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비스페놀류는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 지 제조, 음료 및 식품의 캔 코팅, 고무 재료의 합성 등 다양한 제품들 속에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이다[1]. 그 중 주로 사용되었던 비스페놀 A (bisphenol A)는 인체내의 심각한 내분비계 교란과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키는 등[2-6]의 유해성으로 인한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었기 때 문에, 화학적 구조가 비슷한 비스페놀F (bisphenol F, BPF)가 대체물 질로 사용되었다[7-9]. 하지만 비슷한 화학구조 때문에 내분비계의 교 란 등 생식 독성이 그대로 보전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출되며, 특히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감소 및 에스트로겐 활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갑상선 호르몬, 면역체계, 운동 신경 발달의 감소 등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0-13]. 이처럼 BPF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BPF의 위험성에 대한 인지나 모니터링이 활발 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간편하 고 경제적인 측정 센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비스페놀류의 검출은 주로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 래피[14-16]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17-18]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왔 다. 이는 정확 정밀도 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가지지만 훈련된 전문가 를 필요로 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비교적 검출이 간 편하고 이동성이 좋은 형광[19]및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20] 또한 개 발되어 왔으며, 그 중 전기화학을 이용한 검출방법은 신속한 분석, 우 수한 감도 및 선택성의 추가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21]. 비스페놀류 검출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의 감도 및 선택성 증대를 위해 페놀기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효소-기질 반응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에 탄소소 재[22], 금속성 나노 입자[23], 고분자 폴리머[24]을 도입하는 등의 다 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린 프린팅된 탄소 전극칩에 전도성 고분자 폴리 머를 물리적 흡착 방법으로 고정하여 전기 전도성을 높이고, 효소 티 로시나아제(tyrosinase, Tyr)를 전극 표면에 도입하여 감도와 선택성을 증대함과 동시에 상온에서 이온으로 존재하며, 우수한 이온 전도도, 높은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의 장점[25-27]을 갖는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활용하여 BPF 검출에 특이적인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물리적 흡착 방법을 탄소 소재의 전극칩 에 융합할 경우, 기존의 공유적 방법을 이용한 경우[28-29]보다 실험 과정이 간단하고 시간을 단축시키며, 미량의 시료로 검출이 가능하다 는 장점을 가진다. 개발한 바이오센서의 전극 표면에 도입된 Tyr 효소 가 기질인 BPF와 접촉하였을 때 효소-기질 산화 반응에 의해 4,4’-methylenebis(cyclohexa-3,5-diene-1,2-dione)을 만들어지고, 이를 0.1 V(vs. Ag/AgCl)에서 환원하면 4,4’-methylenebis(benzene-1,2-diol) 이 생성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피크 전류값의 변화가 BPF의 농도에 비례함을 기반으로 BPF를 정량분석하였다. 순환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과 시차펄스전압전류법(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온성 액체와 PBS 전해질 조건에 서 BPF의 정량검출 성능 결과를 비교하였다. 검출타겟인 BPF와 유사 한 구조체를 가진 비스페놀S (bisphenol S, BPS)를 방해물질로 선정하 여 이에 대한 BPF 센서의 선택성을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센서를 실제 시료(예: 라텍스 장갑)에서 BPF의 농도를 분석하는 데 적 용하였다.
2. 실 험
2.1. 시약 및 재료
Benzyl chloride (ReagentPlus®, 99%, contains ≤ 1% propylene oxide as stabilizer, Sigma-Aldrich), 1-butylimidazole (98%, Sigma-Aldrich), ethyl acetate (ACS reagent, ≥ 99.5%, Sigma-Aldrich), potassium hydroxide (reagent grade, 90%, flakes, Sigma-Aldrich), bisphenol F (CH2(C6H4OH)2), Sigma-Aldrich), tyrosinase from mushroom (lyophilized powder, ≥ 1000 unit/mg solid, 8503 units/mg, Sigma-Aldrich), poly (diallyl dimethylammonium chloride) solution (PDDA, 35 wt% in H2O, Sigma-Aldrich), poly(sodium 4-styrenesulfonate) (PSS, average Mw ~70,000,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인산완충생리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의 경우, PBS 10x (pH 7.4, Thermo Fisher)를 증 류수로 10배 희석하여 제조하고, pH 7.0에 맞추어 고분자 물질 제작 및 전기화학 측정에 사용하였다. 모든 수용액은 Millipore 필터를 통 하여 여과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2.2. 이온성 액체의 합성
본 연구에서 센서의 전해질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온성 액체는 Salman et al.의 논문을 참고하여 합성하였다[30]. 먼저, 1-butylimidazole과 benzyl chloride의 몰 비율을 1:1.1로 유지하여 약 60 °C에서 천천히 20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이 때 생성된 용액 (1-benzyl-3-butylimidazolium (BzBIM) chloride)을 에틸아세테이트 용 매로 여러 번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은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생 성물 용액을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과량의 용매를 65 °C, 4시간 동 안 증발시키고, 이를 KOH 용액과 1:1 몰 비율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 반응을 하였다. 이때, 얻어진 생성물을 여 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로 세척한 후, 약 90 °C에서 건조한 결과 황색을 띄는 이온성 액체 [BzBIM]OH를 얻었다.
2.3. BPF 측정용 전압전류법 센서 제작 및 측정방법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 (SPCE)칩은 작업 전극(표면 넓이 = 1.6 mm2)으로 탄소잉크를, 보조전극으로 탄소잉크를, 기준전극으로 Ag/AgCl 잉크를 스크린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Daeyoungsilk Co. Ltd). Figure 1에 BPF 측정용 센서 제작방법의 모식도를 간단히 나타내었다. 먼저 SPCE 표면을 에탄올과 증류수로 헹군 후 에어 블로 워로 건조하고 산소 플라즈마 장비를 이용하여 100 W에서 2초 동안 처리함으로써 표면에서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약간의 음전하를 띄도 록 하였다(i). 작업 전극 표면 위에 양전하를 갖는 1.0% PDDA 수용액 (PBS, pH 7.0) 3 μL를 도포하고 자연 건조한 후 전극 표면을 증류수 로 워싱 후 건조하였다(ii). 5 mg/ml PSS (PBS, pH 7.0) (iii)와 PDDA 수용액(iv)을 순차적으로 3 μL씩 도포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 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극표면에 0.5 mg/ml Tyr 효소(PBS, pH 7.0)를 도포하고, 4 °C 차광조건에서 인큐베이션 하였다(v). 제조된 탄 소전극 표면의 형태는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Hitachi, SU8220 & SU8230) 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전기화학적 측정은 현장검사용 다채널 multichannel 정전위기(PalmSens OEM EmStat MUX8, Netherlands)와 Palm Sense (PS Trace) 프로그램(ver 5.3)을 이용하였으며, CV의 경우 스캔 속도는 50 mV/s였으며, DPV의 경우 스텝 전위는 10 mV, 스캔 속도는 50 mV/s의 조건에서 진행하였다. BPF 검출 반응은 [BzBIM]OH (pH 6.3) 이온성 액체 전해질과 PBS (pH 7.0) 완충용액 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4. 실제 시료 준비
실제 시료는 라텍스 장갑 0.1 g을 잘게 분쇄하여 에탄올 5.0 mL 안 에서 30분간 초음파 분해를 진행한 후 4 °C, 차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상층액을 수거하고, 라텍스 장갑 재질이 포함된 하 층액에 에탄올 5.0 mL을 넣어 24시간 다시 숙성하고, 상층액을 수거 하여 제조하였다. 수거한 상층액을 모아서 실린지 필터(1.0 μm)를 이 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에탄올 대신 5% (v/v) DMSO수용액에 보 관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31].
3. 결과 및 고찰
3.1. 전압전류법을 이용한 BPF 검출
PDDA-PSS-PDDA-Tyr이 적층된 작업전극을 이용하여 전압전류법 으로 BPF를 검출하는 분석법의 모식도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BPF 의 정량분석 전에 먼저 전극표면을 100.0 k 배율로 SEM으로 측정한 결과 아무것도 처리도 하지 않은 탄소 전극칩에 비해 PDDA, PSS 및 Tyr이 적층되었을 때 칩의 표면 형태가 변하면서 좀 더 두꺼워지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PDDA-PSS-PDDA-Tyr 센서가 제작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플라즈마 처리를 한 탄소 작업전극 그 자체 와 PDDA-PSS-PDDA-Tyr로 적층한 작업 전극을 이온성 액체를 전해 질로 사용하여 CV를 측정한 결과, 패러데이 산환 및 환원전류의 변화 가 거의 없는 전위창의 범위가 -0.4~0.37 V 및 0.4~-0.05 V로 거의 유 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 μM의 BPF를 상기 전해질에 첨가하여 BPF의 산화환원반응에 Tyr 효소의 역할을 CV로 조사하였다. Figure 1을 보면, 적층 전의 탄소작업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BPF의 산화 또는 환원의 피크가 거의 무시할 정도로 작아서 관찰하기 어려웠다. 하지 만, PDDA-PSS-PDDA-Tyr 적층된 작업 전극의 경우, BPF가 기질로 작용하여 Tyr 효소와 2단계의 효소-기질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중 간체 4,4’-methylenebis(benzene-1,2-diol)를 거쳐 4,4’-methylenebis(cyclohexa- 3,5-diene-1,2-dione)가 생성되는 것을 0.38 V 및 -0.05 V에서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한 피크 전류값의 변화를 각각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또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서 활성을 갖는 Tyr 층을 전극표 면에 성공적으로 적층함과 함께,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PDDA-PSS-PDDA-Tyr 적층된 센서를 이용하여 표 면에 고정된 Tyr 농도에서 BPF 농도 변화에 따라 이들의 효소-기질 반응에 의한 산화 및 환원반응으로 전류 값이 증가하는지를 CV로 측 정하였다. Figure 2(a)에서 보듯이 BPF의 농도를 10 μM에서 100 μM 까지 증가하였을 때 산화 및 환원 각 반응에서 전류 값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상기 PDDA-PSS-PDDA-Tyr 적 층된 센서를 BPF의 정량분석용으로 활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또한, BPF 농도 변화에 따라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한 피크 전류값의 증가 크기를 비교해 볼 때 기울기가 각각 0.0007 μA/μM과 0.0011 μA/μM 로 환원반응에서 개발한 센서의 감도가 좀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 다(Figure 2(b)).
개발한 PDDA-PSS-PDDA-Tyr 센서를 이용하여 CV보다 좀 더 민감 하게 BPF를 검출하기 위해 BPF 농도변화에 따라 피크 전류 변화가 좀 더 민감하게 변하는 환원반응의 DPV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DPV 는 주로 매 펄스마다 펄스를 걸기 전과 펄스 끝에서의 전류를 측정하 여 이들 전류값의 차이를 선형적으로 증가는 전압의 함수로 기록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패러데이 전류의 증가와 비패러데이 충전전류의 감소를 통해 감도를 높일 때 사용되는 전압전류법 기술 중에 하나로 전압전류센서 개발에 감도 증대용으로 많이 활용되어왔다[32]. Figure 3(a)에서 보듯이 BPF의 농도를 1 μM에서 100 μM로 순차적으로 증가 시켰을 때 DPV 환원전류 피크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민감도(직선성 기울기)는 0.0049 μA/μM 이고,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는 3.03 μM이며, 정량한계(limit of quantitation)는 10.08 μM 로 CV 측정법 대비 약 3.03배만큼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 때 검출한 계 농도 값은 ‘3 sb/m’ 및 정량한계 농도 값은 ‘10 sb/m’식을 이용하였 다. 여기서 sb는 분석물을 첨가하지 않은 전류 값의 표준편차를 나타 내고, m은 BPF의 농도변화에 따른 전류 값 변화의 선형방정식의 기 울기를 나타낸다[33].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Tyr 효소반응을 이용하는 분석법에 주로 사용되는 PBS 완충용액을 전해질로 하여 이온성 액체 전해질의 성능 을 비교하였다(Figure 3). 이온성 액체에서와 비슷하게 PBS 전해질조 건에도 BPF 농도 증가(1~90 μM)에 따라 Tyr 효소와의 반응에 의한 DPV 환원전류 피크값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PBS 전해질조건 에서 민감도는 0.0035 μA/μM로 검출한계는 7.48 μM, 정량한계 농도 값은 24.94 μM이었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할 경우 PBS 전해질보다 민감도와 검출영역이 약 1.4배 향상됨과 동시에 검출한계 및 정량한 계도 약 2.5배 정도 낮아짐을 볼 수 있다. 상기 결과는 합성한 이온성 액체가 PBS 전해질과 유사하게 Tyr 효소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효소- 기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센서 개발에 우수한 대체 전해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3.2. 선택성 조사 및 실제 시료 분석에 적용
최종적으로 개발한 센서를 실제시료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해 물질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BPF와 구조가 비슷한 페놀기를 갖는 BPS를 방해물질로 선정하고, BPF의 양을 고정 하여 BPS의 농도를 BPF 대비 100배 과량으로 넣어주고 DPV 데이터 를 얻어서 비교하였다. Figure 4(a)에서 보듯이 이온성 액체 [BzBIM]OH를 전해질로 사용하였을 때, 1 mM BPS 방해물질만 있을 때 BPF 특이적인 환원 DPV 피크 전류[약 0.1 V (vs. Ag/AgCl)]의 신 호가 거의 미비할 정도로 관찰되었으며, BPF 대비 약 100배의 농도인 1 mM의 BPS를 10 μM BPF 용액에 넣은 후 측정하였을 때 BPF 특이 적인 환원 DPV 피크 전류[약 0.1 V (vs. Ag/AgCl)]값이 10 μM BPF만 있을 때와 거의 유사한 값으로 나타냈다. 선택성 계수(log ki,jamp)를 구 하는 식 (1)[34]을 이용하여 Figure 4(a)의 결과값을 기반으로 계산했 을 때 선택성 계수는 -4.56이었으며, 이는 개발한 BPF 센서가 유사물 질인 BPS에 대해 우수한 선택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PBS 전해질 조건(Figure 4(b) 참조)에서 실험한 결과에서 이온성 액체 전해 질을 사용하였을 때와 유사하게 선택성 계수(log ki,jamp)가 -3.76으로, 우수한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It는 BPF (분석물질)와 BPS (방해물질)가 함께 존재할 때 측 정한 전류값(μA), Ii는 BPF만 있을 때 측정한 전류값(μA)이며 Ci와 Cj 는 각각 BPF와 BPS의 농도(μM)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제작한 BPF 특이적 전압전류법 센서를 실제 시료(예: 라텍스 장갑)에서 BPF 농도를 분석하는 데 적용하였다. 실험실에서 흔히 사용하는 라텍스 장갑을 잘게 분쇄하여 에탄올 용액에 담근 후 추출하는 방식으로 시료용액을 제조한 용액 그 자체와 시료 용액에 BPF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첨가한 용액을 각각 DPV로 측정 하였다(Figure 5 참조). 실제 시료 그 자체를 측정한 경우, 전극에 적층된 Tyr 효소가 반응하여 생긴 생성물[4,4’-methylenebis(cyclohexa-3,5-diene-1,2-dione)]의 환원피크 전류는 약 0.18 V (vs. Ag/AgCl)에서 관찰되었 으며, 실제 시료에 알려진 농도의 BPF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첨가하 였을 때 해당 환원피크 전류값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기 시료에서 얻은 피크 전류는 시료 안에 BPF가 존재하는 것 을 암시한다. Figure 5(a)의 피크 전류값을 첨가한 BPF 농도의 함수로 도시화하였을 때 선형 그래프가 얻어졌으며(Figure 5(b)), 이를 핏팅함 으로써 실제 시료안에 0.09 μM 정도의 BPF가 있다고 예측할 수 있었 다. 특이한 점은 PDDA-PSS-PDDA-Tyr이 적층된 BPF 특이적인 센서 를 이용하고, 이온성 액체 전해질에 BPF를 첨가하여 얻은 환원 DPV 피크 전류가 나타나는 전위값(Figure 3(a))과 비교했을 때 실제 시료의 경우 약 0.08 V 정도 좀 더 양의 전위로 이동된 전위에서 DPV 환원피 크전류가 관찰되었다. 이는 실제 시료의 매트릭스 효과에 의한 방해 영향으로 인해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인간 내분비계를 교란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 물질 중에 하나인 BPF를 검출하기 위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흡착 방법으 로 PDDA-PSS-PDDA-Tyr 층을 탄소작업전극에 적층한 전압전류법 센서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주로 활용되는 완충용액 대신 상온에서 이온으로 존재하는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사용하고, 제작된 센서와 DPV 방법을 이용하여 1 μM 에서 100 μM 농도 영역에서 BPF를 검 출할 수 있었으며, 검출 한계 농도 값은 3.03 μM이었다. 상기 결과는 PBS 완충용액과 비교하였을 때 좀 더 우수한 감도(1.4배), 더 낮은 검 출한계(2.5배) 그리고 좀 더 넓은 검출농도 범위이다. 또한 유사한 구 조를 갖는 방해물질 BPS에 대해 상기 센서가 우수한 선택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실에서 이용한 실제 시료에서의 BPF 농도를 성공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센서 플랫폼이 다양한 환경시료 내에 존재 하는 BPF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정량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