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금속유기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는 금속이온과 유 기리간드 간의 배위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공성물질이다[1]. 금속유기 골격체는 높은 비표면적과 더불어, 금속이온 및 유기리간드의 종류에 따라 금속 이온의 산화수 및 기공사이즈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 다. 이를 통해, 촉매[2], 기체 저장 및 분리[3,4], 기체 흡착[5-7] 등의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MOF의 구조를 디자인하여 특정 기체에 대한 흡착 선택도와 흡착량을 개선하여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이산 화황, 이산화질소, 제논 가스 등을 분리, 저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8-11]. 기체 흡착 시 가장 중요하게 관찰해야 되는 지표에는 흡탈착 거동(sorption kinetics)이 있다.
다공성물질과 기체 간의 흡탈착 거동의 분석기법은 등온흡착평형 과 파괴(breakthrough) 실험이 있다. 등온흡착평형 실험은 기체의 분압 에 따라 흡착되는 기체의 양을 압력계를 통해 측정한다[12,13]. 이 때, 다양한 온도에 따라 등온흡착평형 실험을 진행하면, 기체의 흡착 에 너지 및 흡착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다. Breakthrough 실험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기체를 흡착제에 노출시키면서 기체들이 흡착제를 통 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14]. 흡착제와 인력이 약한 기체는 단시간에 흡착제를 통과하고, 인력이 강한 기체는 일정시간이 지나야 검출이 가능하다. 기체의 흡착제 통과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기체 분리 공정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두 방식 모두 상당한 양(수 gram) 의 흡착제가 요구되며, 측정시간이 수 시간단위가 걸린다는 단점을 가진다. 신속한 물질 개발을 위해서는 적은 양의 시료로도 빠르게 정 량적인 기체 흡탈착 분석이 요구된다.
마이크로 캔틸레버(microcantilver)와 수정진동자 미세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은 나노그램(nanogram)의 민감도를 가진 마이크로진동자 기반의 질량 센서이다[15,16]. 이러한 질량센서는 표 면에서의 질량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센서 표면에 흡착되는 기체 분 자의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감소하며, 마이크로 캔틸 레버의 경우 피코그램(picogram), QCM의 경우 나노그램(nanogram)의 민감도를 가진다. 마이크로 진동자 표면에 MOF구조체를 형성시키면, 기체에 대한 선택도와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기체센서분석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MOF구조체를 균일한 박 막 형태로 센서표면에 성장시켜야 한다[17]. 일반적으로 MOF는 반응 기에 금속이온과 유기리간드를 넣고 용매를 첨가해 가열하는 용매열 합성법으로 합성되는데, 이 방법으로는 MOF 합성이 간편하지만 필름 형태의 얇고 균일한 MOF를 합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총설에서는 양극산화알루미늄(anodic aluminum oxide, AAO), 산화아연 나노막대(zinc oxide nanorod), 구리 박막(copper thin film)으 로 부터 직접합성법을 이용하여 각각 MIL-53 (Al), ZIF-8, Cu-BDC 와 같은 MOF 구조체를 마이크로진동자 표면 위에 각각 MIL-53 (Al), ZIF-8, Cu-BDC 형태로 센서 표면에 균일한 필름 형태의 다양한 MOF 구조체 형성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마이크로진동자 인 QCM과 마이크로 캔틸레버의 작동원리와 MOF 구조체에 기체흡 착시 변하는 고유진동수와 같은 신호해석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이 를 통해, 마이크로진동자 기반 금속유기골격체의 기체 흡탈착 분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17,18].
2. 직접합성법을 이용한 다양한 금속유기골격체 합성전략
일반적으로 MOF 구조체는 Figure 1(a)와 같이 금속이온과 유기리 간드를 용매에 용해 후, 열을 가하는 용매열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 한다[19]. 이렇게 합성된 MOF 구조체의 기체흡탈착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센서표면에 drop & dry 방식이나, 스핀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코 팅한다. 입자형태로 합성된 MOF 구조체는 센서표면에 대부분 불균일 하게 코팅이 되거나, 균일하게 코팅이 되어도, 센서의 신호변화를 관 찰하기에는 코팅 두께의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20,21]. 이러 한 단점은 직접합성법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직접합성법은 MOF 구조체 합성 시 센서표면으로부터 금속이온을 제공하는 방식이다[17,18,22]. Figure 1(b)에서 보듯이, 센서표면에 있 는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박막으로부터 금속이온이 용해되어 나오고, 용매에 용해된 유기리간드가 센서표면의 금속이온과 반응한다. 이렇 게 되면, 센서표면 위에 MOF 구조체가 센서표면과의 공유결합을 통 해 균일하게 성장하게 된다.
양극산화 알루미늄(AAO)의 경우 AAO를 이용하여 제작된 마이크 로캔틸레버[Figure 2(a)]를 terephthalic acid 가 용해된 용매에 넣어 반 응이 진행되면, AAO 표면[Figure 2(b)]을 MIL-53 (Al) MOF 구조체 [Figure 2(c)]로 변환되는 것을 알 수 있다[17]. Figure 2(d)를 통해 약 100 nm의 두께의 MIL-53 (Al) 필름이 형성되었고, Figure 2(e)의 XRD 결과를 통해서도 AAO 표면 전체가 MOF 구조체로 변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약 100 nm의 얇은 MOF 구조체가 형성되었는데, 이는 AAO로 부터 용해된 알루미늄 이온이 AAO 표면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유기 리간드인 terephthalic acid와 반응 시 센서 표면의 알루미늄이온의 농 도가 전체적인 반응의 종말을 결정짓는 인자로 고려될 수 있다.
직접합성법을 이용하여 최종 MOF 구조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 법으로는 금속이온을 공급하는 구조체의 모양을 마이크로미터의 두 께를 가지는 나노막대기(nanorod) 형태로 시작하는 방법이 있다[22]. Figure 3(a)-3(d)는 산화아연 나노막대기 길이에 따라 형성되는 ZIF-8 구조체의 두께 변화 및 표면 형상을 볼 수 있다. 약 수 마이크로미터 의 길이로 성장된 산화아연 나노막대기는 아연이온을 나노막대기 주 변에 공급하고, 이는 2-methylimidazole (2-mIm)과 결합하여 산화아연 나노막대 주변을 ZIF-8로 변환시킨다[Figure 3(e)]. Figure 3(f)를 보면, 산화아연으로부터 형성된 ZIF-8은 다공성물질이기 때문에 기존의 산 화아연 나노막대기의 두께보다 두꺼워지게 된다. 또한, XRD 분석 결 과[Figure 3(g)]를 통해서, 최종 ZIF-8 구조체에 산화아연나노막대 결 정구조가 확인되는 걸로 보아, 산화아연막대기 주변으로 ZIF-8 구조 체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나노막대를 지지체로 이용하여 MOF 구조체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 말고도 금속박막으로부터 나노막대 형태의 MOF 구 조체를 제작하는 합성전략도 있다[18]. Figure 4(a)에서 보듯이 센서 표면 위에 약 100 nm 정도의 구리필름을 증착한다. 이를 유기리간드 와 반응하면 Cu-BDC 구조체를 성장시킬 수 있다. 이 때 성장하는 Cu-BDC 구조체는 Figure 4(b)와 같이 유기리간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막대기 형태의 Cu-BDC의 길이 또한 증가하게 된다. XRD 분석을 통해 구리 표면으로 부터 Cu-BDC가 결정성을 가지고 성장됨 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4(c)].
필름, 나노막대기와 같은 구조로부터 다양한 MOF 구조체를 직접합 성법을 통해 센서표면에 균일하게 합성하는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균일한 MOF 구조체는 기체 흡탈착 거동을 분석하는 데 활 용될 수 있다.
3. 마이크로진동자
마이크로진동자는 기본적으로 고유진동수 또는 공명진동수를 가지 고 있다. 기체 분자가 마이크로진동자의 표면에 흡착되게 되면, 공명 진동수가 변한다. 이 공명진동수의 변화량을 통해 기체분자 흡착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에 따른 공명진동수의 변 화를 관찰하면 기체 분자가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흡착되고 탈착 되는지 알 수 있다. 마이크로진동자 중 기체흡탈착 분석에 많이 활용 되는 마이크로캔틸레버와 수정진동자 미세저울(QCM)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3.1. 마이크로캔틸레버
마이크로캔틸레버는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에서 나노미터 수준의 물질표면 관찰을 위한 탐침으로 이용된다[23]. 몇몇 시료의 표면관찰시 AFM에 환경챔버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야 된다. 1990년대 후반에 Thomas Thundat 박사가 AFM 실험 시 온/습도 변화에 따라서 마이크로캔틸레버의 휨정도와 고유진동수 가 미세하게 바뀌는 현상을 발견한 이 후, 마이크로 캔틸레버는 화학, 바이오, 기체 센서 분야 등에 초민감센서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24].
일반적으로 MEMS 공정을 통한 실리콘 기반의 tipless 캔틸리버가 센서로 이용되며, 대략 500 μm × 100 μm 의 너비와 길이, 수 마이크 로미터의 두께를 가진다. 마이크로캔틸레버의 공명진동수는 식 (1)과 같이 정의된다[25].
f, m, k, E 는 각각 캔틸레버의 공진주파수, 유효 질량, 스프링 상수, 유효 Young’s modulus를 나타내며, w, l, t 는 캔틸레버의 너비, 길이, 두께이다. 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공명진동수는 캔틸레버의 스프링 상수와 유효질량에 대한 함수이다. 기체분자가 센서표면에 흡착되면 진동수가 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질량변화를 유추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캔틸레버는 그 두께가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이기 때문에, 기체분자가 표면에 흡착 시 휨정도를 나노미터 단위로 관찰이 가능하 다. 이러한 휨정도는 식 (2)와 같이 정의된다[26].
z, σ, ν, E 는 각각 캔틸레버의 휨, 표면 스트레스, Poission’s ratio, Young’s modulus이며 L, t는 캔틸레버의 길이와 두께이다. 기체분자 가 센서표면에 흡착되면, 기체분자 간의 인력에 의해 캔틸레버 표면 의 스트레스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캔틸레버는 휘게 된다. 마이크 로캔틸레버는 따른 응답속도(수밀리초~초)와 초소형이라는 장점을 가 지고 있지만, 센서 표면의 면적이 굉장히 작고, 표면 스트레스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센싱물질과 결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2. 수정진동자 미세저울
수정진동자 미세저울(QCM)은 반도체 분야에서 박막 증착시 박막 의 두께 모니터링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센서이다[18,27]. 일반 적으로 결정축에 대하여 35.15°로 절단한 AT-cut 수정진동자가 온도 에 대한 공진주파수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며, 두께 200 μm의 수정진동자는 9 MHz의 고유진동수를 가진다[28]. 수정의 양면 에 각각 전극을 형성하고, AC 전압을 가하게 되면 AT-cut의 경우 thickness shear mode로 진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reverse 압전효과 (piezoelectric effect)라고 부르며, 전압이 가해지면 변형(deformation) 이 생겨 AC 전압을 가하면 주기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이를 공명현상 이라 한다. 이러한 QCM의 공명진동수는 식 (3)과 같이 Sauerbrey equation으로 표현된다[29].
f0, A, ρq, μq는 QCM의 고유진동수, 센싱면적, 밀도, 전단계수이 며, Δf, Δm 은 각각 공진주파수 및 질량의 변화량이다. 식 (3)을 살 펴보면, 공진주파수의 변화량은 질량의 변화량과 비례관계가 있다. Sauerbrey equation은 센서 표면이 균일하고, 얇은 두께의 박막에서 적 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센서 표면에 기체분자가 흡착하면, 공진주파수가 변하게 되고, 변화된 공진주파수를 질량변화로 환산이 가능하다. QCM은 미세한 질량변화를 관찰할 때 용이하며, MOF 구조 체와 같은 다공성물질을 활용하면, 공명진동수 신호변화 관찰에 매우 용이하다. QCM은 마이크로캔틸레버의 두께보다 약 100배 이상 두껍 기 때문에, 센싱물질과의 결합이 쉬우며 사용하기에 편해 범용적으로 많이 쓰인다.
4. 마이크로진동자를 이용한 기체 흡탈착 분석
앞서 살펴본 MIL-53(Al), ZIF-8, Cu-BDC와 같은 MOF 구조체가 마 이크로캔틸레버, QCM와 같은 진동자 위에 코팅이 된 상황에서 기체분 자의 흡탈착 거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Figure 5는 MIL-53(Al) 마 이크로캔틸레버에 이산화탄소 기체 노출 시 시간, 휨정도, 공명진동수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는 시간-휨정도, 시간-공명진동수, 휨정도-공명진동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먼저 시간-공명진동수를 보면, 이산화탄소에 센서가 노출될 때 공명진동수 가 급격히 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다공성 MIL-53 구조체에 이산화 탄소가 빠르게 흡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탈착 시 빠른 속도로 탈착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시간-휨정도 관계 이다. 이산화탄소 기체가 흡착이 되면, 캔틸레버의 표면 스트레스 변화로 인해 아래로 휘게 된다. 이후 이산화탄소가 탈착이 일어나게 되면, 흡착될 때보다는 느린 속도로 이산화탄소의 탈착이 진행됨을 볼 수 있다. 이는 MOF 구조체에 이산화탄소 흡착 시 유연한 MIL-53 의 구조가 바뀌어 캔틸레버의 표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좀 더 명확한 분석을 위해 휨-공명진동수의 관계를 살 펴보면 이산화탄소 흡/탈착에 따라 이력현상(hysteresis)가 발생한다. 이는 기체흡탈착 시 MOF 구조체의 구조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 다. Figure 6은 ZIF-8 캔틸레버에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이 흡/탈 착 될 때 휨-공명진동수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공명진동수의 경우 기체 분자의 분자량으로 정규화 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기체의 농도 가 증가할수록 이력현상이 커짐이 보이며, 메탄올은 1-프로판올에 비 해 더 큰 이력현상이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ZIF-8 구조에 알 콜의 흡착은 매우 급격하게 일어나며, 흡착된 알콜은 ZIF-8 의 구조변 화를 일으킴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자의 크기가 클수록 적은 양 의 분자가 제한된 ZIF-8의 기공에 침입함을 관찰할 수 있다. Figure 7 은 각각 Cu-BDC, polystyrene이 코팅된 QCM에 n-Hexane 기체 노출 시 시간에 따른 진동수 변화 그래프이다. Cu-BDC의 유기리간드는 terephthalic acid로 polystyrene과 같이 벤젠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사 성이 있다. Cu-BDC에 n-Hexane이 흡탈착되면, polystyrene에 비해 월 등히 빠른 속도로 흡탈착이 일어남을 볼 수 있다. 이는 Cu-BDC가 고 분자인 polystyrene보다 다공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MOF 구조체를 마이크로캔틸레버, QCM 센서를 이용하 여 기체 흡탈착 거동을 분석하면, 다른 분석법보다 매우 빠른 시간에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5. 결 론
본 총설에서는 양극산화 알루미늄, 산화아연 나노막대, 구리박막으 로부터 금속유기골격체인 MIL-53(Al), ZIF-8, Cu-BDC를 마이크로캔 틸레버와 수정진동자 미세저울에 직접합성법을 이용한 합성법과 마 이크로진동자를 이용한 기체흡탈착 분석에 대해 다루었다. 직접합성 법으로 제작된 마이크로진동자 기반 금속유기골격체 센서는 타깃물 질의 흡탈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진주파수의 변화나, 휨정도의 변화 의 분석을 통해 기체흡탈착 거동을 분석하는 데 이용되었다. 다양한 타깃 기체들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금속유기골격체에 대한 많 은 연구진들의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해서 수반되고 있는 가운데, 본 고에서 정리한 직접 합성법 및 마이크로진동자를 이용한 기체흡탈착 거동 분석법이 향후 연구 수립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써 활용되길 기 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