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4 No.5 pp.501-506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3.1059

Characterization of Oleogels and Oleogel Emulsions Made with Sucrose Ester and Ceramide as Mixed Gelators

Dayeon Lee, Byung Suk Jin†
Division of Chemistry and Cosmetic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02748, Korea
Corresponding Author: Dongduk Women’s University Division of Chemistry and Cosmetics, Seoul 02748, Korea Tel: +82-2-940-4513 e-mail: bsjin@dongduk.ac.kr
July 3, 2023 ; July 22, 2023 ; July 24, 2023

Abstract


Oleogel and oleogel emulsions of sunflower oil were prepared using sucrose ester and ceramide as mixed gelators.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gelator in the oleogels and oleogel emulsion formulations was observed with a polarized optical microscope, and the dispersion form of water was confirmed with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rough the DSC thermogram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ceramide disappeared when sucrose ester and ceramide were mixed, and the crystallinity of the mixed gelator increased further when water was added to the formulation.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nd viscoelasticity according to the ratio of sucrose ester, ceramide, and water in the formulation were examined. As the content of ceramide and water increased, the viscosity, storage modulus, and loss modulus all increased, and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lso tended to increase.



수크로스 에스터와 세라마이드를 혼합 겔레이터로 사용한 올레오겔과 올레오겔 에멀젼의 특성 분석

이 다연, 진 병석†
동덕여자대학교 화학⋅화장품학부

초록


수크로스 에스터와 세라마이드를 혼합하여 겔레이터로 사용한 해바라기 오일의 올레오겔과 올레오겔 에멀전을 제조 하였다. 올레오겔과 올레오겔 에멀젼 제형 내에서 겔레이터의 결정 구조는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물의 분산형태는 공초점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DSC 열차트 분석을 통해, 수크로스 에스터와 세라마이드를 혼합하면 세라마이드의 결정구조는 사라지고 제형에 물이 첨가되면 혼합된 겔레이터의 결정성이 더욱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제형에서의 수크 로스 에스터, 세라마이드, 물의 비율에 따른 점도와 점탄성 등의 유변학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세라마이드와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 및 저장탄성률, 손실 탄성률 등이 모두 증가하고, 또한 제형의 안정성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 서 론

    겔(gel)은 액체 분산매 내에서 분자, 입자, 고분자 사슬 등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네트워크 구조로, 액체 분산매가 네트워크 구조에 갇혀 반고체 상태를 이루게 된다. 겔은 액체 분산매의 극성 유무에 따라, 극성일 때는 하이드로겔(hydrogel), 비극성일 때는 오르가노겔(organogel)로 분류된다[1-3]. 반고체 상태의 겔 제형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식품 분야에서는 크림, 버터, 마가린, 쇼트닝 등이 반고체 제형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데[4,5], 이러한 유지 제품에는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혈관 질환 및 비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같은 유지제품의 대체재로 겔의 제형 중 하나인 올레오겔(oleogel)이 제시되었다.

    올레오겔은 액체 오일과 그 안에 분산된 겔레이터(gelator)로 구성 된 반고체 제형으로, 겔레이터가 3차원 그물 형태의 조직을 형성하고, 형성된 그물 조직 사이에 오일이 갇혀서 반고체 형태를 이루게 된다 [2,6]. 올레오겔을 만들 수 있는 겔레이터는 분자량에 따라서 저분자량 올레오겔레이터(low molecular weight oleogelators, LMOGs)와 고분자량 올레오겔레이터(high molecular weight oleogelators, HMOGs)로 나뉜다[7,8]. LMOGs는 지방과 같은 비교적 작은 분자이며, 지방산 이나 지방 알코올, 왁스, 솔비탄 에스테르, 세라마이드 등이 있다 [9-11]. 이들은 오일상에서 자기 집합체(self-assembly system)를 이루어 겔을 형성하게 된다[7]. HMOGs는 비교적 거대한 분자량의 고분자나 단백질 등이 오일과 상호 작용하여 겔을 형성한다[12].

    올레오겔은 겔레이터의 조합에 따라서 질감, 구조, 안정성 및 감각적 특성을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올레오겔 연구 동향은 새로운 물질 또는 물질 조합을 개발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왁스 및 고분자와 같은 다양한 유형 겔레이터와 액체 오일과의 특성 및 상호 작용 등을 조사하여 안정적이고 기능적인 올레오겔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13,14]. 하지만 식품 산업에서 올레오겔의 적용은 지방의 함량을 낮추고, 가공하기 쉽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물과의 상용성이 낮기 때문에 물을 함유하는 유화 제품에 활용하는 데는 제한적이다[6]. 화장품 산업에서도 유지로만 구성된 제품은 메이크업 극히 일부 제품에 국한되기 때문에 올레오겔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올레오겔에 물을 첨가하여 만든 올레오겔 에멀젼(oleogel emulsion)이 새롭게 개발되어, 기존의 올레오겔보다 더 많은 곳에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해지고 있다. 올레오겔 에멀젼은 물을 함유한 반고형의 제형으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분야에서 탈부착성, 연화작용, 압출성, 퍼짐성과 같은 특성이 필요한 수중 유적형(W/O) 유화 제품에 광범위하게 쓰이고, 특수 제형으로 drug delivery system (DDS)나 transdemal delivery system (TDS)에도 적용이 되고 있다[15,16].

    본 연구에서는 올레오겔과 올레오겔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서, 수크로스 에스터와 세라마이드를 겔레이터로 새로운 혼합 조성을 시도하였다. 수크로스 에스터(sucrose ester, SE)는 슈가 당분자의 수산기가 지방산의 카르복실기와 에스터 결합을 이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 비자극성 및 생분해성 등의 다수의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기존 PEG 계열 계면활성제를 대체하는 친환경적 계면활성제로 부각되고 있다[17].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sphingosine)에 지방산이 연결된 구조의 스핑고지질(sphingolipid)로, 피부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성분이지만, 결정성이 높아 제형의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난용성 물질이다[19-21].

    수크로스 에스터와 세라마이드는 두 물질 모두 결정성을 갖는 천연 기반의 물질이기 때문에[22,23], 이 두 물질을 조합한 겔레이터를 사용하면 안전하고 생체 친화적인 올레오겔, 올레오겔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크로스 에스터, 세라마이드 간 혼합 조성 및 물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다양한 올레오겔, 올레오겔 에멀젼을 만들고, 이들의 결정 구조, 유변학적 특성, 제형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면서 제형의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2. 실 험

    2.1. 사용 재료

    본 실험에서 올레오겔과 올레오겔 에멀젼 제조 시, 겔레이터로 사용된 수크로스 에스터(sucrose ester, 이하 SE 표기)는 S-370 (Mitsubishi, Japan)을 사용하였다. 세라마이드(ceramide, 이하 CER 표기)는 ceramide NP 성분인 DS-Ceramide Y30 (두산 솔루스, 한국)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분산매인 액체오일은 해바라기 오일(sunflower oil, 오뚜기, 한국, 이하 SFO 표기)를 사용하였다.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위해서 사용 된 수용성 형광체 Rhodamine-B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2.2. 사용 기기

    올레오겔 및 올레오겔 에멀젼 제조 시, 자석 교반기(VELP Scientifica Srl사, AREX-6 DIGITAL PRO)를 120 °C 온도로 설정하고 교반 시키면서 겔레이터를 용해시켰다. 시료 제형의 내부 결정구조를 관측하기 위해 편광 현미경(Nikon사, ECLIPSE E400 POL 모델)을 사용하였고, 시료 제형에 분산된 물의 분포를 관측하기 위해 공초점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arl Zeiss사, LSM800 BIO 모델)을 사용하였다. 시료의 결정성 분석을 위해 시차주사 열량계(DSC, TA사, Q-10 모델)을 사용하였고 질소가스 주입속도는 50 mL/min, 승온 속도는 10 °C/min 온도범위는 0~120 °C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점탄성 측정은 rotational rheometer (TA instrument Ltd, ARES-G2)를 사용하였고, 40 mm plate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0.1에서 100 Hz까지 주파수를 변화시키며 측정하였다.

    2.3. 올레오겔 및 올레오겔 에멀젼 제조

    해바라기 오일(SFO), 수크로스 에스터(SE), 세라마이드(CER), 물의 조성을 달리하여 다양한 올레오겔, 올레오겔 에멀젼을 제조하였고, 각 각의 조성은 Table 1과 같고, 각 제형에서의 겔 형성 여부를 표시하였다. SE의 중량은 10 g으로 고정하고, CER는 0~3 g, 물은 0~15 g, 나머지는 SFO로 전체 용액 중량을 100 g으로 만들었다.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오일에 세라마이드를 혼합하여 120 °C가 유지되는 자석 교반기에서 투명해질 때까지 녹이고, 이후에 수크로스 에스터 (SE)를 첨가하고 계속 교반시키면서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를 상온(25 °C)까지 냉각시키고, 하루 이상 보관하면 올레오겔이 만들어진다. 120 °C에서 용해된 상기 혼합물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에 천천히 물을 첨가하고, 4 min 이상 균일하게 자석 교반한 후, 상온에서 하루 이상 보관하여 최종적으로 올레오겔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모든 실험은 중 량 단위로 정량하여 혼합하였다.

    2.4. 안정성 실험

    올레오겔 및 올레오겔 에멀젼의 안정성 측정을 위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조된 시료들을 eppendorf tube에 1 g 을 넣고 25 °C에서 15 min 동안 10,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전 체 시료 중에서 분리된 상층액의 중량을 측정하여 separated phase % 로 표시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해바라기 오일(SFO)에 혼합 겔레이터로 수크로스 에스터(SE)와 세라마이드(CER)를 첨가하면 올레오겔이 형성되는데, 여기에 물을 첨가하게 되면 올레오겔 에멀젼이 되면서 겔 형성이 더욱 잘 이루어지게 된다. 물이 첨가될 때의 온도는 겔 형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Figure 1은 SE/CER 혼합 겔레이터로 만들어진 올레오겔에 물을 각각 다른 온도에서 첨가했을 때, 외관의 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25 °C의 온도에서 물을 첨가하면 두 샘플(SC1W1, SC3W15) 모두 제형이 균일한 상을 유지하지만, 80 °C 고온에서 물을 첨가하면 제형이 불균일해 지고 상분리가 일어났다. SE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SE의 OH기와 물 분자 간 수소결합을 형성하는데, 높은 온도에서는 수소결합이 약해지기 때문에 SE와 물 분자 간의 친화성(compatibility)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제형에서 상분리가 일어나게 된 것이다. 이후의 실험에서는 균일한 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물 첨가 온도를 25 °C로 고정시켜 진행 하였다.

    Figure 2는 각 샘플 제형의 겔 형성 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외관 사진이다. 겔레이터로 CER를 사용하여 올레오겔을 만든 연구는 이미 발표 되었는데[11], 본 실험에서도 CER을 10% 비율로 SFO에 혼합하였을 때 겔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C10). CER를 3%로 낮추고 대신 SE를 10% 첨가, 두 겔레이터를 혼합한 SC3 제형은 겔이 형성되지 못 하였다. 또한 SW15, C3W15 샘플과 같이 SE 10%, CER 3% 단독의 겔레이터를 사용한 제형에 물을 첨가한 경우에도 겔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SE 10%, CER 1%의 혼합 겔레이터에 물 1%를 첨가하게 되면(SC1W1), 겔 형성은 이루어지지만, 겔 제형이 오랜 시간 동안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흐르기 시작하면서 유동성이 나타났다. SE는 10%를 그대로 유지한 채 CER 와 물의 양을 각각 3%, 10%로 늘린 SC3W15 제형은 겔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여러 제형에서의 겔레이터 미세 구조를 편광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Figure 3). SFO에 CER만 단독으로 3%를 혼합한 C3 제형은 CER 의 결정 형태가 아주 미세하게 희미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제형의 대부분 영역은 무정형의 액체 오일 상태로 화면이 매우 어둡게 나타났다. SFO에 SE를 단독으로 10% 혼합한 S 제형에서는 SE의 결정이 조밀한 입자형태로 뭉쳐서 형성된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여기에 CER 3%를 같이 혼합한 SC3 제형에서는 더욱 많아진 결정이 전 영역에서 비교적 균일한 형태로 분산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SC3 제형에 물이 혼합된 SC3W15 제형은 SC3 제형보다 복굴절되어 나오는 빛이 상당히 많아 화면이 더욱 밝아진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물의 첨가에 의해 혼합된 겔레이터의 결정성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예측된다.

    Figure 4는 물이 첨가된 올레오겔 에멀젼 제형에서 물이 분산된 모습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살펴본 사진이다. SW15 제형에서는 수용성 형광체 Rhodamine-B로 염색된 물이 균일하게 분산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SE가 지용성 계면활성제로서 역마이셀(reverse micelle)을 형성하여 SFO에 물이 분산되는 W/O 구조를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SE와 달리 CER은 계면활성제로서의 기능이 거의 없기 때문에, C3W15 제형에서는 형광체가 분산된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오일상(oil phase)과 같은 소수성 환경에서 형광 염료 분자들이 분산되지 못하고 응집된 상태로 있게 되면 형광의 자체 소광(self-quenching)이 일어나 기 때문에[24], C3W15 제형은 만든 후 단시간 내에 형광 빛이 사라졌다. SE와 CER의 혼합 겔레이터에 1% 물을 첨가한 SC1W1 제형에서는 물이 조밀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에 반해, 15%로 물의 함량을 높이 인 SC3W15 제형에서는 연속상이 물의 분산상으로 가득 채워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제형 속에서 두 겔레이터 SE, CER의 결정성(crystallinity)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DSC 측정을 실시하였다. Figure 5(a)는 SE와 CER 각각의 열차트(thermogram)로, SE는 50~70 °C에 걸쳐 이중의 상전이 용융(fusion) 피크가 나타나고, CER은 105 °C에서 단일 용융 피크가 나타났다. 또한 SE와 CER의 용융 엔탈피 값은 각각 62.2 J/g, 93.6 J/g 로 SE보다 CER의 결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SFO에 두 겔레이터 SE, CER를 혼합한 SC3 제형에서는 CER 용융피크(105 °C)가 완전히 사라지고 SE의 이중 용융피크 만이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SE 의 이중 용융 피크에서도 첫 번째 용융 피크는 더 낮은 온도에서부터 넓게 분포되어 희미해지는 등 피크 모양이 변한 점을 고려할 때, 같이 혼합되어 있는 CER의 영향으로 SE의 결정 구조가 변한 것으로 예측 된다. SFO에 SE만이 겔레이터로 단독 사용되고 물이 첨가된 SW15 제형에서는 SE 고유의 피크 모습이 거의 그대로 남아있는데, 이는 SE 의 결정 구조가 SFO와 물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 다. 이와는 달리 SFO에 CER가 겔레이터로 단독 사용되고 물이 첨가 된 C3W15 제형에서는, CER의 용융 피크가 105 °C보다 많이 낮은 90 °C로 전이되고, 또한 용융 엔탈피 값도 예상치 2.81 J/g (= 93.6 × 0.03)보다 많이 낮은 1.8 J/g로 나타나는 점을 고려할 때, CER는 SFO 와 물과의 혼합으로 인해 결정 구조가 크게 변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SC3에 물이 첨가된 SC3W15 제형의 열차트를 살펴보면, SC3 제형과 거의 유사한 열차트 모습이지만 SE의 이중 용융 피크의 모습이 SC3 제형에 비해 좀 더 선명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 다. 또한 용융 엔탈피 값을 비교해보면, SC3W15 제형과 SC3 제형은 함유된 겔레이터의 함량이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SC3W15 제형이 SC3 제형보다 더 큰 엔탈피 값으로 측정되었다(10.1 > 7.5 J/g). 이는 제형에 물이 첨가되면 겔레이터의 결정성이 더욱 증가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Figure 6은 레오미터에서 각 진동수를 증가시켜가면서 여러 제형들의 점도 값 변화를 살펴본 결과이다. SFO에 SE를 10% 첨가한 S 제형은 유동성이 있는 졸과 같은 점도 값을 나타내지만, CER를 10% 첨가 한 C10 제형은 겔과 같은 높은 점도 값을 갖게 된다. SE와 CER를 각 각 10, 3% 혼합한 SC3 제형은 CER 단독의 C10 제형과 거의 비슷한 점도 값을 보였다. C10, SC3 제형에 비해 물이 첨가된 제형들의 점도 값은 더 높게 나타나는데, 제형에서 CER와 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제형의 점도 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SC2W5 < SC3W5 < SC3W15). 이러한 결과는 제형 내에서 물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3차원의 그물 형태로 성장하는 CER의 결정구조 형성이 더욱 잘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촘촘해진 그물조직 내에 오일의 유동성이 줄어들어 제형의 점도가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7은 여러 제형의 유변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진동수 변화에 따른 점탄성 변화를 비교한 그림이다. S 제형(b)에서는 진동수 0.1~100 Hz까지의 전 영역에 걸쳐 손실탄성률(loss modulus) G''값이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온에 서 졸 특성을 보이는 (b) S 제형은 외부로부터 제형에 변형에 가해지면 제형에서 점성적 특성(G'')이 탄성적 특성(G')보다 더 크게 발현됨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물이 첨가된 (d) SC2W5, (e) SC3W5, (f) SC3W15 제형에서는 진동수 전 영역에 걸쳐 G' 값이 G'' 값보다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외부 변형이 가해질 때 이들 제형에서는 탄성적 특성이 점성적 특성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겔 상태가 유지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형에서 CER와 물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G' 와 G''값이 점 점 더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a) C10과 (c) SC3 제형에서는 낮은 진동수 영역에서는 G'' 값이 G' 값보다 높지만, 진동수가 커지면서 G'' 값보다 G' 값이 높아지는 크로스오버(crossover)가 나타났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현상은 주로 고분자 겔 제형에서 고분자 사슬의 엉킴 (entanglement) 특성이나 네트워크 형성에 기인해서 나타나는 현상이 지만, 고분자가 없는 겔레이터로 만들어진 겔 제형으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점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제형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제형에 일정한 원심력을 가했을 때 제형 전체함량 중 분리된 상의 비율을 측정하여 Figure 8에 나타내었다. 상온에서 졸 상태인 SE 10%의 S 제형에서 상분리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데 반해, CER 10%의 C10 제형에서는 상분리되는 양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혼합 겔레이터를 사용했지만 물이 첨가되지 않은 SC1, SC3 제형과 물은 첨가되었지만 겔레이터를 단독으로 사용한 SW15, C3W15 제형에서는 상분리되는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겔레이터를 혼합하고 물이 첨가된 SCW 제형 대부분은 상분리되는 비율이 적게 나타나는데, CER 비율이 높고 첨가되는 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분리되는 상의 비율이 적게 나타났다. 또한 주목할 사항은 일부 제형에서 상분리 되는 비율이 제조 후 시간 경과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데, 특히 CER가 들어가고 물이 첨가된 제형들 대부분은 제조 후 1일에서 7일 동안 시간 경과에 따라 상분리 비율이 크게 낮아지고 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ER의 동역 학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제형에 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CER의 결정성이 시간에 비례하여 서서히 증가하여 제형이 단단해지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제형이 더욱 안정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SFO에 SE/CER 혼합 겔레이터를 사용하고 물을 첨가하여 안정한 겔 상태의 올레오겔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올레오겔 에멀젼을 만들 때 물을 첨가하는 온도에 따라 제형의 상 상태가 크게 달라진다. DSC 열차트를 분석한 결과, SE와 CER를 혼합한 제형에서 CER의 결정구조는 사라지고 제형에 물이 첨가되면 혼합 겔레이터의 결정성이 더욱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올레오겔 에멀젼 제형에서 CER과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고 저장 및 손실 탄성률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혼합 겔레이터를 사용하고 물이 첨가된 올레오겔 에멀전 제형은 대체로 안정한 겔 상태의 제형을 유지하는데, 시간이 경과 할수록 CER의 결정성이 커지기 때문에 제형이 더욱 단단해지고 안정해진다.

    감 사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과제번호 20018375)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결과의 일부이며 이에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Figures

    ACE-34-5-501_F1.gif
    Appearance of oleogel emulsion samples prepared from SFO with SE, CER and water at different Tw.
    ACE-34-5-501_F2.gif
    Appearance of the oleogels and oleogel emulsions prepared from SFO with SE, CER and water.
    ACE-34-5-501_F3.gif
    Polarized optical microscopy pictures of the oleogel and oleogel emulsion samples (a) C3, (b) S, (c) SC3, and (d) SC3W15.
    ACE-34-5-501_F4.gif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pictures of the oleogel emulsion samples (a) SW15, (b) C3W15, (c) SC1W1, and (d) SC3W15.
    ACE-34-5-501_F5.gi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ms of (a) SE and CER (b) oleogel and freeze dried oleogel emulsion samples.
    ACE-34-5-501_F6.gif
    Viscosity of complex viscosity with frequency sweep.
    ACE-34-5-501_F7.gif
    Storage and loss modulus of different formulation samples.
    ACE-34-5-501_F8.gif
    Separated phase % of different formulation samples after 1day & 7days (N = 3, error bars represent standard deviation).

    Tables

    Formulation of the Oleogel/Oleogel Emulsion Samples (wt/wt%)

    References

    1. Y. Lan, M. G. Corradini, A. G. Weiss, S. R. Raghavan, and M. A. Rogers, To gel or not to gel: Correlating molecular gelation with solvent parameters, Chem. Soc. Rev., 44, 6035-6058 (2015).
    2. R. G. Weiss and P. Terech, Molecular Gels. Materials with self assembled fibrillar networks, 1-12,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6).
    3. A. Singh, F. I. Auzanneau, and M. A. Rogers, Advances in edible oleogel technologies–A decade in review, Food Res. Int., 97, 307-317 (2017).
    4. E. Yılmaz and M. Öğütcü, Oleogels as spreadable fat and butter alternatives: Sensory description and consumer perception, RSC Adv., 5, 50259-50267 (2015).
    5. B. Mert and I. Demirkesen, Reducing saturated fat with oleogel/ shortening blends in a baked product, Food Chem., 199, 809-816 (2016).
    6. T. C. Pinto, A. J. Martins, L. Pastrana, M. C. Pereira, and M. A. Cerqueira, Oleogel-based systems for the delivery of bioactive compounds in foods, Gels, 7, 86 (2021).
    7. M. Davidovich-Pinhas, Oil structuring using polysaccharides, Curr. Opin. Food Sci., 27, 29-35 (2019).
    8. A. J. Martins, A. A. Vicente, L. M. Pastrana, and M. A. Cerqueira, Oleogels for development of health-promoting food products, Food Sci. Hum. Wellness, 9, 31-39 (2020).
    9. F. G. Gandolfo, A. Bot, and E. Flöter, Structuring of edible oils by long-chain FA, fatty alcohols, and their mixtures, J. Am. Oil Chem. Soc., 81, 1-6 (2004).
    10. C. D. Doan, I. Tavernier, P. K. Okuro, and K. Dewettinck,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the crystallization, gelation and applicability of wax-based oleogels in food industry,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45, 42-52 (2018).
    11. M. A. Rogers, A. J. Wright, and A. G. Marangoni, Ceramide oleogels. In: A. G. Marangoni and N. Garti (eds.). Edible Oleogels, 221-234, AOCS Press, Urbana, USA (2011).
    12. M. Davidovich-Pinhas, S. Barbut, and A. G. Marangoni, Development,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food-grade polymer oleogels, Annu. Rev. Food Sci. Technol., 7, 65-91 (2016).
    13. A. R. Patel and K. Dewettinck, Edible oil structuring: An overview and recent updates, Food Funct., 7, 20-29 (2016).
    14. L. Mao, Y. Lu, M. Cui, S. Miao, and Y. Gao, Design of gel structures in water and oil phases for improved delivery of bioactive food ingredients, Crit. Rev. Food Sci. Nutr., 60, 1651-1666 (2020).
    15. R. Kumar and O. P. Katare, Lecithin organogels as a potential phospholipid-structured system for topical drug delivery: A review, AAPS PharmSciTech, 6, 298-310 (2005).
    16. M. O. Chloe, M. Davidovich-Pinhas, A. J. Wright, S. Barbut, and A. G. Marangoni, Ethylcellulose oleogels for lipophilic bioactive delivery–effect of oleogelation on in vitro bioaccessibility and stability of beta-carotene, Food Funct., 8, 1438-1451 (2017).
    17. M. D. B. Sintang, S. Danthine, A. R. Patel, T. Rimaux, D. Van De Walle, and K. Dewettinck, Mixed surfactant systems of sucrose esters and lecithin as a synergistic approach for oil structuring, J. Colloid Interface Sci., 504, 387-396 (2017).
    18. M. C. Puppo, S. Martini, R. W. Hartel, and M. L. Herrera, Effects of sucrose esters on isothermal crystallization and rheological behavior of blends of milk‐fat fraction sunflower oil, J. Food Sci., 67, 3419-3426 (2002).
    19. M. S. Park, J. W. Choi, S.-H. Lee, and B. S. Jin, Preparation of hydrated liquid crystalline vesicle using mutual self-association between ceramide and phospholipid, Appl. Chem. Eng., 31, 545-551 (2020).
    20. W. G. Cho, K. A. Kim, S. I. Jang, and B. O. Cho, Behaviour of nanoemulsions containing ceramide IIIB and stratum corneum lipids, J. Soc. Cosmet. Sci. Kor., 44, 31-37 (2018).
    21. S. Guo, M. Song, X. Gao, L. Dong, T. Hou, X. Lin, and Y. Lan, Assembly pattern of multicomponent supramolecular oleogel composed of ceramide and lecithin in sunflower oil: Self-assembly or self-sorting?, Food Funct., 11, 7651-7660 (2020).
    22. J. A. Bouwstra, G. S. Gooris, F. E. Dubbelaar, and M. Ponec, Phase behavior of stratum corneum lipid mixtures based on human ceramides: The role of natural and synthetic ceramide 1, J. Invest. Dermatol., 118, 606-617 (2002).
    23. A. Szűts and P. Szabó-Révész, Sucrose esters as natural surfactants in drug delivery systems—A mini-review, Int. J. Pharm., 433, 1-9 (2012).
    24. W. Bae, T. Y. Yoon, and C. Jeong, Direct evaluation of selfquenching behavior of fluorophores at high concentrations using an evanescent field, PLoS One, 16, e0247326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