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의 약 6.1%에 해당하 는 대표적인 주력산업으로, 지난 수십년 동안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 하여 왔다. 하지만, 석유정제 공정으로부터 매년 100만톤 이상 부생되 는 석유계 잔사유에 대한 기술개발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 석유계 잔사유를 탄소재료의 전구체로 사용하여 코크스, 인조흑연, 피치계 탄소섬유 등의 제품들로 생성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5]. 석유계 잔사유는 나프탈 렌, 안트라센 등 방향족 화합물을 대량 함유하고 있으며, 열중합을 통 해 탄소 육각망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6-8]. 이 러한 석유계 잔사유를 이용하여 탄소소재를 제조할 경우, 낮은 단가 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잔사유의 환경적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9,10]. 이러한 석유계 잔사유는 다양하고 복잡한 정제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잔사유들로 분류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열분해 연료유(pyrolysis fuel oil, PFO),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 FCC-DO (fluidized catalyst cracking-decant oil, FCC-DO), 감압잔사유 (vacuum residue, VR) 등이 있다. 이 각각의 잔사유들은 서로 다른 화 학적 조성과 점도, 불순물(metal, ash) 등을 가지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탄소소재는 뛰어난 안정성, 저렴한 비용, 낮은 작동 전위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 고있다[11-13]. 탄소계 음극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석유계 잔사유를 사용할 경우 제조 과정에서 원료를 열처리 함에 따라 저비점 성분들 이 휘발되어 제거되고, 남아있는 방향족 화합물 간 중합 및 축합반응 을 거쳐 분자구조가 성장하는 다양한 반응들이 일어난다[14-22]. 탄소 소재의 이러한 결정성 및 배향성 등의 기하학적인 구조는 전기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데, 이 기하학적인 구조는 탄소소재의 원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더 적합한 원료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미래 이차전지의 산업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석유계 잔사유를 탄소 전구체 로 사용하여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으며, 원료재료의 물리화학적 특 성과 제조한 음극활물질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해 원료, 결정구조와 전기화학적 성능간의 상관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2. 실 험
2.1. 실험 재료
본 연구에서는 여천NCC에서 공급받은 열분해 연료유(PFO)와 현대 오일뱅크에서 공급받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FCC-DO), 감압 잔 사유(VR)을 탄소 전구체로 사용하였다. 전극 제조를 위한 바인더로 CMC (carboxylmethyl cellulose, MTI)와 SBR (stylene-butadiene rubber, 50 wt%, MTI)을 이용하였다. 또한, MALDI-TOF 분석을 위한 매 트릭스는 TCNQ (7,7,8,8-tetracyanoquinodimethane)를 사용하였다.
2.2. 석유계 잔사유 기반 음극재 제조
서로 다른 석유계 잔사유 PFO, FCC-DO, VR 20 g을 각각 알루미나 보트에 넣고 5 °C/min의 승온속도로 1,200 °C에서 1시간 열처리하였 다. 이 때, 반응기 내부를 불활성 분위기로 유지하였고, 반응에 미참여 하는 일부 저비점 성분의 제거를 위해 아르곤 기체를 500 cc/min의 유 속으로 주입하며 반응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제조된 음극재를 알루미나 보트로부터 회수한 후, 분쇄하여 25 μm 이하로 체분급하였 다. 제조된 음극재는 석유계 잔사유 종류 및 탄화 온도에 따라 각각 PFO 1200, FCC-DO 1200, VR 1200으로 명명하였다.
2.3.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및 셀 제조
제조된 음극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리튬 금속을 양극으로 하는 2032 코인 셀(CR2032) 반쪽 전지(Half-cell)를 제조하 였다. 전극 제조 시 활물질 : 바인더 = 97 : 3 wt% 로 혼합하였으며, 증류수를 용매(점도조절제)로 사용하였다. 전극 슬러리를 구리 호일 위에 코팅한 후 100 °C 진공오븐에서 8 시간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전극을 압연 및 절단한 후, 글러브 박스(Glove box)에서 코인 셀 조립 을 실시하였다. 코인 셀은 리튬 금속을 양극, 제조한 전극을 음극으로 하고, Celgard 2400 분리막을 사용하였으며, 전해질로는 LiPF6 [in EC (ethylene carbonate): DEC (diethyl carbonate) = 1:1]를 사용하였다. 코인 셀은 하루의 안정화 시간을 유지한 뒤 전기화학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2.4. 특성 분석
석유계 잔사유의 분자량을 조사하기 위해서 MALDI-TOF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Bruker autoflex III, Bruker Daltonics, USA)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매트릭스로는 TCNQ를 사용하였다. 또한, 원소분석(FLASH 2000,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통하여 잔사유에 포함된 탄소, 산소, 수소, 황, 질소 원소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제조된 음극재의 결정 구조 특성을 확인 하기 위해서 X-석 회절분석기(XRD, Empyrean, Netherlands)를 시행 하였다. 또한, 음극재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라만 분광 분석기 (LabRAM HR-800, HORIBA, Japan)를 실시하였다. 코인셀의 전기화 학적 특성은 충 방전 테스트 장비(PNE solution)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정전류/정전압(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CC/CV) 복합 모드를 적용하였고, 충 방전 시 컷오프(cut-off)는 0.005~2.5 V (V vs Li/Li+)까지 수행하였고 5분의 휴지시간(rest time) 을 부가하여 전기화학적 평형에 이르게 하였다. 충 방전 시험은 0.2 C-rate에서 100 사이클 동안 진행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석유계 잔사유의 물리화학적 특성
석유계 잔사유 종류에 따른 분자량 분포를 MALDI-TOF 분석을 이 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감압잔사유 는 35~1200 m/z의 성분으로 세 잔사유중 가장 넓은 분자량 분포와 큰 분자량을 나타내었고, 약 400 m/z에서 가장 높은 peak를 나타내었다.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은 50~600 m/z의 영역의 분자량 분포를 나 타내었고, 잔사유들 중 가장 좁은 분자량 분포를 나타내었다. 열분해 연료유는 75~800 m/z의 범위의 성분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약 140~ 160 m/z에서 가장 높은 peak를 나타내었다.
석유계 잔사유들의 화학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원소분석(elemental analysis)을 실시하여 C, H, O, N, 및 S의 함량을 확인하고 이를 Figure 2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 분석결과로부터 석유계 잔사유들은 다 량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 소량의 불순물인 질소와 황을 함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분해 연료유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 은 90%가 넘는 탄화수소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감압잔사유는 다른 잔 사유들 대비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탄화수소 값을 나타내었으며 타 잔사유들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함유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불순물 (질소, 황) 함량 또한 감압잔사유에서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MALDI-TOF와 원소분석결과 세 종류의 석유계 잔사유 중 감압 잔 사유가 가장 무거운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순물을 많이 함유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열분해 연료유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은 유사한 값을 나타내지만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이 좀 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며 가장 균일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제조된 음극재의 구조적 특성
석유계 잔사유 종류에 따라 제조된 음극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 기 위한 XRD 분석 결과를 Figure 3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음극재는 2Ɵ 값이 25.4, 43.0°에서 특성 피크가 관찰되었고, 각각의 피크는 (002), (001)의 결정면을 의미한다[23-25]. 일반적으로 d002 값 은 탄소재료 내부의 층간간격을 의미하고, d002 간격이 작을수록 흑연 화도가 좀 더 발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24,25]. 제조된 음 극재 중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과 열분해 연료유가 3.464, 3.465 Å의 d002값을 나타내었고, 감압잔사유는 상대적으로 큰 3.516 Å 값 을 나타내었다. 한편, La, Lc 값은 탄소 결정의 크기를 나타내며 PFO 1200과 FCC-DO 1200은 Lc 값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유동접촉분 해 데칸트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FCC-DO 1200)에서 더 큰 Lc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을 이용하여 제 조한 음극재가 열분해 연료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와 유사한 층 간간격을 가지고 있지만 더 많이 축합되어 많이 쌓여있는 구조를 가 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압잔사유는 세 잔사유 중 가장 큰 Lc 값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큰 층간간격(3.516 Å)을 가짐으 로써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측정된 La 값은 FCC-DO 1200 에서 가장 높은 값인 82.39 nm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PFO 1200과 VR 1200은 상대적으로 낮은 La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가 가장 잘 축합되고 배열도 우수한 구조의 음극재로 성장한 것을 의미한다.
석유계 잔사유로부터 제조된 음극재의 라만 결과값을 Figure 4에 나타내었다. 라만 그래프에서 약 1340 cm-1에서 나타나는 D피크는 탄 소구조의 결함(defect)과 관련된 피크이고, 약 1580 cm-1에서 나타나는 G 피크는 탄소 구조의 발달(graphitic)과 관련된 피크이다[26,27]. ID/IG 값은 탄소재료 내의 결함정도와 흑연화 정도의 비율로 탄소재의 결함 구조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를 비교하면 PFO 1200과 FCC-DO 1200 은 0.95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VR 1200은 0.97로 상대적으로 높 은 값을 나타내었다. ID/IG 값이 크다는 것은 탄소 구조의 결함이 더 많다는 의미로 감압잔사유를 이용하여 음극재를 제조할 경우 구조적 으로 결함이 더 발생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감압잔사유의 원료 구성 성분상 산소와 불순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탄소 결정구조로 성장할 때 미세공극 같은 결함구조가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XRD와 라만 분석결과 감압잔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가 구 조적으로 가장 결함이 많은 음극재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동접 촉분해 데칸트 오일과 열분해연료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는 유 사한 층간간격을 가지고 있지만,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에서 더 큰 Lc 와 La 값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탄소 결 정 구조에서 결정립 크기와 직경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유동접 촉분해 데칸트 오일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재가 더 적층되고 발달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3.3. 제조된 음극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석유계 잔사유로부터 제조된 음극재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 여 Figure 5에 나타내었다. 0.2 C-rate의 전류로 100 사이클 충방전 테 스트를 진행한 결과, 열분해 연료유는 약 232 mAh/g,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은 약 269 mAh/g, 감압잔사유는 약 388 mAh/g의 초기 용 량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음극재들은 첫 번째 사이클에서 모두 높은 비가역용량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기존 연구에서 열분해 연료유를 탄 소 전구체로 활용한 음극재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24,28,29]. 이러한 높은 비가역 용량은 흑연의 층간간격보다 더 큰 층간거리를 가지고 미세공극에 의한 큰 비표면적 및 저온소성에 의한 수소효과 등을 가지는 비정질 탄소재료의 특징을 나타낸다[30]. Figure 5(a)에 나타난 사이클 특성을 분석해보면 초기 용량은 VR 1200이 가장 높은 용량을 나타내나 두 번째 사이클부터 높은 초기용량 손실을 나타내는 데 이는 미세공극 같은 결함구조가 많이 발달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 다. 또한, 3 cycle 이후부터 FCC-DO 1200보다 낮은 용량을 나타내고, 용량 유지율 또한 다른 음극재들에 비해 일정하지 않고 불균일한 결 과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CC-DO 1200과 PFO 1200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결과값을 나타내었으나, 절대적인 가역용량은 FCC-DO 1200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원료 분석과 구조적 분석에서 열분해 연료유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이 유사한 값들 을 나타내었으나, Lc, La값에서 FCC-DO 1200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 며 탄소 결정 구조에서 결정립 크기와 직경이 발달되어있는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Figure 5(b), (c)는 2 cycle의 갈바노스태틱(galvanostatic)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비정질구조의 탄소재료에서 리튬이온의 저장 반응은 두 가지 반응을 통해 일어나는데, 미세공극에 흡착(adsorption)되는 반응 과 탄소 층간간격에 삽입(intercalation)되는 반응으로 나뉠 수 있다 [31,32]. 미세공극에 흡착되는 형식의 리튬이온 저장은 갈바노스태틱 그래프에서 곡선(curve) 형태를 띠고 있고, 탄소 층간간격에 삽입되는 리튬이온 저장은 직선(plateau)형태를 띠고 있다. Figure 5(b), (c)에 나 타난 갈바노스태틱 결과값을 확인하면 VR 1200에서 미세공극 구조가 가장 발달되어 있어 흡착(adsorption) 부분에서 가장 큰 용량을 나타내 고,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에서 좀 더 흑연화된 구조가 가장 발달 되어 있어 삽입(Intercalation) 부분에서 가장 큰 용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이클 안정성 또한 VR 1200에서 가장 불안정한 경 향을 보이며 이 또한, VR 1200의 불안정한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이는 앞선 데이터인 XRD와 Raman 결과값과 일치한 값을 보 이며 결론적으로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을 이용한 음극재가 다른 잔사유에 비하여 조금 더 발달된 흑연화 구조를 가지며 안정적인 구 조를 나타내고, 감압잔사유를 이용한 음극재가 미세공극이 발달되어 있는 불안정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서로 다른 물리화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석유계 잔사유를 탄소전 구체로 활용하여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탄소소재로 제조하였다. 제조 된 음극재중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과 열분해 연료유는 유사한 층 간간격을 가지고 있으나, 측정된 Lc, La값에서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이 열분해연료유보다 더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만 분광법을 통하여 얻은 ID/IG 값은 감압잔사유(0.97) 가 열분해 연료유(0.95)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0.95)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감압잔사유가 미세기공 구조가 상대적으 로 발달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불순물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고, 광 범위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있는 원료적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이 100 사이클 이후 189 mAh/g으로 가장 높은 용량특성을 나타내었다. 감압잔사유 는 초반에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보다 높은 용량특성을 보였으나, 불안정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며 100 사이클 이후 유동접촉분해 데 칸트 오일보다 낮은 용량특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들을 통해 언급된 세 종류의 석유계 잔사유 중에서 유동접촉분해 데칸트 오일이 가장 우수한 탄소 전구체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