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29 No.5 pp.541-548
DOI : https://doi.org/10.14478/ace.2018.1042

N2O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Enhancement of Rh/CeO2 Catalyst

Ki Bok Nam, Sung Chang H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154-42, Gwangguosan-ro, Youngtong-ku, Suwon-si, Gyeonggi-do 16227, Kore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154-42, Gwangguosan-ro, Youngtong-ku, Suwon-si, Gyeonggi-do 16227,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onggi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154-42, Gwangguosan-ro, Youngtong-ku, Suwon-si, Gyeonggi-do 16227, Korea Tel: +82-31-276-9733 e-mail: schong@kyonggi.ac.kr
April 9, 2018 ; April 24, 2018 ; June 8, 2018

Abstract


In this work, the N2O decomposition catalyst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to control the N2O removal were describ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Rh as an active metal catalyst on various supports and the Rh/CeO2 catalyst with CeO2 support showed the best activity for the N2O decomposition when it was prepared under the constant heat treatment condition (500 °C-4 hr). H2-TPR and XPS analyze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atalyst on N2O decomposi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the oxygen transfer capacity of the catalyst due to the increase of both the redox property and Ce3+ amount affected the decomposition reaction of N2O. In addition, the future work will include a treatment process capable of decomposition N2O and NO under the condition that N2O and NO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its characteristics of N2O decomposition reaction.



Rh/CeO2 촉매의 N2O 분해반응 특성 및 효율증진 연구

남 기복, 홍 성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N2O를 제거하기 위한 N2O 분해 촉매와 반응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다양한 지지체에 Rh를 활성금속으로 촉매를 제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CeO2를 지지체로 하는 Rh/CeO2 촉매에서 가장 우수한 N2O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일정한 소성조건(500 °C-4 hr)에서 Rh/CeO2 촉매를 제조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촉매의 특성이 N2O 분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H2-TPR 및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 험결과, 촉매의 redox 특성증진과 Ce3+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른 촉매의 산소전달능력의 증진이 N2O 분해반응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N2O와 NO가 동시에 발생하는 조건에서 N2O 분해 반응특성과, N2O와 NO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1. 서 론

    과거 아산화질소(N2O, nitrous oxide)는 대기 중에서 안정한 물질로 알려져 오랜 기간 동안 무해한 물질로 알려져 왔다. 특히 대기 내에서 광화학반응과 무관하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국내 및 국외에서도 이에 대한 배출허용기준과 같은 법적 규제가 없 는 실정이었다[1,2]. 그러나, 1990년대부터 N2O가 지구 온난화 및 오 존층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특히,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부속정서 인 교토의정서에서는 선진국들의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언급한 온실가스란 CO2, CH4, N2O, HFCs, FPCs, SF에 해당한다. 해당 교토의정서에는 우리나라는 포함되어 있 지 않아, 감축의무는 없으나 향후 우리나라 또한 감축의무에 대한 압 력이 점차 가중될 것이기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안이 필요하다.

    N2O의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는 310이므 로[2], CO2의 GWP가 1인 것으로 판단하면 동일한 농도 수준에서 CO2의 310배, CH4의 15배에 달하는 지구온난화 영향이 있다. 2014년 기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690.6백만톤 CO2eq. 중 N2O는 약 2.2% 의 비중으로 14.9백만톤 CO2eq.를 배출하고 있다[3]. N2O의 분야별 발 생량을 본다면 농업분야가 66.5%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에너지 분야 18.9%, 폐기물 분야 10.2%, 산업공정 분야 4.3% 순이다. 가장 많은 N2O를 배출하는 농업분야의 경우 토양 경작과 질소비료의 사용이 주 된 요인이나 아주 작은 양이 배출되며 통제할 수 없을 정도의 넓은 영역에서 배출되고 있어 해당 N2O 배출원에 대한 저감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N2O를 저감할 수 있는 분야는 화학공정과 에너지산업분야이다. 화학공정 분야에서 N2O 배출의 주 요 공정은 아디프산(adipic acid)과 질산(nitric acid) 제조공정이다. 아 디프산 제조공정의 경우 N2O의 배출이 25~40%로 매우 고농도가 배 출되고 있다. N2O 분해 반응은 기본적으로 발열반응으로 35 vol%의 N2O 가스를 대상으로 반응시킬 경우 반응영역의 온도가 약 670 ℃까 지 상승하여 N2O 처리에 용이하다. 하지만 질산제조 공정과 같은 다 른 공정에서는 배가스의 N2O의 농도가 0.05~0.5 vol%로 낮으며, 반 응온도의 영역이 500 ℃ 이하로 낮고, 촉매의 비활성화의 영향이 될 수 있는 NOx, O2, H2O, SO2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아디 프산 제조공정에 적용한 N2O 제거 시스템을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질산제조 공정과 같은 낮은 농도에서 저농도로 배출되는 N2O 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에너지 분야에서 화석연료 연소 시 생성되는 질소산화물에 포함된 N2O와, 질 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한 탈질설비(SCR system: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후단에서 미량에 N2O가 배출됨에 따라 이에 따른 처리 기 술 또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4].

    N2O를 제거하는 방법 중 촉매를 이용한 방법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촉매의 담체로는 Al2O3, SiO2, ZrO2, zeolite 등이 많 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활성금속으로 Rh, Ru, Pd, Co 등과 같은 다양 한 금속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중 Rh이 가장 우수한 반응활성을 나타 냄이 보고되고 있다[5-9]. CeO2는 oxygen mobility 및 oxygen storage 능력이 우수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Rh의 담체로 CeO2를 사용하면 CeO2로부터 산소를 전달받은 Rh가 기상으로 방출하여 Rh/CeO2에서 의 산소 탈착이 촉진되고, Rh의 활성뿐만 아니라 Rh의 담지로 인해 생성되는 CeO2의 oxygen vacancy가 N2O의 반응 활성 site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하지만 상기 언급한 Rh/CeO2 연구에서는 비환원성 지지체인 Al2O3 와 환원성 지지체인 CeO2를 이용하여 촉매의 산소 거동에 따른 N2O 분해 특성을 연구하였으나, 금속촉매에 있어서 활성금속과 지지체의 상호작용을 결정지을 수 있는 촉매 제조과정의 소성 조건에 따른 촉 매의 특성과 N2O 분해 효율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eO2를 지지체로 사용하는 Rh/CeO2 촉매의 제조과정 의 소성 조건에 따른 촉매의 특성과 N2O 분해효율의 상관관계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Rh/CeO2 촉매의 다양한 소성 조건에 따른 N2O 분해 특성과 촉매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XPS와 H2-TPR을 이용하여 해당 촉매 활성금속의 valence state를 조사하여 N2O 분해와의 상관성 을 연구하였다. 더 나아가 N2O와 NO가 동시에 반응물질로 생성되는 조건에서의 N2O 분해반응 특성과 N2O와 NO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2. 실 험

    2.1. 촉매 제조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촉매는 CeO2, TiO2 그리고 Al2O3의 담체에 Rh 을 담지하여 제조하였다. 사용된 Rh의 전구체는 rhodium solution (Rh(OH)3)을 사용하였으며, 담체로 사용된 CeO2는 reagent grade CeO2 (Sigma Aldrich. Co.), TiO2는 DT51 (Crystal. Co.), Al2O3는 reagent grade γ-Al2O3 (Sigma Aldrich. C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Rh금속의 함량을 담체의 무게 기준으로 1 wt%만큼 담지 하여 촉 매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촉매제법은 함침법 중의 wet impregnation method를 사용하였다.

    먼저 담체에 대한 활성금속의 함량을 원하는 조성비에 따라 계산하 고, 계산된 양만큼의 활성금속 전구체를 60 ℃로 가열된 증류수에 녹 인다. 활성금속 용액이 완성되면 계산된 담체(CeO2, TiO2, Al2O3)를 조 금씩 저어가며 혼합한다. 이렇게 만든 슬러리(slurry) 상태의 혼합용액 을 1 h 이상 교반한 후 회전진공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 용하여 70 ℃에서 수분을 증발시킨다. 수분을 증발시키고 나서 시료 의 추가건조를 위하여 건조오븐에서 103 ℃로 24 h 건조시킨 후 10 ℃/min의 승온속도로 관형로(tubular furnace)에서 원하는 온도로 상승 시킨 후 그 온도에서 4 h 공기분위기에서 소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소성 온도 및 시간은 촉매의 명칭에 기입하였으며, 예를 들어 500 ℃ 에서 4 h 동안 소성 처리한 촉매의 경우 Rh/CeO2 500 cal-4 hr의 형식 으로 기입하였다. SCR 및 N2O 분해 반응실험은 powder type과 honeycomb coating type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먼저 powder type 실험은 촉매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압프레스로 5,000 lb 힘을 가해 pellet 형태로 성형 후, 300~425 μm 크기로 분체 하여 얻은 촉매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Honeycomb coating type의 경우 고정층 반응기의 size 및 유량(cc/min) 그리고 공간속도(hr-1)를 고려하 여 0.75 cc 부피의 ceramic honeycomb (50 cpsi)에 powder type의 촉매 를 wash coating 방식으로 100 g/L 코팅을 수행하고 건조오븐에서 103 ℃로 24 h 건조시킨 후 10 ℃/min의 승온 속도로 관형로(tubular furnace) 에서 500 ℃까지 승온시킨 후 그 온도에서 4 h 공기분위기에서 소성하여 honeycomb coating catalyst를 제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2. 실험장치 및 방법

    본 연구의 SCR 및 N2O 분해 반응 실험에 사용한 고정층 반응기에 공급되는 가스는 N2, O2, NOX, N2O, NH3의 가스로, MFC (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수분의 경우 2중 jacket 형태의 bubbler에 공급되는 N2를 폭기하여 수분을 함유하게 함으로써 반응기에 수분을 공급되게 하였다. 이때,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일정 유지하기 위해 bubbler 외각에 circulator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45 ℃) 의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N2 가스가 bubbler를 통과하여 반응기에 수 분을 공급하는 양이 일정하게 하였다.

    또한, 가스 공급관은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관으로 하였으며, 반응 관에 NH4NO3와 NH4NO2 형태의 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 여 heating band를 감아 180 ℃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반응기는 연 속 흐름형 고정층 반응장치로서, powder type 실험의 경우 내경 8 mm, 높이 600 mm인 석영관을, honeycomb type의 경우 내경 22 mm, 높이 600 mm 석영관으로 제작하였으며 촉매 층을 고정하기 위해 quartz wool을 사용하였다. 또한, 반응기의 온도는 항상 고정층 상부 에 장착된 K-type의 열전대를 이용하여 PID 온도제어기로 조절하였 다. 반응의 생성물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비분산 적외선 가스분석 기(ZKJ-2, Fuji Electric Co.)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가스는 분석기로 유입되기 전에 수분은 chiller 내의 수분 trap에서 제거시킨 후 유입하 였다.

    위의 두 가지 type 촉매를 각각 반응기에 충진한 후, 촉매의 불순물 제거 및 촉매의 산화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500 ℃ 에서 전처리를 수행한다. 전처리 이후 원하는 실험온도까지 하강 후 실험온도에서의 steady- state을 위해 1 h가량 유지한다. 실험 온도가 steady-state에 도달하면 일정량의 가스를 반응기 내로 투입한 후 생성 물의 농도가 일정해질 때까지 반응실험을 지속시켜 이때의 농도를 기 록한다.

    수분이 공급되는 실험의 경우는 실험 종류에 따라 먼저 N2O, O2, N2를 투입하거나, NH3, NO, N2O, O2, N2를 주입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정상상태에 도달 후 수분을 투입하며, 이후 생성물의 농도가 일 정해 질 때까지 지속시키고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촉매의 반응 활성은 NO의 전환율 및 N2O 전환율로 나타내었으며 다음과 같이 정 의하였다.

    No Cponversation ( % ) = C 반응전 NO C 반응전 NO C 반응전 NO × 100
    (1)
    N 2 o Cponversation ( % ) = C 반응전N 2 o C 반응전N 2 o C 반응전N 2 o × 100
    (2)

    또한, 본 연구에서 실시한 SCR 반응 및 N2O 분해반응 실험에 관한 운전변수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2.3. 촉매 특성분석

    2.3.1. H2-TPR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촉매의 산화-환원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H2-TPR 분석을 수행하 였다. 100 μm 이하로 분쇄된 촉매 0.3 g을 충진한 다음 50 cc/min의 5% O2/He gas를 주입하여 400 ℃에서 30 min간 유지하여 촉매 표면 의 수분 및 불순물 제거와 촉매를 활성화 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 하였다. 이후, 상온(약 30 ℃)으로 온도를 낮춘 다음 1 h 동안 10% H2/Ar 50 cc/min을 흘리면 촉매 표면 수소의 흡⋅탈착을 안정화시켰 다. 그런 다음 10% H2/Ar 50 cc/min을 지속적으로 흘리면서 10 ℃ /min 승온 속도로 900 ℃까지 승온하며 TCD로 H2의 농도를 monitoring 하였다. 분석기는 2920 Auctochem (Micromeritics)을 사용하였으 며, 농도측정을 위한 detector는 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를 사용하였다.

    2.3.2.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촉매 표면의 금속들의 산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 행하였다. XPS 분석은 Thermo사의 Alpha-K을 사용하였으며, excitation source로서 Al Kα monochromatic (1486.6 eV)를 사용하였다. 촉매를 약 100 ℃의 온도에서 24 h 건조하여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XPS 기기의 진공도를 10-6 Pa로 유지하기 위하여 표면 sputtering 및 etching을 하지 않고 분석하였다. 시료 내에 존재하 는 Ti, Ce, Rh, C, O 원소는 wide scanning spectrum으로 분석하여 binding energy와 intensity를 확인하였다.

    3. 결 과

    3.1. Rh/CeO2 촉매의 N2O 분해 반응 특성

    3.1.1. 소성온도에 따른 반응 특성

    본 연구에서는 N2O 분해 촉매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Rh를 활 성금속으로 하고 CeO2, Al2O3, TiO2의 다양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촉 매 제조 후 powder type 촉매를 이용해, 각 촉매의 N2O 분해 효율을 조사하여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에서 나타나듯, CeO2, Al2O3, TiO2를 지지체로 사용한 Rh 촉매의 N2O 분해 효율은 500 ℃ 이상의 고온에서는 사용된 촉매 모 두에서 우수한 분해효율(~100%)을 나타내었지만, 온도가 저온으로 낮아지는 경우 Al2O3와 TiO2를 지지체로 사용한 촉매에서 급격한 효 율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CeO2를 지지체로 사용한 Rh/CeO2 촉매에서 는 350 ℃에서 100%, 300 ℃에서 91% 이상의 높은 N2O 분해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350 ℃ 이하의 온도 에서 40% 이하의 N2O 분해효율을 나타낸 두 촉매(Rh/Al2O3, Rh/TiO2) 와 비교하여 Rh/CeO2 촉매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진행될 N2O 분해 촉매는 CeO2를 지지체로 이용한 Rh/CeO2의 촉매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촉매 제조에 있어 최적의 소성 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 로 CeO2 담체에 Rh을 담지 시켜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소성한 powder type 촉매를 이용하여 소성 조건에 따른 N2O 분해 효율을 조사하 였다. 실험에 사용된 촉매는 활성금속인 Rh의 함량은 1 wt%로 지지 체 CeO2에 담지한 후 소성온도를 400, 500, 600 ℃의 온도에서 4 h 동안 소성하여 촉매를 준비하였다. N2O 분해 활성실험은 공간속도 60,000 hr-1에서 N2O를 1,000 ppm을 주입하였으며, 자세한 실험 조건 은 2.2절 Table 1에서 나타낸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실험결과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350 ℃ 이상의 온도에서 사용된 촉 매 모두에서 N2O 분해 효율이 100%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350 ℃ 이 하의 온도에서는 효율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300 ℃에서는 가장 큰 활성차이를 나타내었다. 지지체 CeO2에 Rh를 담지 후 소성 조건 500 ℃에서 4 h 동안 수행한 Rh/CeO2 500 cal-4hr 촉매에서 93% 이상의 N2O 분해효율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Rh/CeO2 600 cal-4 hr (N2O conv. 81%), Rh/CeO2 400 cal-4 hr (N2O conv. 79%)의 순서로 N2O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지체 CeO2에 Rh를 활성금속으로 하게 되는 경우, Rh의 site는 N2O 분해반응에서 직접적인 활성 site로의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11]. 하지만 본 실험에서 사용된 촉매는 모두 동일한 함량의 Rh 1% 의 촉매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반응활성 site의 양적 차이로 인한 활성 차이라고 판단하긴 어렵다. 따라서, Figure 2에 나타난 활성차이는 촉 매의 산화-환원 특성 및 valence state 등의 영향에 의한 활성차이로 판단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H2-TPR과 XPS 분석실 험을 수행하여 각 촉매의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3.1.2. 촉매특성과 N2O 분해 반응의 상관관계

    기존 연구에 따르면 N2O의 분해반응은 촉매의 산화-환원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N2O 분해 반 응에 사용된 촉매의 산화-환원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2-TPR 분석 을 수행하여 다음 Figure 3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앞선 N2O 분해 실험에 사용된 촉매 모두에서 100~104 ℃ 부근의 환원 peak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던 Rh/CeO2 500 cal-4 hr 촉매에서 가장 낮은 온도(100 ℃)에서 환원 peak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Rh/CeO2 600 cal-4 hr (104 ℃), Rh/CeO2 400 cal-4 hr (104 ℃)의 순서로 환원 peak의 생성 온도 및 크기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N2O 분해 촉매에서 산소의 거동은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N 2 O + A  N 2 + O A +
    (3)
    2 O A O 2 + 2 ( A : active site )
    (4)

    따라서 N2O 분해 촉매에서 반응활성은 활성 site의 유리한 산소거 동 특성, 즉 산화-환원 특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 당 H2-TPR 결과의 산화-환원 특성은 앞 절에서의 N2O 분해 활성 (Figure 2)과 동일한 순서를 나타내며 이는 N2O 분해 반응이 촉매의 산화-환원 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이라는 결과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N2O 분해 촉매는 제조 과정에서 촉매의 산화-환원 특성을 증진시켜 결과적으로 반응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서 설명했듯이, Rh는 N2O 분해 반응에서 활성 site로 작용하며, 지지체로 사용된 CeO2는 우수한 산소 전달 능력으로 N2O 분해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친다. 특히 N2O 분해 반응은 다음과 같은 mechanism에 의하여 진행된다고 보고되고 있다[14].

    Rh-O + N 2 O Rh * + N 2 + O 2
    (5)
    Rh * + N 2 O Rh * O + N 2
    (6)
    Rh * + Ce * O Rh * O + Ce *
    (7)
    Ce * + N 2 O Ce * O + N 2
    (8)

    먼저 Rh을 활성 site로 하여 N2O의 분해반응이 진행된다(식 (5)). 반 응에 의하여 환원된 Rh의 활성 site는 다른 기상의 N2O에 의하여 재 산화 되거나(식 (6)), 지지체 ceria의 산소를 이용하여 재산화되기도 한다(식 (7)). 그리고 해당 과정에서 환원된 Ce*는 다시 N2O와 반응하 는 활성 site로 작용한다(식 (8)). 따라서 해당 논문에서 사용한 Rh/CeO2 촉매에서 지지체로 사용된 ceria의 valence state가 반응활성 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Ce는 일반적으로 Ce3+ 및 Ce4+의 산화상태를 나타내며, 각 산화상 태에서 각기 다른 반응활성을 나타낸다. 산소가 참여하는 반응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존재하여 Ce2O3에서 CeO2의 형태로 쉽게 변화되며, 산화-환원 조건에서 Ce3+ 뿐만 아니라 Ce4+의 원자 및 원자가를 갖는 다. 이러한 Ce의 특징을 종합하면 Ce의 화학종은 온도와 산소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5].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Rh/CeO2 촉매에서 소성온도에 따른 Ce의 산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하 여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Ce는 Ce 3d peak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촉매들의 Ce 3d peak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Ce 3d peak는 8개의 산화가 peak로 분리가 가능하고 Ce의 valence state는 Ce4+ 및 Ce3+가 공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in-obit interaction에 의해 Ce 3d3/2와 Ce 3d5/2로 나눌 수 있다[10,11]. Binding energy 약 882.5, 889.4, 898.3 eV에서는 Ce 3d3/2의 Ce4+ peak가 검출 되고, 900.6, 907.7, 916.6 eV에서 Ce 3d5/2의 Ce4+ peak가 검출되었다. 또한 886.5 eV에서는 Ce 3d3/2의 Ce3+ peak가, 906.5 eV에서는 Ce 3d5/2 의 Ce3+ peak가 검출되었다[16,17]. 각기 다른 소성온도에서 제조된 촉 매의 Ce valence state를 비교한 결과 Rh/CeO2 500 cal-4 hr에서 Ce3+/Ce4+ ratio 6.60%로 가장 높은 비율의 Ce3+를 나타내었으며, Rh/CeO2 600 cal-4 hr에서는 Ce3+/Ce4+ ratio 6.17%, Rh/CeO2 500 cal-4 hr에서는 Ce3+/Ce4+ ratio 5.16%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Ce3+종은 non-stoichiometric종으로 촉매의 표면 oxygen vacancy를 증 가시켜 촉매의 산소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18]. 따라서 Rh/CeO2 촉매의 Ce3+종의 증가로 촉매상의 산소 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N2O 반응 과정에서 환원된 Rh*의 재산화속도 증가 및 지지체 ceria에 의한 새로운 활성 site로 인하여 N2O 제거 효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e valence state와 N2O 분해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 Figure 5에서 확인이 가능하듯, Ce3+ 비율이 증가할수록, N2O 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험에서 활성금속으로 사용된 Rh의 산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XPS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 Figure 6에 나타 내었다.

    Rh의 경우 Rh 3d peak로 구분할 수 있다. Figure 7에서 각각 306~310 eV 및 312~315 eV에 위치하는 Rh 3d5/2와 Rh 3d3/2 peak가 확인되었다[19]. 하지만 본 실험에서 사용된 촉매에서는 Rh의 산화상 태는 대부분 308.9 eV에 해당하는 Rh3+종을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peak의 intensity 차이 외에는 눈에 띄는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아, 해 당 활성금속(Rh)의 산화상태의 차이는 없거나 매우 미미할 것으로 판 단된다.

    따라서, Rh/CeO2 촉매의 N2O 분해 반응은 촉매의 산화-환원 특성 및 지지체로 사용된 CeO2의 산소 전달 능력이 N2O 분해 반응 활성증 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2. 질소산화물(NOx, N2O) 동시 제어 process

    NO 및 NO2는 질산제조 공정의 중간 생성물로, 배가스에 N2O와 함 께 일부 포함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탈질설비가 설치된 다양한 배 출시설에서는 환원제가 일부 산화되어 NO와 N2O가 동시에 배출된다. 이러한 NO는 N2O 분해반응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 고되고 있다[14]. 따라서 이러한 NO의 존재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N2O 분해 촉매(Rh/CeO2)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앞서 수 행한 Figure 3의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반응활성을 나타낸 Rh/CeO2 500 cal-4 hr 촉매에 기존 실험조건과 동일한 조건(N2O 1,000 ppm, O2 3.6%, Q 500 cc/min)에 추가적으로 NO 500 ppm을 주입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해당 실험은 실 사용처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부 피 0.75 cc (S.V 40,000 hr-1) 의 50 cpsi ceramic honeycomb을 이용해 코팅촉매(100 g/L)를 제작 후 공간속도 40,000 hr-1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N2O 분해반응에 NO가 미치는 영향은 다음 Figure 7에 나타내었다.

    Figure 7(a)에 나타나듯, N2O 분해 반응 중 NO가 주입되는 경우 효 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N2O 분해 활성 이 ~100%를 나타내는 400~450 ℃ 온도에서부터 급격한 효율 감소 를 나타내었으며, N2O만 주입될 경우에는 350 ℃온도에서 ~90%의 전환율을 나타내었지만 N2O + NO가 동시에 주입되는 경우 0%로 N2O 분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Figure 7(b)에 나타나듯, 해 당 반응에 의하여 배출되는 NOx를 측정한 결과 NO를 주입하지 않은 반응에서는 발생하지 않던 NOx종이 NO를 주입함에 따라 N2O 분해반 응 활성이 나타나는 온도범위(350~500 ℃)에서 다량 배출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N2O 분해 반응 중 NOx의 존재는 N2O 분해 효율에 부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N2로의 선택성 또한 감소시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활성 감소의 원 인은 NO가 산소 존재 하에서 촉매 반응을 통하여 NO2로의 산화반응 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산화반응은 N2O 분해 반응을 억제하고, 또한 NO 및 NO2는 촉매 표면에 N2O의 흡착을 억제하여 N2O 분해 반응을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4].

    따라서, Rh/CeO2를 이용하여 N2O + NO 실험 결과처럼 낮은 N2O 전환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2O 분해 촉매 전단에 동일한 크 기(50 cpsi, 0.75 cc)의 SCR 코팅촉매(V/TiO2, 100 g/L)를 충진하고 환 원제인 NH3를 주입하여 전단에서 NO를 제거한 후 후단에서 N2O를 제거하는 방법의 2단 촉매 장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해당 2단 촉매 실 험장치의 모식도를 Figure 8에 나타내었으며, 해당 장치에서 수행한 실험결과를 다음 Figure 9에 나타내었다. 또한 해당 process와 기존 사 용 N2O 분해촉매의 N2O 분해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Figure 8 및 Figure 9에 동일한 크기의 ceramic honeycomb (50 cpsi, 0.75 cc (S.V 40,000 hr-1))에 상용 N2O 분해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zeolite catalyst를 코팅한 촉매(100 g/L)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9(a)에 나타낸 실험결과를 확인하면, N2O와 NO가 동시에 주 입되는 경우 Rh/CeO2 촉매만 설치된 Type A에서는 매우 낮은 N2O 전환율을 보인 반면, 전단에 SCR 촉매(V/TiO2)를 설치하고 후단에 Rh/CeO2 촉매를 충진하는 Type B에서는 N2O의 전환율이 전 온도 구 간에서 ~50% 이상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igure 9(b)에 나타 낸 배출 가스의 NOx의 농도 측정 결과에서처럼 NO 및 NO2가 측정되 지 않는 것을 통하여, 전단에 설치된 SCR 촉매에서 배가스에 포함된 NO 및 NO2가 N2O 분해촉매에 주입되기 전에 모두 제거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N2O 분해 반응을 억제시키는 NO를 전 단에 설치한 SCR 촉매(V/TiO2)에서 우선적으로 제거하여, N2O 분해 반응의 억제영향이 감소함에 따른 활성증진으로 판단된다. 해당 실험 결과는 Figure 9(a)에 나타낸 현재 N2O 분해 촉매로 사용되고 있는 commercial zeolite catalyst의 동일한 조건(N2O 1,000 ppm, NOx 500 ppm)에서의 N2O 분해 성능과 비교하여도 450 ℃ 이하의 온도에서 20%~50% 이상 우수한 분해성능을 나타내어, 2단 촉매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존 commercial zeolite catalyst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Rh/CeO2 촉매의 소성 조건에 따른 촉매 특성과 그에 따른 N2O 분해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CeO2 담체로 하는 Rh/CeO2 촉매를 다양한 온도에서 소성을 수행한 경우 일정한 온도의 소성조건(500 cal-4 hr)에서 가장 우수한 반응활 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반응활성의 차이는 소성처리가 촉매의 저온 산화-환원 특성을 증진시키고 담체의 valence state에 영향을 주어 Ce3+종을 증가시켜, 이러한 특성들이 촉매의 산소거동 특성을 우수하 게 하거나, N2O의 새로운 반응 활성 site생성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N2O 분해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2O 분해 반응 중 NO가 주입되게 되면 NO 및 NO2에 의한 inhibition 영향으로 N2O 분해 반응이 크게 감소하나, 이러한 문제는 전단에 SCR 촉매를 충진하여 NO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 하다.

    따라서, N2O와 NO가 동시에 배출시설에 설치되는 질산제조 공정 후단과 탈질설비 후단의 대기오염물질 저감 system에 해당 Rh/CeO2 N2O 분해 촉매와 기존의 SCR 촉매를 함께 충진하는 방법으로 통하여 연소 시 발생하는 NO 및 N2O의 동시 제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 사

    본 연구는 2017학년도 경기대학교 학술연구비(일반연구과제) 지원 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Figures

    ACE-29-541_F1.gif
    Effect of support on N2O conversion over Rh/CeO2 catalysts.
    ACE-29-541_F2.gif
    Effect of preparation calcination temperature on N2O conversion over Rh/CeO2 catalysts.
    ACE-29-541_F3.gif
    H2-TPR profiles of Rh/CeO2 catalysts with preparation calcination temperatures.
    ACE-29-541_F4.gif
    Deconvoluted XPS result of Ce 3d for Rh/CeO2 catalysts with different calcination temperatures.
    ACE-29-541_F5.gif
    Correlation of Ce valence state and N2O decomposition over Rh/CeO2 catalyst.
    ACE-29-541_F6.gif
    Deconvoluted XPS result of Rh 3d for Rh/CeO2 catalysts with different calcination temperatures.
    ACE-29-541_F7.gif
    The effect of NO on N2O conversion over Rh/CeO2 ((a) N2O conv., (b) Outlet NOx conc.).
    ACE-29-541_F8.gif
    Schematic diagram of the N2O decomposition device.
    ACE-29-541_F9.gif
    The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on NOx, N2O conversion over SCR catalyst, Rh/CeO2 catalyst ((a) N2O conv., (b) Oulet NOx conc. at Type B).

    Tables

    Experimental Condition in a Fixed Bed Reactor

    References

    1. W. H. Yang and M. H. Kim, Catalytic reduction of N2O by H2 over well-characterized Pt surfaces , Korean J. Chem. Eng., 23, 908-918 (2006).
    2. J. Perez-Ramirez, F. Kapteijn, K. Schoffel, and J. A. Moulijn, Fomation and control of N2O in nitric acid production: Where do we stand today? , Appl. Catal. B, 44, 11-141 (2003).
    3.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of Korea, Nan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2016).
    4. H. K. Moon, Foramtion of N2O in NH3-SCR deNOx ing reaction with V2O5/TiO2-based catalysts for fossil fuels-fired power stations , Korean Chem. Eng. Res., 51(2), 163-170 (2013).
    5. S. C. Christoforou, E. A. Efthimiadis, and I. A. Vasalos, Catalytic conversion of N2O to N2 over metal-based catalysts in the presenceof hydrocarbons and oxygen , Catal. Lett., 79, 137-147 (2002).
    6. P. Francesco, S. Martina, S. Giorgio, G. Eugenio, B. Flora, and M. Maela, Ru/ZrO2 catalysts: II. N2O adsorption and decomposition ,J. Catal., 192, 158-162 (2000).
    7. X. Zhang, Q. Shen, C. He, C. Ma, J. Cheng, Z. Liu, and Z. Hao, Decomposition of nitrous oxide over Co-zeolite catalysts: role of zeolite structure and active site , Catal. Sci. Technol., 2, 1249-1258(2012).
    8. M. Hussain, D. Fino, and N. Russo, N2O decompostion by mesoporous silica supported Rh catalysts , J. Hazard. Mater., 211-212, 255-265 (2012).
    9. K. Doi, Y. Y. Wu, R. Takeda, A. Matsunami, N. Arai, T. Tagawa, and S. Goto, Catalytic decompostion of N2O in medical operating rooms over Rh/Al2O3, Pd/Al2O3, and Pt/Al2O3 , Appl. Catal. B, 35,43-51 (2001).
    10. H. Song, Synthesis and Reaction Characteristics of N2O Decomposition Catalysts Derived from Hydrotalcite-type Precursors,MS. Thesis, Sangmyung Univ., Korea (2004).
    11. S. S. Kim, S. J. Lee, and S. C. Hong, Effect of CeO2 addition to Rh/Al2O3 catalyst on N2O decomposition , Chem. Eng. J., 169,173-179 (2011).
    12. L. Chen, H. Y. Chen, J. Lin, and K. L. Tan, FT-IR, XPS and TPR studies of N2O decomposition over Cu-ZSM-5 , Surf. InterfaceAnal., 28, 115-118 (1999).
    13. X. Li, Z. Changbin. H. Hong, and T. Yasutake, Catalytic decomposition of N2O over CeO2 promoted Co3O4 spinel catalyst , Appl. Catal. B, 75, 167-174 (2007).
    14. S. Parres-Esclapez, M. J. Illan-Gomez, C. Salinas-Martinez de Lecea, and A. Bueno-Lopez, Prepar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γ- Al2O3 particles-supported Rh/Ce0.9Pr0.1O2 catalyst for N2O decompostion in the presence of O2, H2O and NOx , Int. J. Greenhouse Gas Control, 11, 251-261 (2012).
    15. A. Trovarelli, Catalysis by Ceria and Related Materials, Imperial College Press, UK (2001).
    16. P. Burroughs, A. Hamnett, A. F. Orchard, and G. Thornton, Satellite structure in the X-ray photoelectron spectra of some binary and mixed oxides of lanthanum and cerium , J. Chem. Soc.Dalton Trans., 0, 1686-1698 (1976).
    17. A. E. Nelson and K. H. Schulz, Surface chemistry and microstructural analysis of CexZr1-xO2-y model catalyst surfaces , Appl.Surf. Sci., 210, 206-221 (2003).
    18. L. Chen, J. Li, M. Ge, and R. Zhu, Enhanced activity of tungsten modified CeO2/TiO2 f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in of NOx withammonia , Catal. Today, 153, 77-83 (2010).
    19. D. I. Kondarides and X. E. Verykios, Effect of chlorine on the chemisorptive properties of Rh/CeO2 catalysts studied by XPS and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techniques , J. Catal., 174,52-6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