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ISSN : 2288-4505(Online)
RESEAPCH PAPERS :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bstract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 obtusa leaf extracts was carried ou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50) of C. obtusa leaf extracts on ROS generated in Fe 3+ -EDTA/H2O2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SC50; 0.22 μg/mL) and aglycone fraction of C. obtusa leaf extracts (0.20 μg/mL) showed about 7 times more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than L-ascorbic acid (1.50 μg/mL).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ractions obtained from C. obtusa leaf extract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C. obtusa leaf extracts showed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5∼25 μg/mL). The inhibitory effect (IC50) of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n tyrosinase exhibited 74.43 and 53.80 μg/mL, repectively. The aglycone fraction showed four times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than arbutin (226.88 μg/mL), known as a whitening agent. The aglycone fraction of C. obtusa leaf extracts showed three bands in TLC chromatogram and three peaks in HPLC chromatogram (360 nm). Thre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taxifolin, quercetin and kaempfe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ractions of C. obtusa leaf extracts can function as antioxidants in biological systems, particularly skin exposed to UV radiation by scavenging 1 O2 and other ROS, and protect cellular membrane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The fractions of C. obtusa leaf extracts can be applicable to new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 and whitening effects.
연구 논문 :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평가와 성분 분석을 통하여 편백나무 잎의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 3+ -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22 μg/mL)과 아글리콘(aglycone) 분획(0.20 μ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 μg/mL)보다 약 7배 더 큰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25 μg/mL)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타이로신네이즈의 활 성 저해 효과(IC50)는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에서 각각 74.43, 53.80 μg/mL으로 나타났으며 아글리콘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로 알려진 arbutin (226.88 μg/mL)에 비해 약 4배 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분획은 TLC 크로마토그램에서 3개의 띠를 나타내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360 nm)은 3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분리된 3가지 성분은 taxifolin, quercetin, 그리고 Kaempferol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분획들은 1 O2을 비롯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에서, 특히 태양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분획들은 항산화나 미백용 화장품에 응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