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빠르게 돌아가는 사회 리듬으로 인하여 일 상생활에서 받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결과로 나타나는 여러 현상 중 하나 인 피부 트러블은 기존 화장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합성성분에 의해 더욱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환경보호 차원에서도 문제 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적인 상황을 대체하려는 산업계의 노력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1]. 따라서 자연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을 사용함으로서 친환경적이며 피부에 대한 저 자극 및 저 알레르기성을 갖는 생체친화성 천연원료 화장품 개발에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스트레스로 인하여 신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피 부노화와 피부염증에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계면활성 제는 합성계면활성제에 비하여 침투성, 분산성, 세정성, 유화성, 발포 성 등의 물성은 일반적으로 낮지만 무자극성, 무독성, 부작용 및 생분 해성 등과 같은 생체친화성 및 친환경성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2-4]. 무환자(Sapindus saponaria L.) 열매껍질에 다량으로 포함된 무 환자 사포닌(Sapindus mukorossi saponin)에는 올레난 유형 사포닌 (oleanane-type saponins), 담나란 유형 사포닌(dammarane-type saponins)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s) 등이 있다[5]. 무환 자 사포닌은 피부에 대한 항균, 항염, 가려움증 등에 관한 우수한 효 과 뿐 아니라 천연 비이온성 계면활성능이 있어 샴푸, 화장품 등 각종 세제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6-7]. 알팔파(Medicago sativa L.)에는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다당류 등이 풍부하며[8], 그중 알팔파 사포닌 은 질병 및 해충 예방 분야에 효과가 높으며 특히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천연 녹색화장품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9]. 또한 아보카도 오일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산, 지용성 비타민 및 피토스테롤 등은 우수한 피부 침투성과 항산화능 등으로 인하여 식품 및 화장품 제형에 중요한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10-11].
이전 연구에서 친수성인 알팔파 사포닌과 친유성인 sugar ester (S-370)를 혼합하여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천연계면활성능을 나타내는 친유성인 무환자 사포닌과 친수성인 알팔파 사포닌을 혼합한 천연 혼합유화제를 사용하여 O/W 유화과정 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Minitab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 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을 이용하여 O/W 유화액의 최적 공정조건 에 관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O/W 유화과정의 변수로는 혼합 유화제 첨가량과 천연유화제 혼합비율(무환자 사포닌/알팔파 사포닌) 및 유화시간 등을 설정하였고, 반응치로는 O/W 유화액의 유화안정도 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와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mean droplet size, MDS) 및 항산화능(antioxidant activity)을 설정하였다.
2. 실험방법
2.1. O/W 유화액의 제조
본 연구에서는 추출한 무환자 사포닌과 알팔파 사포닌의 혼합물인 천연 혼합유화제, 아보카도 오일(avocado oil) 및 초순수(EXL-III, Vivagen)를 원료로 사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유화액의 질 량은 200 g으로 고정하여 유상과 수상의 질량비를 20 : 80로 설정하 였다. 무환자 사포닌과 알팔파 사포닌의 혼합비율로 구성된 천연 혼 합유화제를 초순수에 첨가한 수상과 아보카도 오일을 각각 항온조 (SL-WB6D, Sunil Science Co., Ltd)에서 75 ± 0.5 °C로 예열한 후 고 속균질유화기(Homomixer Mark Ⅱ, T.K. Primix)에서 5000 rpm로 교 반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유화액은 incubator (25 ± 0.5 °C)에서 보관하며 7일 동안 측정 및 관찰하였다[13-14].
2.2. O/W 유화액의 물성 분석
제조한 O/W 유화액의 물성은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와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mean droplet size, MDS) 및 항산화능 으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DPPH radical scanvenging activity)을 평가하였다. 유화액의 ESI는 incubator (25 ± 0.5 °C)에서 7일 간 보관한 후, 크림(creaming)층과 침강층의 높 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유화액의 분리 정도로 나타내었다.
식 (1)에서 HE 는 유화액의 전체 높이, HC 는 크리밍(creaming)층의 높이, HS 는 침강층의 높이다. ESI는 5회 반복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 하였으며, ESI 값이 클수록 유화액의 안정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정한 다. 유화액의 MDS는 ZETA Sizer (Zen 3600, Malvern)를 사용하여 동 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법으로 측정하였다. 다중산란 효과를 막기위해서 유화액을 200배 희석하여 25 ± 0.5 °C에서 3회 반 복 측정하였다. 유화액의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능으로 측정하였다. DPPH 리디칼 소거활성은 유화 희석액, 에탄올, DPPH 에 탄올 용액을 1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자외선 분광분석기 (Optizen 2120 UV, MECASYS)를 사용하여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517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15].
식 (2)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계산식으로, 517 nm에서 A1 는 2 mL 희석액과 1 mL DPPH 에탄올 용액을 혼합한 샘플의 흡광도, A2 는 2 mL 에탄올과 1 mL DPPH 에탄올 용액을 혼합한 샘플의 흡광도, A3 는 2 mL 희석액 및 1 mL 에탄올을 혼합한 샘플의 흡광도이다.
3. 결과 및 고찰
제조한 O/W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상화능에 끼치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무환자 사포닌과 알팔파 사포닌의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및 유화시간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CCD-RSM를 적용하였다. CCDRSM을 적용하기 위한 독립변수로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및 유화시간으로 설정하였고,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산화능으로 설정하였다.
3.1. 독립변수의 영향
유화액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혼합계로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 면 유상과 수상으로 층분리가 일어나서 더 이상 유화액의 고유 물성 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유화액의 안정성은 일반적으로 유화제, 유상 성분, 유화액의 입자크기, 점도 및 밀도 등과 같은 요인에 영향을 받 는다. 특히 유화액의 입자크기 및 분산 상태는 사용되는 유화제의 특 성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유화액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외상의 점도가 높을수록, 유상과 수상 간의 밀도 차이가 작을수록 층분리가 억제됨으로서 유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O/W 유화액의 안정성이 최대화되기 위해서는 ESI는 최대값을 MDS 는 최소값을 가져야 하며, 이 조건에서 유화액의 요구 물성인 항산화 능이 최대로 나타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CD-RSM을 적용하기 위하여 O/W 유화액 제조공정에서 독립변수에 의한 반응치의 영향을 고찰하고 각 독립변수의 계량인자 범위를 설정 하기 위하여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하여 설정한 독립 변수 범위 내에서 유화액을 제조한 후 7일 간 상온에서의 관찰을 통 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실질적인 독립변수의 구간을 설정하였다. 따 라서 혼합유화제 첨가량(12~14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30~70%), 유화시간(20~30 min)을 독립변수의 실험범위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 은 독립변수 실험범위의 설정은 각각의 실험범위 내에서 반응치인 ESI, MDS 및 항산화능의 변곡점이 나타났으며, 이 변곡점을 중심으 로 ESI와 항산화능은 최대값을, MDS는 최소값이 존재하기 때문이었 다. 즉, 혼합유화제 첨가량이 12 wt%에서 ESI, MDS 및 항산화능의 변곡점은 각각 92%, 820 nm, 37%,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이 50%에서 ESI, MDS 및 항산화능의 변곡점은 각각 89%, 830 nm, 36%, 유화시 간이 30 min에서 ESI, MDS 및 항산화능의 변곡점은 각각 87%, 830.2 nm, 3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곡점 근처의 함량으로 제조한 유화 액의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CCD-RSM을 적용하기에 가장 합리적인 실험범위라고 판단하였다. 유화액 제조 시 HLB value 가 다른 유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계면막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 게 되어 유화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6-17]. 즉, 친유성인 무 환자 추출물과 친수성인 알팔파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서 아보카도 오 일에 대한 요구 HLB value를 충족시킴으로 인하여 유화제 혼합비율 이 50%에서 가장 안정성이 우수한 유화액이 제조되었기 때문에 나타 난 결과라고 사료된다.
3.2. O/W 유화액의 CCD-RSM 설계
기초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CCD-RSM을 사용하여 천연 혼합유화제 를 포함하는 O/W 유화액 제조의 최적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CCD-RSM으로부터 각 독립변수의 합리적인 변수 범위를 결정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를 통하여 통계학적 수단으로 도출된 회귀방정식으 로부터 독립변수와 반응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서 공정단계 의 최적화 및 정확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18-19]. 무환자 및 알팔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O/W 유화액 제조의 최적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 Table 1과 같이 20개의 실험과정을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한 후, 얻 어진 결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CCD-RSM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에서와 같이 각 독립변수의 범위로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2~14 wt%, 천연 유화제(무환자 추출물/알팔파 추출물) 혼합비율은 30~70%, 유화시간은 20~30 min으로 설정하여 실험 후 얻어진 결과 데이터인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Table 2에 서 반응치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 및 교호효과도의 통계학적 분석결과를 통하여 최적화 결과의 합리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R2 는 결정계수로서 이 값이 1.0에 가까울수록 회귀방정식은 높은 최적 화를 의미하며, 독립변수의 유의성 척도인 P-value 및 F-value의 경우, P-value는 작을수록, F-value는 클수록 반응치에 끼치는 영향의 유의 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20-21].
3.3. O/W 유화액 제조에 관한 최적화 공정
3.3.1. O/W 유화액의 ESI 최적화
CCD-RSM으로부터 식 (3)과 같이 유화액의 ESI에 대한 각 독립변 수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식 (3)에서 독립변수로서 x1 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x2 는 천연유화 제 혼합비율, x3 는 유화시간이다. Table 2에서 ESI의 결정계수는 R2 = 0.9183으로 높게 나타나 유화액의 ESI에 대한 최적화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ESI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 F-value 는 x1 = 12.36, x2 = 6.98, x3 = 3.58이며, P-value는 x1 = 0.006, x2 = 0.025, x3 = 0.088으로 나타나 유화액의 ESI에 영향을 끼치는 주효 과도의 순서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 유화시간 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도는 혼합유화제 첨가량이었다. 2개의 독립변수에 대한 교호효과도의 F-value는 x1x2 = 0.18, x1x3 = 0.18, x2x3 = 0.18으로 유사한 값을 보였고, P-value는 x1x2 = 0.676, x1x3 = 0.681, x2x3 = 0.676으로 모두 0.05보다 크게 나타나 유의성은 없으므로 주효과도의 영향이 교호효 과도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3개의 독립변 수 중 하나만 고정하고 2개를 변화시킨 각각의 3D 그래프 및 등고선 도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3차원 그래프 및 등고선도의 결과는 위 에서 얻은 통계학적 분석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CD-RSM에 의해 반응치인 유화액의 ESI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으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3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5.6%, 유화 시간은 25.9 min이고 이때 예측된 ESI의 최대값은 88.7%이었다.
3.3.2. O/W 유화액의 MDS 최적화
CCD-RSM으로부터 유화액의 MDS에 대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었다.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MDS의 결정계수는 R2 = 0.8979로 높 게 나타나 MDS에 대한 최적화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MDS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의 F-value는 x1 = 0.98, x2 = 8.95, x3 = 0.43이고, P-value는 x1 = 0.345, x2 = 0.014, x3 = 0.529로 ESI에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도의 순서는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 혼합 유화제 첨가량 > 유화시간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각 교호효과도 의 F-value는 x1x2 = 2.28, x1x3 = 0.93, x2x3 = 11.57이고, P-value는 x1x2 = 0.162, x1x3 = 0.357, x2x3 = 0.007으로 나타나 유화액의 MDS 에 미치는 교호효과도는 순서는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유화시간) > (혼합유화제 첨가량×천연유화제 혼합비율) > (혼합유화제 첨가량×유 화시간) 순이다. 따라서 유화액의 MDS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 효과도는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이고, 교호효과도는 (천연유화제 혼합 비율×유화시간)이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3개의 독립변수 중 하 나만 고정하고 2개를 변화시킨 각각의 3D 그래프 및 등고선도를 Figure 2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3차원 그래프 및 등고 선도의 결과는 위에서 얻은 통계학적 분석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CCD-RSM에 의해 반응치인 유화액의 MDS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으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은 42.2%, 유화시간은 26.6 min이고, 예측된 MDS의 최소값은 820.3 nm로 나타났다.
3.3.3. O/W 유화액의 항산화능의 최적화
CCD-RSM으로부터 유화액의 항산화능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회귀 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식 (5)에서 Y 는 항산화능이다.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 능의 결정계수는 R2 = 0.9059로 높게 나타나 항산화능에 대한 최적화 효과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항산화능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의 F-value는 x1 = 9.41, x2 = 14.66, x3 = 0.54이고, P-value 는 x1 = 0.012, x2 = 0.003, x3 = 0.481으로 항산화능에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도의 순서는 천연유화제 혼합비율 > 혼합유화제 첨가량 > 유화 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호효과도의 F-value는 x1x2 = 0.07, x1x3 = 0.22, x2x3 = 0.09이며, P-value는 x1x2 = 0.802, x1x3 = 0.650, x2x3 = 0.768으로 항산화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천연 유화제 혼합비율이며, 주효과도에 비하여 교호효과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3개의 독립 변수 중 하나만 고정하고 2개를 변화시킨 각각의 3D 그래프 및 등고 선도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3차원 그래프 및 등고선도의 결과는 위에서 얻은 통계학적 분석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CD-RSM에 의해 반응치인 항산화능만을 최적화 시켰을 때의 최적화 조건으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3 wt%, 천연유 화제 혼합비율은 43.5%, 유화시간은 25.3 min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항산화능의 최대값은 38.8%로 나타났다.
CCD-RSM에 의한 O/W 유화액의 제조공정에 관한 각 독립변수의 주효과도 및 교호효과도의 예측과 수학적 계산결과에 관한 합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설계 데이터를 기준으로 얻은 반응치인 O/W 유화액의 ESI, MDS, 항산화능을 정규 95% 신뢰구간을 이용하여 분 석한 결과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ESI, MDS 및 항산화능의 AD 값은 각각 0.384, 0.354, 0.590으로 상대적으 로 작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P value는 0.361, 0.109, 0.428으로 0.05보 다 크게 나타남으로 정규분포를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반응치의 데이터는 모두 상한선과 하한선 범위 내에 존재하며 기준선에 가깝게 위치함으로서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또한 Table 2에서와 같이 ESI, MDS, 항산화능의 결정계수 R2 은 각각 0.9183, 0.8979, 0.9059로서 높은 값을 보여 산출된 모든 회귀 방정식은 높은 신뢰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산출된 회귀방정식 을 목적함수로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3.4. 종합만족도 평가
본 연구에서 설정한 반응치인 O/W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산화 능에 관한 회귀방정식의 합리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ESI 및 항산화 능은 최대화되며 MDS는 최소화되는 즉, 3가지 반응치를 모두 만족하 는 다중반응 최적화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O/W 유화액의 최적유화조건으 로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4.2%, 유화시간은 25.8 min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조건으로부터 CCD-RSM 을 통해 예상된 반응치인 ESI는 88.7%, MDS는 815.5 nm, 항산화능은 38.7%로 예측되었다. 이 최적화 조건을 기준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 은 결과로 ESI는 90.6%, MDS는 830.2 nm, 항산화능은 39.6%로 예측 값과의 평균 오차율은 2.1%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서 안정성이 우수 한 O/W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O/W 유화 제조과정에 적용함으로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무환자 및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유화제를 사용 하여 CCD-RSM을 통한 O/W 유화 제조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독립변수로는 혼합유화제 첨가량, 천연유화 제 혼합비율, 유화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반응치는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산화능으로 설정하였다.
-
유화액의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주효과도로 유화제 첨가량이었으며 교호효과도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SI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으로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3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5.6 %, 유화시간은 25.9 min으로 나타 났으며 예측된 ESI의 최대값은 88.7%로 나타났다.
-
유화액의 MDS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주효과도로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호효과도인 (천연유화 제 혼합비율×유화시간)으로 나타났다. MDS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으 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2.2%, 유 화시간은 26.6 min으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MDS의 최소값은 820.3 nm로 나타났다.
-
항산화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주효과도로 천연 유화제 혼합비율이었으며, 교호효과도의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 타났다. 항산화능만의 최적화 조건으로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3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3.5%, 유화시간은 25.3 min으로 나타 났으며 예측된 항산화능의 최대값은 38.8%로 나타났다.
-
유화액의 ESI, MDS 및 항산화능 등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 하는 다중반응 최적화를 실시하여 O/W 유화액의 최적 유화조건으로 서 혼합유화제 첨가량은 13.2 wt%, 천연유화제 혼합비율은 44.2%, 유 화시간은 25.8 min로 나타났다. 이 조건으로부터 CCD-RSM을 통해 예상된 반응치인 유화액의 ESI는 88.7%, MDS는 815.5 nm, 항산화능 은 38.7%로 나타났다. 이 최적화 조건을 기준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로 ESI는 90.6%, MDS는 830.2 nm, 항산화능은 39.6%로 예 측값과의 평균 오차율은 2.1%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서 안정성이 우 수한 O/W 유화액을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O/W 유화 제조과정에 적용함으로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