 낮은 강직성으 로 인하여 유동성이 커지고, 낮은 열전이 온도를 나타내게 되므로, 고 분자 화합물이 가지는 기계적 물성과 저분자량 액정화합물의 액정거 동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주로 많이 연구되어 온 고분자의 골격사 슬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 틸렌 옥사이드, 폴리옥세테인 등을 들 수 있다[7]. 또한, SCLCP에 액 정성과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작용기를 갖는 메소젠 단 위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기능성 구조를 갖는 단위체들[8,9] 중, 아조 벤젠의 경우, 특정 파장의 자외선과 가시광선에 의해 이성질화되어 trans와 cis의 구조를 갖게 된다. Trans-구조의 아조벤젠은 쌍극자 모 멘트 0.5 D, 벤젠고리 간의 길이 9.0 Å인 선형으로 액정형성에 유리 한 메소젠 구조를 하고, 파장 365 nm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cis- 구조는 쌍극자 모멘트 3.0 D, 지름 5.5 Å 정도의 원형으로 액정 형성 에 불리한 비메소젠 구조를 하게 된다[10]. 아조벤젠기의 이러한 광학 적 성질을 이용하여 광 스위치 소자, 광학 정보 저장 장치, 스마트 섬유등 다양한 광학 분야에서의 응용을 위하여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11-18].
또한, 분자 내에 카이랄 구조를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CLC) 화합물은 일정한 주기의 나선구조를 갖는 메소젠 기의 배열이 온도, 압력, 자기장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 응하는 물리적인 현상을 이용하며 다양한 광학분야의 재료로서의 응 용이 확대되고 있다[19-22]. 그러나 CLC는 온도변화에 따른 액정상에 서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에 일정한 반사특성 을 요구하는 일부 광학분야에서는 응용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 는 방안으로 고온에서 CLC의 액정상을 형성시키고, 급속 냉각시키거 나, 반응성 CLC를 이용하여 CLC 분자들의 배향된 액정상에 자외선 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면 상온에서 CLC의 고정된 광학특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액정의 유동성이 사라지며 상당한 구조적 안 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23].
본 연구에서는 SCLCP의 메소젠기로서 광감성 구조인 아조벤젠기 와 콜레스테릭 액정 유도기로서 콜레스테릴기를 갖는 단위체를 합성 하고, 각 단위체들의 조성비가 다른 SCLCP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특 성을 조사하였다.
2. 실 험
2.1. 시약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약으로는 4-아미노벤조나이트릴, 1,6-다이브 로모헥세인, 다이에틸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1,6-헥세인 다이올,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는 Aldrich 사 제품을, 테트라-n-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BAB), p-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DMAP), 트리페닐포스핀(PPh3) 은 TCI사 제품을, 페놀은 Junsei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합성 시 중축합 촉매로 사용된 피리딘과 싸이오닐 클로라이드는 각각의 정제방법[24] 을 이용하여 정제 후 사용하였다.
2.2. 화합물의 합성
본 연구에서 합성된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명명하였다. 단위체로 사용된, 아조벤젠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2,5-bis(6-(4,4’-cyanoazobenzene) hexyloxy)terephthalic acid는 M-Az로, 콜레스테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2,5-bis(6-(cholesteryloxy)hexyloxy)terephthalic acid 는 M-Ch로 명명하였다. 액정고분자는 SP-AxCy로 표기하였는데, 여 기서 A와 C는 아조벤젠기와 콜레스테릴기를, x와 y는 공중합 시 아조 벤젠과 콜레스테릴 화합물의 조성비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s 1~3은 단위체의 합성 경로와 고분자의 합성반응식을, Table 1에는 고분자 합 성으로 얻어진 수득률과 합성에 사용된 단위체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화합물들 중, Azo-OH, Azo-Br, Chol-T는 알려진 화합물로서 이들의 합성방법[25-27]에 대한 기술은 생략하였다. 고분자의 합성은 직접중축합(direct polycondensation) 방법[28]을 이용하였으며,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SP-A5C5의 방법 을 예를 들어 기술하였다. Figure 2
2.2.1. 단위체의 합성
1) Diethyl 2,5-bis(6-(4,4’-cyanoazobenzene)hexyloxy)terephthalate (Azo-DE)
냉각기가 장착된 300 mL 반응기에 4-[(6-브로모헥실)옥시]-4’-사이 아노아조벤젠 (Azo-Br) 10.0 g (2.59 × 10-2 mol), 다이에틸 2,5-다이하 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 3.13 g (1.23 × 10-2 mol), K2CO3 10.2 g (7.39 × 10-2 mol), TBAB 0.24 g (0.74 × 10-3 mol)을 아세톤 140 mL와 함께 넣고 24 h 동안 환류, 반응시킨 후, 반응물을 증류수에 부어 고체생성 물을 석출시키고 증류수로 수회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건조된 생성 물을 DCM/메탄올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수득률: 77%).
2) 2,5-Bis(6-(4,4’-cyanoazobenzene)hexyloxy)terephthalic acid (M-Az)
냉각기가 장착된 300 mL 반응기에 Azo-DE 10.0 g (1.16 × 10-2 mol)을 넣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0 mL에 용해시킨다. 다른 용기에 KOH 9.02 g (1.61 × 10-1 mol)을 증류수/에탄올(= 10 mL/10 mL) 용액에 용해시킨 후, 반응기 내로 천천히 떨어뜨리고 24 h 동안 환류시킨다. 이후, 반응물을 염산으로 산성화시키고 석출된 생성물을 증류수로 수회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건조된 생성물을 다이클로로메 테인(DCM)/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혼합용매로 재결정하였다 (수득률 90%).
3) 6-Cholesteryloxyhexanol (Chol-OH)
드롭핑 펀넬이 장착된 300 mL 반응기에 콜레스테릴 토실레이트 (Chol-T) 10.0 g (1.85 × 10-1 mol)을 넣고 1,4-다이옥산 80 mL에 용해 시킨다. 다른 용기에 1,6-헥세인다이올 21.85 g (1.85 × 10-1 mol)을 넣 고 1,4-다이옥산 120 mL에 용해시킨 후 반응기 내로 천천히 떨어뜨리 고 24 h 동안 환류, 반응시킨다. 반응 후 1,4-다이옥산을 감압 제거하 고, 생성물을 DCM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와 NaHCO3 수용액, 증류수 순으로 세척하고 생성물을 아세톤으로 재결정하였다(수득률 64%).
4) Diethyl 2,5-bis(6-(cholesteryloxy)hexyloxy)terephthalate (Chol-DE)
드롭핑 펀넬이 장착된 300 mL 반응기에 6-콜레스테릴옥시헥세인 (Chol-OH)을 9.0 g (1.85 × 10-2 mol), 다이에틸 2,5-다이하이드록시테 레프탈레이트 2.14 g (8.40 × 10-3 mol), 트리페닐포스핀(PPh3) 6.61 g (2.52 × 10-2 mol)을 THF 40 mL와 함께 넣고 용해시킨 후, 얼음중탕 을 이용하여 반응물의 온도를 0 ℃로 맞춘다. 다른 용기에 다이아이소 프로필 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DIAD) 5.10 g (2.52 × 10-2 mol)을 THF 60 mL에 용해시킨 용액을 반응물을 교반하며 반응기 내로 천천 히 떨어뜨리고 0 ℃에서 3 h, 상온에서 12 h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아세톤으로 재결정하였다(수득률 61%).
5) 2,5-Bis(6-(cholesteryloxy)hexyloxy)terephthalic acid (M-Ch)
냉각기가 장착된 300 mL 반응기에 Chol-DE 4.0 g (3.36 × 10-3 mol) 을 넣고 THF 100 mL에 용해시킨다. 또 다른 용기에 KOH 2.64 g (4.70 × 10-2 mol)을 증류수/에탄올(= 10 mL/10 mL)에 용해시킨 용액 을 반응물을 교반하며 반응기 내로 천천히 떨어뜨리고 24 h 동안 환 류시킨다. 이후, 반응물은 염산으로 산성화되고 석출된 생성물을 증류 수로 수회 세척한 후 건조시켜 THF로 재결정하였다(수득률 54%).
2.2.2. 액정고분자의 합성
드롭핑 펀넬이 장착된 100 mL 반응기에 SOCl2 1.5 g (1.27 × 10-2 mol)을 넣고 얼음중탕기를 사용하여 온도를 0 ℃로 맞추고 서서히 교 반시킨다. 드롭핑 펀넬을 이용하여 피리딘 5 mL를 반응기 내로 천천히 가하고 20 min 동안 반응시킨 후 얼음중탕기를 제거한다. 다른 용기 에 M-Ch 3.0 g (2.6 × 10-3 mol), M-Az 2.1 g (2.6 × 10-3 mol), 1,6-헥세 인다이올 0.6 g (5.3 × 10-3 mol)을 피리딘/TCE (= 10 mL/20 mL) 혼합용 매에 용해하고 드롭핑 펀넬을 이용하여 반응기 내로 천천히 가하고 80 ℃에서 24 h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 생성물을 메탄올에 부어 석출시 키고 메탄올과 증류수로 수차례 세척하고 진공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2.3. 기기 및 화합물의 특성분석
합성된 화합물들의 특성분석에 이용된 기기로 화합물의 구조 분석 은 적외선분광기(FT-IR, Perkin Elmer Spectrum 1000)와 1H-핵자기공 명분광기(1H-NMR, JEOL JNM-AL 300)를, 열분석은 시차주사열량계 (DSC, TA DSC Q20)와 열중량분석기(TGA, TA TGA Q50)를 이용 하였으며, 액정성 확인은 가열판(Linkam TP 92)이 장착된 편광현미경 (POM, Olympus BX41)과 용융점 측정기(Fisher Scientific Co.)를 이용 하였다.
FT-IR 측정은 고체상태의 시료를 KBr 방법을 이용하여 400~4,000 cm-1 범위에서 스펙트라를 얻었으며, 1H-NMR의 측정은 용매로 trifluoroacetic acid-d (TFA-d) 또는 tetrachloroethane-d2 (TCE-d2)를 사용 하여 실온에서 측정하였다. 합성된 고분자의 용해성은 다양한 유기용 매를 사용하여 30 ℃와 가열시의 용해성 여부를 조사하였고, 고유점성 도는 Ubbelohde 모세관 점도계를 이용하여 고분자를 1,1,2,2-테트라클 로로에테인(TCE)에 0.2 g/dL 농도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여 30 ℃의 항온수조에서 측정하였다. DSC 측정은 질소분위기에서 10 ℃/min의 가열과 냉각속도로 수행하였으며, TGA 측정은 질소분위기에서 10 ℃ /min의 속도로 상온에서 700 ℃까지 수행하였다. 액정성 조사는 가열판 이 장착된 POM을 이용하여 50배율로 관찰하였으며, 보조수단으로서 mp 측정기를 이용하여 stiropalescence의 유무와 세기를 관찰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단위체의 특성
3.1.1. 단위체의 구조 확인
단위체인 M-Az와 M-Ch의 합성 확인을 위한 FT-IR과 1H-NMR 스 펙트라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Figure 4에 단위체의 1H-NMR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FT-IR 스펙트라(ʋmax, cm-1)의 분석 결과, 단위체 M-Az의 경우, 3,406 ~2,571 (OH, carboxyl), 2,942 (C-H), 2,228 (C≡N), 1,701 (C=O, carboxyl), 1,600 (C=C, CN substituted Ar), 1,419 (N=N), 단위체 M-Ch의 경우, 3,326~2,255 (OH, carboxyl), 2,937 (C-H), 1,702 (C=O, carboxyl), 1,112 (C-CH3), 971 (>C=C, cholesteryl)에서 각각의 특성 피이크 가 확인되었으며. 1H-NMR 스펙트라(ppm)의 분석 결과, 단위체 M-Az (TFA-d)의 경우, 8.2~8.1 (N-HAr), 7.9 (ArH-CN, O-ArH-carboxyl), 7.2 (O-HAr), 4.4 (O-CH2), 2.0 (O-C-CH2), 1.6 (C-CH2-C), 단위체 M-Ch (TCE-d2)의 경우, 7.8 (O-ArH-carboxyl), 5.3 (C=CH, cholesteryl), 4.3 (O-CH2), 3.4 (O-C-CH2), 3.1 (O-CH<, cholesteryl), 0.6~1.9 (CH2, cholesteryl) 에서 각 분자 내의 프로톤들에 해당하는 피이크의 위치와 적 분비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3.1.2. 단위체의 열적 특성 및 액정성
Figure 5는 단위체 화합물 M-Az와 M-Ch의 DSC 열곡선과 액정상 texture를 보여 주었으며, Table 2는 DSC 측정과 POM 관찰로부터 얻 어진 결과들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M-Az는 가열 시에 213 ℃에서 고 체로부터 등방성 용융전이를 보였고, 냉각 시에 등방성 용융체에서 droplet texture의 네마틱상을 나타내는 단방성 액정화합물이었다. M-Ch 는 양방성 액정화합물이었으며, 가열시 167 ℃ 이상에서 fan-like texture의 스멕틱상과 oily streak texture의 콜레스테릭상을 나타내었으며, 냉각시에는 콜레스테릭상만을 나타내는 액정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3.2. 액정고분자의 특성
3.2.1. 구조 확인
Figure 6은 합성된 액정고분자들 중, 단독중합체인 SP-A10C0와 SP-A0C10, 공중합체인 SP-A5C5의 FT-IR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공 중합체의 경우 유사한 스펙트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SP-A5C5의 스펙트럼만을 보여주었으며, 1H-NMR 스펙트라의 경우, 분석 결과만을 정리하였다.
IR 스펙트라(ʋmax, cm-1)의 분석 결과, 고분자 합성에 사용된 단위체의 작용기인 3,400 (OH)과 1,690 (C=O, carboxyl)의 피이크가 사라지고, 1,734 (C=O, ester) 피이크를 보임으로써 고분자의 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합에 사용된 단위체 M-Az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2,226 (C≡N), 1,591 (C=C, CN substituted Ar), 1,444 (N=N)와 1,138 (R-O-Ar, ether) 피이크가 증가하고 M-Ch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2,900 (C-H) 와 962 (C=C, cholesteryl) 피이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H-NMR의 스펙트라(TFA-d 또는 TCE-d2, ppm)의 분석 결과, 콜레 스테릴기를 갖는 고분자들의 경우, 0.6~2.5 (CH, CH2, CH3), 3.1 (O-CH<, cholesteryl), 3.5 (O-CH2), 4.1 (O-C-CH2), 5.3 (C=CH, cholesteryl), 8.0 (O-ArH-CO)에서 특성 피이크들이 확인되었으며, 아조벤젠기를 갖는 고 분자들의 경우, 1.6 (C-CH2-C), 2.1 (O-C-CH2), 4.5 (O-CH2), 7.4 (O-HAr), 8.1 (ArH-CN, O-ArH-CO), 8.2-8.4 (N-HAr)의 피이크를 확인할 수 있 었다.
3.2.2. 점성도 및 용해도
Table 3은 액정고분자의 고유점성도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합성된 고분자들은 비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는 것 을 확인하였으며, 극성 용매 내에서는 아조벤젠기의 함량이 많은 고 분자들이 비교적 용해성이 더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측정 된 액정고분자들의 고유점성도는 0.32~0.38 dL/g의 값으로 비교적 낮 은 분자량의 고분자들이 중합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3.2.3. 열적 특성
Figure 7은 합성된 액정고분자들의 DSC 열곡선을, Figures 8과 9는 TGA와 DTG 열곡선을 나타내었으며, Table 4는 측정된 열분석 결과 의 값들을 정리한 것이다. 합성된 고분자들은 부피가 큰 곁사슬로 인 하여 아조벤젠기만을 갖는 고분자 SP-A10C0를 제외한 고분자들은 무 정형이거나 매우 낮은 결정성을 나타냈으며, 이 때문에, 고분자들의 액정상으로의 전이온도(TLC)는 POM의 관찰로부터 결정되었다. 액정 상으로의 전이온도는 분자 내에 아조벤젠기의 함량이 많을수록, 콜레 스테릴기의 함량이 적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곁사슬 에 결합되어 있는 두 종류의 메소젠기의 구조적인 특징에 기인하는 것으로 벌키한 콜레스테릴기를 갖는 곁사슬에 비해 trans-구조의 아조 벤젠기를 갖는 곁사슬은 상호간 조밀한 팩킹에 의한 큰 분자간력 때문 인 것으로 보인다.
합성된 고분자의 열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측정된 TGA 열곡선 과 이로부터 얻어진 DTG 곡선에 의하면 콜레스테릴기만을 갖는 고분 자인 SP-A0C10을 제외한 나머지 고분자들은 2단계 또는 3단계의 분 해곡선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낮은 온도에서의 분해곡선은 분자 내 의 아조기의 분해로 보이며, 아조기의 함량이 높은 고분자일수록 1차 분해 완료시 무게 손실이 크게 나타났으며, 1차 분해 온도(Td-1st)는 증 가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아조벤젠기를 갖는 곁사슬의 함량이 높을수록 사슬 간 더 큰 인력으로 팩킹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대분해온도(Td-max) 역시 같은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700 ℃ 에서의 잔여율은 1.7~20.0 wt%로써 아조벤젠기의 함량이 많은 고분 자일수록 더 큰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분자 내의 방향족 환 구조의 증가에 따른 char 생성량이 많아진 결과이다.
3.2.4. 액정성
POM과 mp 측정기를 이용하여 고분자들의 액정성을 확인해 본 결 과, 모든 고분자들은 가열과 냉각 시 액정성을 나타내는 양방성 액정 이었으며, 콜레스테릴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stiropalescence의 세기가 점차 약하게 관찰되는 것으로부터 고분자들의 액정성이 감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곁사슬로서 연결되어 있는 벌키한 콜레스테릴기의 증가로 인하여 분자 상호간 인력이 감소되고, 사슬의 움직임이 제한받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액정 형성이 더 어려워지게 되 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Figure 10은 합성된 액정고분자들의 POM 상에서 관찰된 액정상의 texture로써 Figure 10의 (a)~(d)는 각각 콜레 스테릭상의 grandjean, oily streak, broken focal-conic texture, oily streak 를, (e)는 네마틱상의 droplet texture를 보였다. 이로부터 콜레스테릭 곁사슬을 갖는 고분자들은 모두 콜레스테릭상을, 아조벤젠 곁사슬을 갖는 고분자 SP-A10C0는 네마틱 액정상임을 알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메소젠기로서 아조벤젠기와 콜레스테릴기를 포함하 는 단위체 화합물 M-Az와 M-Ch를 합성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곁사 슬 액정고분자들을 합성하였다.
고분자의 단위체로 사용된 메소젠 화합물인 M-Az와 M-Ch는 분자 량이 각각 760.96과 1,135.92 g/mol로 분자량이 비교적 큰 저분자 화합 물로써 다단계의 합성과정을 거쳐 얻어졌다. 이들 중, M-Az는 단방성 액정으로 네마틱상을, M-Ch는 양방성 액정으로 스멕틱상과 콜레스테 릭상을 나타냈다. 이들 단위체들로부터 합성된 고분자들은 0.32~0.38 dL/g의 고유점성도를 갖는 낮은 분자량의 고분자였으며, 고분자 곁사 슬의 벌키한 구조로 인하여 아조벤젠기만을 갖는 고분자 SP-A10C0를 제외한 나머지 고분자들은 비결정성이거나 아주 낮은 결정성을 나타 냈다. POM에 의하여 관찰된 고분자들의 액정상으로의 전이온도는 고 분자 내의 아조벤젠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는데, 이 는 trans-구조를 갖는 아조벤젠기의 선형성과 극성으로 인한 이들 간 의 높은 충진율과 분자간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합성된 고분자 들은 모두 양방성 액정성을 나타냈고, 곁사슬에 아조벤젠기 만을 갖 는 단독고분자 SP-A10C0는 네마틱 액정상을 보였으며, 콜레스테릴기 를 포함하는 고분자들은 모두 콜레스테릭상을 나타냈다. 이로써, 고분 자 곁사슬의 콜레스테릴기는 콜레스테릭 액정상 유도체로써의 역할 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콜레스테릴기의 벌키성으로 인하 여 액정고분자의 액정성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