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4 No.6 pp.584-589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3.1077

The Activity of Standard and Fast SCR over V-based Catalysts Supported on Various TiO

Ji Eun Jeong, Yeon Jeong Jo, Inyoung Lee*, Jeongkeun Lee*, Chang-Yo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an 31080, Republic of Korea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Climate Change & Environment Group, Daejeon 3405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Kongju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eonan 31080, Republic of Korea Tel: +82-41-521-9421 e-mail: cylee@kongju.ac.kr
September 4, 2023 ; October 5, 2023 ; October 8, 2023

Abstrac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Ox/TiO2 catalysts with different TiO2 supports were analyzed, and SCR reactions were performed. VOx/TiO2 catalysts were prepared by impregnation using anatase TiO2, which was manufactured by Sigma Aldrich and prepared from TiOCl2 and titanium isopropoxide (TTIP) as a precursor. They are denoted as VS, VC, and VP.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VS was 1/10 or less of that of the VC and VP, and the dispersibility of vanadium oxide was relatively low. As a result of XPS analysis, the ratio of adsorbed oxygen was higher in VS and VP with Ti3+ than in VC. In VC and VP, vanadium mainly existed in V4+ and V3+ states in relation to the dispersibility of vanadium oxide. The amount of adsorbed oxygen contributed more to NH3-SCR activity than vanadium oxide dispersibility below 250 °C, while vanadium oxide dispersibility contributed more to activity beyond 300 °C. The fast SCR activity in all three samples was the highest at NO2/NOx = 0.5, followed by VS < VC < VP sampl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dispersibility of vanadium oxi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st NH3-SCR activity.



다양한 TiO2에 담지된 바나디아 촉매의 표준 및 빠른 SCR 활성

정지은, 조연정, 이인영*, 이정근*, 이창용†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한국전력연구원 에너지환경연구소

초록


지지체 TiO2가 다른 VOx/TiO2 촉매들에 대해 특성 분석과 SCR 반응을 수행하였다. Sigma Aldrich 사의 anatase TiO2와 TiOCl2와 TTIP를 출발 원료로 제조한 TiO2를 사용하여 VOx/TiO2 촉매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VS, VC, VP로 표시하였 다. VS 시료의 비표면적은 VC 및 VP 시료 대비 1/10 이하로서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XPS 분석 결과, 촉매 표면의 흡착 산소의 비는 Ti3+가 존재하는 VS와 VP 시료가 VC 시료에 비해 높았다. 또한 VC와 VP 시료에서 바나듐은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과 관련하여 주로 V4+와 V3+ 상태로 존재하였다. 250 °C 이하 NH3-SCR 활성에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보다는 흡착 산소 양이 더 기여한 반면, 300 °C 이상 활성에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 성이 더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촉매들의 fast SCR 활성은 3 시료 모두 NO2/NOx = 0.5에서 가장 높았으며, VS < VC < VP 시료 순으로 나타났다. 빠른 NH3-SCR 촉매 활성에는 촉매의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이 영향을 크게 미친 다고 판단되었다.



    1. 서 론

    복합화력발전은 청정연료인 LNG를 사용하여 황산화물, 분진, 매연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발전효율 및 저렴한 건설단가 등의 장점으로 국내에서 주 발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1-3]. 2023년 제10차 전력수급계획에서 노후 석탄발전을 폐지하고 LNG 발전으로 대체하 여 2036년 LNG 발전설비가 64.6 GW로 확대될 예정이라 발표하였다. 복합화력발전은 기동 및 정지가 용이하여 발전부하에 신속하게 대처 할 수 있지만 기동 초기에 질소산화물이 허용기준 이상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때 굴뚝에서 황연 현상(yellow plume phenomenon)이 발생되 어 인근 지역으로부터의 민원을 받고 있다[3,4]. 현재 대기환경보전법 에서 가동개시 후 안정화 기간 동안 배출허용기준 초과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LNG 복합화력 발전 비중 증가에 따라 기동 초기 저부하 구간에서도 배출 규제 강화가 불가피하며, 이에 대비한 신기 술 적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LNG 발전의 정상가동 시에 배출되는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선택적 촉매 환원(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5]. SCR 공정은 배기가스 온도가 300~400 °C일 때 최 적의 활성을 나타낸다[6,7]. 하지만 정지 및 기동의 저부하 구간에서 배가스 온도는 250 °C 이하이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 내는 SCR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로서 fast SCR은 NO와 NO2의 농도가 동일하게 조절될 때 기존의 SCR보다 반 응속도가 빨라 우수한 저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8,9]. SCR 공정에 서 TiO2에 바나듐을 담지한 촉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바나듐계 촉 매의 SCR 활성은 촉매의 구조, 분산, 표면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 난다[10,11]. 이 때 지지체 TiO2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활성 금속의 구 조 및 분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촉매 활성은 TiO2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1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온 SCR 활성을 위한 촉매로 세 종의 TiO2를 지지체로 사용한 VOx/TiO2 촉매를 제조하고 촉매의 탈질 특성에 대해 비교 및 검토하였다. 제조한 촉매에 대해 XRD, BET, XPS, NH3-TPD 등의 분석을 수행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tandard, fast, slow SCR 반응을 수행하고 VOx/TiO2 촉매의 저온 SCR 활성을 조사하였다.

    2. 실 험

    2.1. 촉매 제조

    본 연구에 사용된 지지체 3종의 TiO2는 Sigma Aldrich 사의 anatase TiO2와 TiOCl2 (titanium oxychloride) 및 TTIP (titanium isopropoxide) 를 출발 원료로 각각 제조한 TiO2를 사용하였다. TiOCl2를 사용하는 경우, 2 M의 암모니아 수용액 500 ml에 20 ml의 TiOCl2 첨가하여 하얀 침전물을 얻었다. 이를 증류수로 여러 번 세척하고 110 °C에서 6 h 건조한 다음 550 °C에서 5 h 동안 공기로 소성하였다. TTIP를 사용하는 경우, TTIP, 물, 무수에탄올을 몰비 1:50:1로 하여 혼합하고 4 h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TiO2 졸을 110 °C에서 6 h 건조한 다음 550 °C에서 5 h 동안 공기로 소성하였다. 바나듐 전구체는 Sigma Aldrich 사의 ammonium metavanadate (NH4VO3)를 사용하였다. VOx/TiO2 촉매는 함침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 방법은 다 음과 같다. 산화 바나듐의 담지량이 지지체의 질량 기준으로 1 wt(%) 로 담지 될 수 있는 양을 계산하여 바나듐 전구물질을 옥살산 수용액 에 용해시킨 후, TiO2와 물리적으로 잘 혼합시켰다. 이 후 110 °C 오 븐에서 12 h 동안 건조한 다음 550 °C에서 5 h 동안 공기로 소성하였 다. Sigma Aldrich 사의 TiO2를 지지체로 사용하여 제조한 VOx/TiO2 촉매는 VS로 표시하였다. TiOCl2 및 TTIP를 출발 원료로 제조한 TiO2 를 지지체로 사용하여 제조한 VOx/TiO2 촉매는 각각 VC와 VP로 표 시하였다.

    2.2. 특성 분석

    제조한 촉매들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Rigaku 사의 MiniFlex 600 장비를 이용하여 XRD 분석을 하였다. 분석조건은 CuKα의 파장 (λ = 0.154 nm), 광전압과 전류는 40 kV, 20 mA로 사용하였으며, 스 캔 범위(2θ)는 20~80°에서 5 °/min의 주사속도로 측정하였다. 촉매의 기공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Micromeritics 사의 TriStar Ⅱ 장비를 이 용하여 측정한 질소 흡·탈착 등온선으로부터 BET 이론에 의해 비표 면적을 구하였고, BJH 모델식을 이용하여 기공 크기 및 분포를 구하 였다. 촉매 중 금속 성분의 산화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Thermo 사의 K-Alpha 장비를 사용하여 XPS 분석을 하였다. excitation source로 Al Kα (1486.6 eV)를 사용하였으며, 처리 결과는 C1s 피크의 결합에너 지 값을 284.6 eV로 기준하여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촉매의 NH3 흡착 능을 평가하기 위해 NH3-TPD를 수행하였다. 석영 반응기에 일정량의 촉매를 충진하고 전처리 후 NH3를 흡착시키고 10 °C/min 승온율로 GC-TCD (Shimadzu, GC 2014) 장비를 이용하여 NH3 탈착량을 측정 시켰다.

    2.3. 반응 실험

    제조된 VOx/TiO2 촉매의 SCR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장치도 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반응가스는 N2를 balance로 하여 200 ppm NOx, 200 ppm NH3, 10% O2로 구성되었으며, MFC (Brooks MFC 5850E)를 사용하여 반응기로 공급되었다. 수분 공급은 O2 혼합가스를 물이 담긴 버블러에 통과시켜 10%의 수분을 함유하도록 조절하였다. 이 때 수분의 응축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관의 온도를 150 °C로 유지 하였다. 반응기로 유입되는 가스의 총 유량은 800 ml/min이며, 공간 속도는 20,000 hr-1로 고정하였다. 촉매는 50-70 mesh 크기를 사용하 였다. 반응기는 thermowell이 설치된 석영 재질의 고정층 연속흐름반 응기(ϕ 25 mm × 250 mm)를 사용하였다. 온도별 가스 농도는 해당 온도를 30 min 이상 유지시킨 후 측정하였다. NOx 농도는 Flue Gas Analyzer (Ecom, MK3000,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VOx/TiO2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

    Figure 2는 3종의 촉매에 대한 XRD 분석 결과이다. 3종 시료 모두 25.5, 37.9, 48.2, 54.0, 55.3, 62.3, 62.9, 74.3°에서 anatase 결정 피크들 을 보여준다[13]. VP 시료의 경우 brookite 상의 결정 피크도 관찰되 었다. VS 시료는 VC와 VP 시료에 비해 anatase 피크의 세기가 가장 컸지만, 반면 결정 피크의 반가폭은 가장 작았다. 시료들의 TiO2 1차 결정립 크기를 나타낸 Table 1을 보면, VS 시료의 TiO2 결정립 크기 가 VC 및 VP 시료의 TiO2 결정립 크기보다 3배 정도 컸다. 한편, Figure 2의 모든 X-선 회절도에서 산화 바나듐의 결정 피크는 관찰되 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산화 바나듐의 담지량이 1%로서 낮기 때문 에 산화 바나듐의 결정 피크가 검출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Figure 3 은 3종의 촉매의 질소 흡·탈착 등온선으로부터 구한 기공 분포를 나 타낸 것이다. VS 시료의 경우 메조 기공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반 면, VC 및 VP 시료는 직경 25 nm 이하의 메조 기공이 형성되어 있었 다. Table 2에 흡착 등온선으로부터 구한 비표면적, 세공 부피, 평균 세공경을 나타내었다. VS 시료의 비표면적과 세공 부피는 각각 6.5 m2/g, 0.025 cm3/g로서 VC 및 VP 시료에 비해 현저히 작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VS 시료는 비다공성에 가까운 기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VS 시료 중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은 VC 및 VP 시료 대 비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3종의 촉매 표면의 금속의 산화 상태 및 산소결합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XPS 분석 결과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Figure 4(a)는 Ti 2p의 XPS 스펙트럼으로서, VS 시료에서 Ti4+ 상태에 기인하는 Ti 2p 결합에너지 피크가 각각 459.0 eV와 464.6 eV에서 나타났다. 반면 VC와 VP 시료에서의 Ti4+에 해당하는 Ti 2p 피크는 VS 시료에 비해 낮은 결합에너지(457.3~457.6 eV, 462.9~463.3 eV)에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각 시료에서 지지체 TiO2의 결정 구조에서 원자 간의 결 합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VS 및 VP 시료의 경 우 Ti3+ 상태에 기인하는 Ti 2p3/2 결합에너지 피크가 관찰되었는데, 이 는 TiO2 결정 구조의 결함과 관련될 수 있다[14]. Figure 4(b)의 O 1s 의 스펙트럼을 보면, O 1s 결합에너지 피크는 두 개의 피크로 분리되 며 각각 격자 산소(529.0~530.0 eV)와 표면 흡착 산소(531.6~532.3 eV)에 해당된다[15]. O 1s의 피크에서 반응성과 관련되는 흡착 산소 의 비율은 Ti3+ 상태가 존재하는 VS와 VP 시료가 VC 시료에 비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VS 및 VP 시료의 지지체 표면의 구조 결함에 기인하여 산소 공석이 존재함을 의미한다[16]. 촉매 표면의 산소 공석 은 기체 산소를 흡착하여 촉매 표면 흡착 산소종을 향상시킨다. 이때 흡착 산소종은 NH3-SCR 반응에 참여하기 때문에 촉매 활성을 증가시 키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17]. Figure 4(c)의 V 2p의 스펙트럼에 서 바나듐의 산화 상태는 각각 V5+ (517.0 eV), V4+ (515.7 eV), V3+ (513.6 eV)로 관찰된다. VC와 VP 시료에서 바나듐은 비화학양론 종 인 V4+와 V3+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는 바나듐 산화물의 높은 분산성 과 관련될 수 있다[18]. 따라서 이들 시료의 경우 TiO2 지지체의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V와 Ti 간의 강한 상호작용이 작용하여 V5가 환원 된 V4+ 및 V3+로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반면 매크로 기공이 대부분인 VS 시료에서도 V4+ 상태가 존재하는데, 이는 지지체 TiO2의 표면 결 함에 의한 전하 불균형에 기인하여 생성되었다고 추측된다. Zhao 등 [15]은 비화학양론 종인 V4+와 V3+가 존재할 때 촉매의 redox 반응을 촉진하여 촉매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결국 XPS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촉매 표면에서 흡착 산소종과 낮은 산화가 상태의 바 나듐 종이 많이 존재하면 우수한 SCR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 된다.

    3종의 촉매에 대한 NH3-TPD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다. NH3-SCR 반응은 촉매 표면에 흡착한 NH3가 기상 NO와 반응하는 E-R 메커니즘에 따르기 때문에 촉매의 NH3 흡착량 및 흡착 세기는 SCR 활성에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6]. NH3-TPD 프로파일에서 약산 점(< 200 °C), 중간 산점(200~350 °C), 강산점(350 °C <) 등 3개의 탈 착 피크가 관찰되는데, 약산점과 강산점은 각각 Brønsted 산점과 Lewis 산점에 해당된다[6,19]. VS 시료는 약산점이 150 °C 부근에서 약간 존재하였다. VP 시료의 약산점은 VC 시료에 비해 다소 많은 반 면 중간 산점 및 강산점은 VC 시료에 비해 적었다. Zhao 등[19]에 따 르면 바나듐의 산화 상태가 낮을수록 Brønsted 산점을 형성하는 활성 화 에너지가 낮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XPS 분석 결과에서 VP 시료는 VC 시료에 비해 낮은 산화 상태인 V3+의 비율이 더 컸기 때문에 이로 부터 VP 시료에서 약산점의 형성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Figure 6은 3종의 촉매에 대한 NH3 탈착 피크 면적과 비표면적 값을 나타낸 그림이다. VC와 VP 시료는 VS 시료보다 각각 12배 및 10배의 NH3 흡착량을 보였는데, 시료들의 비표면적도 비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VOx/TiO2 촉매에서 바나듐 산화물의 담지량이 1%로 낮아 지지체 TiO2 표면에 바나듐 산화물이 비교적 고르게 분산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3.2. V/TiO2 촉매의 SCR 활성

    3종의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 온도에 따른 SCR 활성을 Figure 7에 나타내었다. 150 °C에서 NOx 전환율은 3 시료 모두 6% 정도로 비슷 하였다. 200~250 °C 저온 구간에서 촉매 활성은 VS < VC < VP 순으 로 나타났다. VC 시료는 VS 시료 대비 약 10 배의 비표면적과 NH3 흡착량을 보였으나, 저온 구간에서 촉매 활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Jin 등[20]은 촉매 표면에 존재하는 흡착 산소 종이 일부 NO를 NO2로 쉽게 산화시켜 fast SCR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저온 활성을 증 진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XPS 결과에서 VS 시료에서 VC 시료보 다 흡착 산소 종이 더 높은 비율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두 시료에서 저온 활성이 비슷한 것은 낮은 온도 구간에서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 산성보다는 흡착 산소 양이 SCR 활성에 더 기여하기 때문이라고 판 단된다. VOx/TiO2 촉매에서 NH3 흡착 산점이 SCR 활성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다. Lee 등[21]은 Brønsted 산점에 흡착된 NH4+ 종은 우수한 반응성으로 저온 SCR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앞서 XPS 및 NH3-TPD 분석 결과에서, VP 시료는 VC 시료에 비해 흡착 산소 종 비 및 V3+ 비가 더 높고 Brønsted 산량도 다소 많았다. 결국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VP 시료가 가장 높은 저온 SCR 활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300~400 °C 중고온에서 VS 시료의 NOx 전환율은 250 °C 전환율과 거의 차이 없이 일정한 경향을 보였다. 반면, VC와 VP 시료의 NOx 전환율은 각각 97% 및 84%로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 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VOx/TiO2 촉매의 비표면적과 관련하는 바나 듐 산화물의 분산성은 저온보다는 중고온에서 SCR 활성에 더 큰 영 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한편, N2O 생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GC-TCD 이용하여 분석하였지만 모든 촉매의 SCR 반응에서 N2O는 검출되지 않았다.

    3종의 촉매에 대해 150~250 °C 저온 구간에서 NO2/NOx 비에 따른 SCR 활성을 Figure 8에 나타내었다. 바나듐계 촉매의 NH3-SCR 반응 은 바나듐 표면에 흡착한 NH3와 기상 NO가 반응하여 N2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바나듐 산화수는 감소하고 기상 O2에 의해 원래 상태로 재 산화 된다[6]. 한편, NO와 NO2가 혼재하는 fast SCR 반응에서는 O2보 다 산화력이 더 큰 NO2에 의해 환원된 바나듐의 재산화가 이뤄진다. 결과적으로 fast SCR 반응은 standard SCR에 비해 촉매 중 바나듐 활 성종의 환원 산화 주기가 빨라져 저온 활성을 증진하게 된다. 하지만 NO2/NOx 비가 0.5 이상 과도하게 되면 NO2와 NH3의 느린 반응으로 NOx 전환율이 저하한다[22]. Figure 8에서 3 시료 모두 전 온도 구간 에서 NO2/NOx 비가 0.5일 때 가장 높은 NOx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이 때 VC 및 VP 시료는 차이 없이 저온 전 구간에서 전환율 90% 이 상의 높은 저온 활성을 나타낸 반면, VS 시료의 경우에는 200 및 250 °C에서는 약 80% 전환율을 보였고 150 °C에서는 약 50%의 전환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fast SCR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촉 매 중 흡착 산소 및 바나듐의 산화 상태보다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 성이 더 크다고 추측된다. 아울러 3 시료 모두 200 °C와 250 °C에서 fast SCR 활성이 거의 일정한 것은 반응 온도가 증가하면 환원 속도 와 재산화 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fast SCR에 의한 활성 증진의 영 향이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23]. 한편, NO2/NOx 비 1에서는 온도가 증가하면 NOx 전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NO2와 NH3의 느린 반응 속도 및 NO2의 분해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 이라고 추측된다[22].

    4. 결 론

    3종의 TiO2에 바나듐 산화물을 1 wt% 담지시켜 제조한 VOx/TiO2 촉매들에 대해 특성분석과 SCR 활성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질소 물리 흡·탈착 분석 결과, VS 시료는 메조 기공이 발달하 지 않아 비표면적은 VC 및 VP 시료 대비 1/10 이하로서, VS 시료의 바나듐 산화물 분산성은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었다. XPS 분석 결 과, VS 및 VP 시료의 TiO2에서는 Ti3+가 관찰되었고, 촉매 표면 중 흡 착 산소의 비율은 Ti3+가 존재하는 VS와 VP 시료가 VC 시료에 비해 더 높았다. 또한 VC와 VP 시료에서 바나듐은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 성과 관련하여 주로 V4+와 V3+ 상태로 존재하였다. NH3-TPD 분석 결 과 SCR 활성에 관련하는 Brønsted 산량은 VP 시료가 가장 컸다. 촉매 들의 250 °C 이하 SCR 활성에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보다는 흡착 산소 양이 더 기여한다고 판단되었다. 반면, 300 °C 이상 SCR 활성에 는 촉매의 비표면적과 관련하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이 더 큰 영 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촉매들의 fast SCR 활성은 3 시료 모두 NO2/NOx = 0.5에서 가장 높았으며, VS < VC < VP 시료 순으로 촉매 활성이 높았다. Fast SCR 촉매 활성에는 바나듐 산화물의 분산성이 영향을 크게 미친다고 판단되었다. 한편, 200 °C 이상부터 Fast SCR 에 활성은 거의 유지되는데, 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NO2에 의한 재 산화 속도 증진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감 사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의 재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 다. (과제번호: R21VJ01)

    Figures

    ACE-34-6-584_F1.gif
    The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equipment.
    ACE-34-6-584_F2.gif
    XRD patterns of three VOx/TiO2 catalysts.
    ACE-34-6-584_F3.gif
    BJH pore size distribution curves calculated from nitrogen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s of three VOx/TiO2 catalysts.
    ACE-34-6-584_F4.gif
    XPS spectra of three VOx/TiO2 catalysts: (a) Ti 2p, (b) O 1s, and (c) V 2p.
    ACE-34-6-584_F5.gif
    The NH3-TPD profiles of three VOx/TiO2 catalysts.
    ACE-34-6-584_F6.gif
    The area of NH3-TPD profile and surface area of three VOx/TiO2 catalysts.
    ACE-34-6-584_F7.gif
    The NOx conversion of three VOx/TiO2 catalysts.
    ACE-34-6-584_F8.gif
    The effect of NO2/NOx ratio on NOx conversion over three VOx/TiO2 catalysts.

    Tables

    Crystallite Size Calculated Using the Scherrer Equation for (101) Peak
    Textural Characteristics of VOx/TiO2 Catalysts

    References

    1. M. An, S. Kim, and S. Lee, NOx reduction analysis from hybrid De-NOx facility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 KSFM J. FluidMach., 24, 62-66 (2021).
    2. J. S. Song, J. M. Yu, S. Y. Han, J. W. Choi, and K. B. Yoon, Risk assessment technique for gas fuel supply system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 Based on API RBI procedures, J. Energ.Eng., 27, 1-13 (2018).
    3. S. P. Cho,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for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n Korea, KCI News, 25, 28-33 (2022).
    4. S. -J. Lee and Y. Kim, A study on the demonstration of yellow plume elimination system from combined cycle power plant using liquid injection system,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1, 317-324 (2020).
    5. S. B. Kim, G. R. Choi, J. H. Shin, and S. C. Hong,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of NOx with NH3 on Sb-promoted VWTi catalysts, Appl. Chem. Eng., 32, 35-41 (2021).
    6. J. Yeo and S. Hong, A study on the effect of low-temperature activity on vanadium catalysts, Clean Technol., 26, 321-328 (2020).
    7. H. H. Lee, K. H. Park, and W. S. Cha, Characterization of low temperat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ver Ti added Mn-Cu metal oxides, Appl. Chem. Eng., 24, 599-604 (2013).
    8. J. O. Lee, D. H. Lee, Y. -H. Song, D. -K. Oh, and J. -W. Seo, A study for SCR catalyst reduction in fast SCR using oxidation catalyst, Appl. Chem. Eng., 24, 333-336 (2013)
    9. C. Ciardelli, I. Nova, E. Tronconi, D. Chatterjee, and B. Bandlkonrad, A “nitrate route” for the low temperature “fast SCR” reaction over a V2O5–WO3/TiO2 commercial catalyst, Chem. Commun., 23, 2718-2719 (2004).
    10. Y. J. Lee, J. M. Won, S. H. Ahn, and S. C. Hong, The study of reaction characteristics of V/W/TiO2 catalyst using Se-TiO2 support on NH3-SCR reaction, Appl. Chem. Eng., 32, 599-606 (2021).
    11. J. H. Shin, D. W. Kwon, and S. C. Hong, A study of structural characteristic control and reaction activity of V/TiO2 for NH3-SCR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J. Korean Soc. Atmos. Environ., 33, 297-305 (2017).
    12. D. Yun, Y. Zhao, L. Abdullahi and J. E. Herrera, The effect of interstinal nitrogen in the activity of the VOx/N-TiO2 catalytic system for ethanol partial oxidation, J. Mol. Catal. Chem., 390, 169-177 (2014).
    13. S. H. Lee, and C. -Y. Lee, Visible light induced photocatalytic activity of N-doped TiO2, Appl. Chem. Eng., 29, 298-302 (2018).
    14. Y. Xu, S. Wu, P. Wan, J. Sun, and Z. D. Hood, Introducing Ti3+ defects based on lattice distortion for enhanced visible light photoreactivity in TiO2 microspheres, RSC Adv., 7, 32461-32467 (2017).
    15. W. Zhao, Q. Zhong, Y. Pan, and R. Zhang, Systematic effects of S-doping on the activity pf V2O5/TiO2 catalyst for low-temperature NH3-SCR, Chem. Eng. J., 228, 815-823 (2013).
    16. S. A. Abdullah, M. Z. Sahdan, N. Nayan, Z. Embong, C. R. C. Hak, and F. Adriyando, Neutron beam interaction with rutile TiO2 single crystal (1 1 1): Raman and XPS study on Ti3+-oxygen vacancy formation, Mater. Lett., 263, 127143 (2020).
    17. W. Zhao, K. Zhang, L. Wu, Q. Wang, D. Shang, and Q. Zhong, Ti3+ doped V2O5/TiO2 catalyst for efficient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with NH3, J. Colloid Interface Sci., 581, 76-83 (2021).
    18. B. Ye, M.-j. Lee, S.-y. Chun, G. Lee, J. Kim, B. Jeong, T. Kim, and H.-D. Kim, Promotional effect of surface treated N-doped as support for VOx-based catalysts on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using NH3, Appl. Surf. Sci., 560, 149934 (2021).
    19. X. Zhao, Y. Yan, L. Mao, M. Fu, H. Zhao, L. Sun, Y. Xiao and G. Do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V4+/V5+ ratio and the surface dispersion, surface acidity, and redox performance of V2O5–WO3/ TiO2 SCR catalysts, RSC Adv., 8, 31081-31093 (2018).
    20. W. Jin, B. Q. Jiao, W. Chen, M. Y. Li, J. Zhao, and X. W. Zhang, In situ supported VOx on carbon nanotubes for the low-temperatur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with NH3, IOP Conf.Ser.: Mater. Sci. Eng., 699, 25-28 (2019).
    21. K. J. Lee, P. A. Kumar, M. S. Maqbool, K. N. Rao, K. H. Song, and H. P. Ha, Ceria added Sb-V2O5/TiO2 catalysts for low temperature NH3 SC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atalytic activity, Appl. Catal. B, 142-143, 705-717 (2013).
    22. H. -C. Jeong, S. -M. Sim, Y. -D. Kim, S. -J. Jeong and W. -S. Kim,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NH3-SCR of NOx over a vanadium- based catalyst, Transaction of KSAE, 20, 20-27 (2012).
    23. L. Arnarson, H. Falsig, S. B. Rasmussen, J. V. Lauritsen and P. G. Moses, A complete reaction mechanism for standard and fast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on low coverage VOx TiO2(001) catalysts, J. Catal., 346, 188-19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