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모발은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추위와 더위, 물리적 충 격, 자외선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자신의 개성과 아름다운 매력을 발산하기 위한 헤어스 타일의 표현에 대한 욕구 등 현대 사회에서 모발이 갖는 의미는 중요 하다. 탈모는 지금까지 다른 질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게 취급되 어져 오고 있지만,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의 가치관으로 인해 정 신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대인관계나 사회 생활에 많은 지장을 주면서 최근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 다[1,2]. 모발은 피부 부속기관인 모낭에서 성장하며, 두발과 체모를 포함한 모낭이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 모낭은 모구를 감싸는 주머니 로 모구, 모유두, 모기질, 멜라닌형성세포, 피지선, 기모근 등이 존재 한다[3]. 각각의 모낭은 독립된 성장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 퇴화기, 휴지기로 구분되는 3단계의 반복을 통해 성장하고 탈락한다[4]. 이러 한 모발의 성장주기는 환경오염, 스트레스, 호르몬 등의 내적, 외적 요 인에 의해 변형되고 단축되어 모발의 비정상적 탈모를 유도하고 탈모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인간의 평균 수명이 높아짐에 따 라 탈모증은 불가항력이 아닌 질환으로 여겨져 탈모 예방 및 발모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5].
안드로겐성 탈모(androgenic alopecia, AGA)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 증상으로 남성형 탈모로 알려져 있으며, 모낭주기의 성장단계가 반복적 으로 조기 종료되어 발생한다[6]. 현재 미국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로부터 승인받은 탈모치료제는 finasteride와 minoxidil이 있으 며, finasteride의 성기능 저하 및 기형아 출산 부작용, minoxidil의 알레 르기성 피부염, 가려움증 및 사용 중단 시 탈모가 재발하는 등의 부작용 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탈모 치료제로서의 단점이 있다[7,8].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안전하고 모발 손실 예방 및 모발 성장 강화 효과를 가진 새로운 소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9].
최근 들어 중년 뿐 아니라 청년기에도 탈모가 증가하여 사회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으며,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 성 장을 촉진할 수 있는 소재의 탐색 및 실험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 고 있다[10-13]. 모발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모낭인자들의 작용과 모낭 내에 있는 표피세포와 모유두세포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14, 15]. 모발의 성장과 재생에 필수적인 모낭 줄기세포의 활성화 및 모발 배종(hair germ)의 세포 증식 과정에 Wnt/β-catenin 신호전달이 중요 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고[16,17], Wnt ligand가 수용 체에 결합하면 세포질 내의 β-catenin 분해가 방지되고 세포핵으로 β-catenin의 이동이 증가하여 targe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protein kinase A (PKA), glycogen synthase kinase-3β (GSK-3 β) 등의 활성화는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 한다[18]. 또한, 모유두세포에는 모세 혈관이 분포하고 있어 기관에 영양소를 공급하며 성장인자인 insulin like growth factor 1 (IGF-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fibroblast growth factor 1 (FGF-1)을 분 비하여 모낭주위에 혈관을 형성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상 피세포의 성장을 조절한다[19,20].
당목향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Saussurea Lappa의 뿌리로 서 한의학에서는 구토, 설사 및 염증치료 등에 사용되는 약재로 알려 져 있다[21]. 당목향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sesquiterpene 및 sesquiterpene lactone계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당목향 추출물과 당목향의 주요 지표물질로 알려진 costunolide와 dehydrocostuslactone 은 항균, 항염증, 항암, 항피부염, 항바이러스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 23].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과 노말헥산을 이용하여 당목향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인체 모유두세포(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의 세포증식 및 모발 성장 관련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여 탈모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실 험
2.1. 실험재료 및 시약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및 fetal bovine serum (FBS)는 invitrogen (Carlsbad, CA, USA)사 제품을, dimethylsulf-oxide (DMSO), bovine serum albumin (BSA), phenylmethyl sulfonyl fluoride (PMSF), 5α-reductaseⅠ, Ⅱ, β-actin, lanmin B는 Santa Cruz (CA, USA)사 제품을, phospho-p44/42 (Thr202/Tyr204), p44/42, phospho- Akt (S473), Akt, β-catenin (Amino-terminal Antigen), phospho-β -catenin (Ser675), phospho-β-catenin (Ser552), phospho-GSK-3β (Ser9), GSK-3β antibody는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사 제 품을, Anti-Goat, Anti-Rabbit, Anti-Mouse IgG HRP conjugate antibody, Hybond-ECL nitrocellulose membrane,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는 amersham biosciences (Buckinghanshire, England)사 제품을, Non-fat skim milk는 Becton (Le Pont de Clanx, France)사 제품을, leupeptin, aprotonin, sodium fluoride (NaF), minoxidil, finasteride,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sodium orthovanadate (Na3VO4), N,N,N',N'-tetrametylet-hylendiamine (TEMED)는 Sigma (St. Louis, MO, USA)사 제품을, 단백질 정량 시약은 Bio-Rad (CA, USA)사 제품을 구 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다른 모든 실험재료는 분자생 물학적 등급이다.
2.2. 추출물 제조
본 연구에 사용된 당목향 뿌리는 ㈜산들초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 하였으며, 당목향 뿌리 6 kg에 에탄올 40 L을 넣어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필터프레스로 여과하였다. 이 액을 60 °C 이하에서 감압농 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Büchi rotavapor R-100, Germany)로 농축하여 얻어진 0.72 kg을 증류수 10 L에 현탁시키고, 노말헥산 30 L 을 넣어 분획하여 노말헥산층을 취하였다. 노말헥산층을 60 °C 이하 에서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 약 60 g을 제조하였으며, 냉장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2.3. 세포 배양
인체 모유두세포(HFDPC)는 Abm Inc (Richmond, British Columbia, Canada)에서 구입하여 사용했고, 10% FBS, penicillin (100 U/mL), streptomycin (100 μg/mL)이 포함된 DMEM를 사용하여 37 °C,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4. 세포생존율 측정
MTT assay를 통해 성장률을 분석하였으며, HFDPC를 24 well plate 에 4 × 103 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당목향 뿌리 추출물 5, 10, 20, 30 μg/mL과 minoxidil 10 μM을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였 다. 배양 후 0.05% W/V MTT 용액을 넣어 37°C에서 3시간 반응시킨 뒤 상층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formazan을 DMSO 1 mL로 녹여 ELISA plate reader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ERK와 Akt경유를 통한 측정은 24 well plate에 HFDPC를 4 × 103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ERK 억제제 PD98059 (20 μM)와 Akt 억제제 LY294002 (20 μM)를 1시간 전처리하고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과 minoxidil 10 μM 처리하였으며, 72시간 뒤 측정하였다.
2.5. Western blot
10 cm 배양용기에 HFDPC를 3 × 105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뒤 당목향 뿌리 추출물(10, 20 μg/mL)과 minoxidi l (10 μM)을 처리한 후 3일간 배양하여 측정에 사용하였다. ERK와 Akt 인산화 측정은 10 cm 배양용기에 HFDPC를 5 × 105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당 목향 뿌리 추출물과 minoxidil을 처리한 후 30분 뒤 sampling하였다. ERK와 Akt 억제 측정은 ERK inhibitor (PD98059, 20 μM)와 Akt inhibitor (LY294002, 20 μM)를 1시간 전처리 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로 세척 후 수거하여 lysis buffer [1% Nonidet P-40,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0.15% NaCl, 0.01 M sodium phosphate (pH 7.2), 2 mM EDTA, 50 mM sodium fluoride, 0.2 mM sodium orthovanadate, 1 mM PMSF, 1 mg/mL aprotinin, 1 mg/mL leupeptin]로 30분 간 용해시키고 15,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이용하였다. 단백질은 Bradford 시약을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동량의 2 × sample buffer (1 mL glycerol, 0.5 mL β-mercaptoethanol, 3 mL 10% SDS, 1.25 mL 1 M Tris-HCl, 1~2 μg bromophenol blue)를 혼합 한 후 10~12%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PVDF membrane로 전이시키고, 5% non-fat skim milk가 첨가된 1 × TBST (Tween-20, pH 7.6)로 blocking 시킨 후 1차 β-actin (1:5000), 5α-reductaseⅠ, Ⅱ, phospho p44/42, p44/42, p-Akt, Akt, β-catenin, phospho- β-catenin, phospho-β-catenin, phospho-GSK-3β, GSK-3β, lamin B (1:1000)의 antibody를 1 × TBST 또는 3% BSA에 희석하여 4 °C에서 overnight 하였다. 2차 antibody는 anti-rabbit IgG, anti-mouse, anti-goat를 1:5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반응시킨 다음 TBST로 세척하 고 ECL 용액으로 발색 후 ChemiDoc을 이용해 각 band의 사진을 촬 영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HFDPC)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당목향 뿌리 추출물 5, 10, 20, 30 μg/mL과 양 성대조군 미녹시딜(MXD) 10 μM을 농도별 처리한 후 48시간, 72시간 배양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100 ± 0.8%)에 비해 48시간 배양 후 당목향 뿌리 추출물은 각각의 농도에서 99.5 ± 1.3%, 109.9 ± 2.4%, 107.4 ± 2.7%, 97.8 ± 2.1%로 나타났으며, 72시 간 배양에서는 105.3 ± 1.7%, 116.5 ± 3.5%, 112.1 ± 3.1%, 105.2 ± 2.6%로 세포생존율이 나타났다(Figure 1). 양성대조군 미녹시딜의 경 우 48시간에서 104.5 ± 1.9%, 72시간에서 108.1 ± 2.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모유두세포에 대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효과 는 48시간 배양보다 72시간 배양에서 세포증식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 났으며, 10, 20 μg/mL 농도처리 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보다 높은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10, 20 μg/mL 농도의 당 목향 뿌리 추출물을 72시간 배양하여 실시하였다.
3.2.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의 ERK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ERK)는 세포의 성장과 호르몬 및 사이토카인 등의 반응을 조절하는 신호전달기전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중 하나로 ERK의 활성화는 세포증식에 영향 을 미치며, ERK의 활성화가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4].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모유두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 를 조사하기 위해 ERK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western blot을 통해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농도에서 각각 약 2.7배, 3.2배로 인산화가 증가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딜은 약 3.1배 증가되었다[Figure 2(A)].
PD98059는 MEK의 억제제로 ERK의 활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당 목향 뿌리 추출물의 ERK 인산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 μM PD98059를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10, 20 μg/mL)의 처리로 인해 증가된 인산화가 PD98059에 의해 억제되는 것 을 확인하였다[Figure 2(B)].
3.3.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ERK 인산화 경로를 통한 인체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ERK 경로를 통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D98059를 1시간 전 처리한 후 당목향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한 뒤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PD98059 단 독 처리군은 대조군(100%)에 비해 93 ± 6.2%로 세포증식이 감소되었 고,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처리군과 PD98059 병용처리군 의 경우 각각 110.3 ± 11.2%, 68.6 ± 4.1%와 128.7 ± 7.6%, 84.9 ± 4.7%로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Figure 3). 한편 양성 대조군인 미녹시 딜의 경우 114.2 ± 7.4%에서 PD98059 병용처리 시 82.6 ± 5.2%로 감 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모유두세포의 ERK의 인산화 경로를 통해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음을 보여준다.
3.4.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의 Ak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Akt는 모낭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Wnt/β-catenin pathway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Akt의 인산화는 GSK-3β (Ser9)를 인산화하여 β-catenin의 안정화를 유도해 모유두세포의 증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Ak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0, 20 μ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5배, 3.2배 인산화가 촉진되었으며, 양성 대조군 미녹시딜은 1.2배 증가되었다[Figure 4(A)]. 따라서 이러한 인산화가 Akt 경로를 통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PI3K/Akt 억제제인 LY294002를 전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에 의해 증가된 Akt의 인산화는 LY294002 병용처 리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4(B)].
3.5.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Akt 인산화 경로를 통한 인체 모유두세 포의 증식 촉진 효과
Akt의 경유를 통한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Y294002 (20 μM)를 1시간 전 처리한 후 당목향 뿌리 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한 뒤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생존 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대조군(100%)에 비해 LY294002 단독처리군은 73.2 ± 3.5%로 세포생존율이 감소되었고,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μg/mL 농 도처리군은 119.1 ± 8.7%에서 63.8 ± 3.7%로 20 μg/mL 농도처리군은 116.2 ± 3.4%에서 72.5 ± 8.0%로 세포의 생존율이 감소되었다(Figure 5). 또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미녹시딜(10 μM)의 경우 116.3 ± 3.4%에서 70.5 ± 5.4%로 세포생존율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하여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Akt 인산화 촉진을 통해 모유두세포의 증 식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3.6.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의 Wnt/β-catenin 신호 경로에 미치는 영향
Wnt/β-catenin 신호 경로는 모낭의 발달과 모발의 형태 형성 개시 에 필수적이며, Wnt 수용체가 없을 경우 GSK-3β는 APC와 axin, β -catenin을 인산화하여 세포질의 β-catenin을 분해 및 유비퀴틴화를 유도한다[25]. 또한 Akt 의 인산화를 통한 GSK-3β (Ser9)의 인산화는 β-catenin (Ser552)의 인산화를 유도하며, PKA의 인산화는 β-catenin (Ser675)의 인산화를 유도해 핵 내로 이동되어 target gene의 발현을 조절한다[26].
본 연구에서 당목향 뿌리 추출물(10, 20 μg/mL)은 ERK와 Akt의 인 산화 촉진과 세포증식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낭 형성 및 모발 성장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Wnt/β-catenin pathway를 western blot 분 석을 통해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처리 시 세포 내 β-catenin과 GSK-3β의 발현 수준은 동일하였으며, GSK-3β (Ser9)의 인산화 촉진으로 인한 β-catrnin (Ser552, 675)의 인산화 촉진을 확인하였다[Figure 6(A)]. 이에 세포질과 핵 내의 발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모유두세포의 세포질과 핵을 분리 용해하여 실 험을 진행한 결과, 세포질 내 β-catenin (Ser552, 675)의 인산화는 감 소되었지만 핵 내 인산화가 촉진되었다[Figure 6(B)]. 이러한 결과는 당목향 뿌리 추출물(10, 20 μg/mL)이 GSK-3β (Ser9)을 인산화하여 β-catenin을 축적하고 핵으로의 전위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3.7.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의 5α-reductase의 발 현에 미치는 영향
남성호르몬은 모낭 주기의 성장기를 단축시키며, 모발의 성장을 억 제한다. 모유두세포는 남성호르몬 target 세포로 안드로겐 수용체를 가지며, in vitro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DHT) 테스토스테론 (T)에 비해 안드로겐 수용체 친화력이 약 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 었다[27]. 따라서 남성호르몬대사(T → DHT)에 관여하는 5α-reductase 의 활성 억제는 탈모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5α-reductase 활성에 미치는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효과 를 알아보고자 5α-reductase type Ⅰ과 Ⅱ의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미 녹시딜과 함께 5α-reductase type Ⅱ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를 처 리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10, 20 μg/mL)은 농도 의존적으로 5α-reductase type Ⅰ의 발현을 억제하였다(Figure 7). 한편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은 대조군에 비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피나스테라이드 처리로 인해 5α-reductase type Ⅰ, Ⅱ가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는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인체 모유두세포 증식 및 모발 성 장 관련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생존율, 세포 성장 관련 MAPK의 인산화, ERK와 Akt의 인산화 경유를 통한 세포 증식 효과, Wnt/β-catenin 신호경로, 5α-reductase 발현 분석을 통하 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1.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모유두세포 대한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한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농도에서 모유두세포의 생존율이 증가되었으며, 48시 간보다 72시간 배양에서 높게 증식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미녹시딜(10 μM)보다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생존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킨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ERK와 Akt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western blot 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농도 에서 ERK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였으며, ERK 억제제 (PD98059)와 Akt 억제제(LY294002)를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증가된 인산화가 PD98059와 LY294002의 전 처리로 인해 억제 되었음 확인하였다. 또한 ERK와 Akt 경로를 통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D98059와 LY294002를 처리한 후 MTT assay를 진행한 결과, ERK와 Akt 억제제로 인해 모유두세포의 증식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RK와 Akt의 인산화는 모유두세포의 증식 에 관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
3.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모유두세포의 Wnt/β-catenin 경로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west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당목향 뿌리 추출물 10, 20 μg/mL 농도에서 모유두세포의 β-catenin 안정화 경로인 GSK-3β (Ser9)의 인산화를 증가시켰 으며, β-catenin (Ser552, 675)의 인산화를 촉진하였다. 또한 각 각의 세포의 세포질과 핵을 분리 용해하여 분석한 결과, 두 세포 모두 핵 내의 β-catenin의 수준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 한 결과는 모유두세포의 증식에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가 영향을 미치며, ERK, Akt 신호전달 경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
4. 탈모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남성호르몬 대사(T → DHT) 는 5α-reductase에 의해 조절된다.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5α -reductase의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당목향 뿌리 추 출물 10, 20 μg/mL 농도에서 모유두세포의 5α-reductase type Ⅰ 과 Ⅱ의 활성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하면 당목향 뿌리 추출물은 모유두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이러 한 증식은 ERK, Akt 인산화 경유 관련 인자의 억제를 통한 결과 이며, β-catenin 활성화 및 5α-reductase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 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당목향 뿌리 추출물이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내는 헤어케어 제품의 소재로 응 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