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 이온 배터리의(LIBs)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려는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1]. 흑연은 긴 수명 특성, 전기화학적 안전성, 풍부성 및 가격 경쟁력 때문에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 활물질로 널리 사용되었다 [2]. 그러나 흑연의 이론적인 에너지 밀도는 372 mAh/g로써, 이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음극 활물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3].
최근에는 실리콘(Si) 활물질이 4200 mAh/g의 높은 이론적 에너지 밀도와 낮은 전위(~0.5 V vs Li/Li+)를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나, 반복적인 충, 방전 과정 중 실리콘 입자의 큰 부피 변화 (~320%)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4,5]. 실리콘 입자의 붕괴는 전 자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고 추가적인 SEI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막을 형성하여 전극의 저항을 증가시켜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감소시킨다[6].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 구자들이 나노 크기의 실리콘 입자 제조, 전기전도성을 유지하기 위 한 탄소 코팅, 지속적인 SEI 막의 형성을 줄이기 위한 core-shell 구조 복합체, 기계적으로 우수한 바인더 개발 등 실리콘 음극의 수명 특성 을 높이기 위한 여러 접근법을 보고하였다[7-10].
여러 접근 방법 중, 신규 고분자 바인더의 개발은 비교적 간단하며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전극-전해질 계면의 안 정화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11]. 일반적으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가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바 인더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12]. 그러나 PVDF는 선형 구조의 고분자 로 실리콘 음극의 충전 및 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큰 부피 팽창을 막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또한, PVDF를 활용 한 전극은 슬러리 제조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N-methyl-2-pyrrolidone (NMP)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에 문제가 있다[14]. 따라서 친환경적 이며, 저비용, 수용성 바인더의 신규 개발이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실 리콘 음극의 바인더는 (1) 높은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 (2) 전해 질 친화도 및 용해 저항성 (3) 실리콘 및 구리 집전체와의 강력한 상 호작용 (4) 우수한 친환경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15].
이러한 동향을 따라 최근 연구에서는 Carboxymethyl cellulose (CMC) 및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lginate, Poly(acrylic acid) (PAA), PAA-graft-CMC, Conducting polymers 등 여러 고분자 바인더가 보고 되었다[16-21]. 고분자 바인더에 존재하는 -OH, -COOH, -NH2 작용기 들은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리콘 표면 및 구리 집전체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22].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실리콘 음극의 바인더 로 고려하였다. 그러나, 고분자의 분산성을 위해 도입된 이온성 그룹 은 전해액에 대한 용해 저항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되었다. 따라서, 용해 저항성을 높이고 실리콘 음극의 큰 부피 변화 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OH를 갖는 Castor oil을 기반으 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으며(CWPU), 이를 3개의 Oxirane 작용기를 갖는 Tris(2,3-epoxypropyl) isocyanurate (TGIC)를 가교제와 결합하여 바인더를 제조하였다[Scheme 1(a)]. 식물성 오일 기반의 폴 리올인 Castor oil은 자연에 풍부하며, 저렴하며, 다량의 -OH들을 포 함한다. 이러한 반응성 그룹들은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는 과정 에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다. 또한, 3개의 Oxirane 작용기를 갖는 TGIC는 전극을 열 건조를 하는 동안 CWPU에 존재하 는 -COO- 그룹과 반응하여 해당 그룹을 제거하고 더욱 기계적으로 안 정한 구조를 형성한다[Scheme 1(b)]. 더욱이, 실리콘 표면의 -OH 그룹 과 제조된 바인더에 존재하는 -CONH-, -NHCONH-, -OH 그룹 사이 의 수소결합이 형성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WPU 바인더가 포함 된 실리콘 음극은 큰 부피 팽창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전기 화학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2. 실 험
Castor oil,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98%), 2,2-Bis(hydroxymethyl) propionic acid (DMPA, 98%), Dibutyltin dilaurate (DBTDL, 95%), Trimethylamine (TEA, > 99.5%), Tris (2,3-epoxypropyl) isocyanurate (TGIC)는 Aldrich사에서 구매하였다. Silicon powder (crystalline, APS < 50 nm, 98%, Laser synthesized from vapor phase), super P는 Alfa Aesar 에서 구매하였다. 전해액 1.0 M LiPF6 in EC/DEC/FEC (= 45/45/10, v/v/v)은 PuriEL에서 구매하였다. Castor oil 기반의 수분산 폴리우레 탄은 기존에 보고된 Scheme 2의 합성 과정을 따라 Table 1의 함량을 기반으로 제조되었다[24]. 먼저 일정량의 Castor oil 및 DMPA와 촉매 로서 DBTDL 1~2방울을 질소 주입구, 온도계, 교반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오일배스에서 78 ℃로 1 h 동안 120 rpm으로 교 반하였다. 그 이후, NCO/OH=1.5 몰비로 일정량의 Diisocyanate를 Dropping으로 첨가시켜 78 ℃, 120 rpm, 3 h 동안 반응을 진행하여 -NCO 말단을 포함하는 Prepolymer를 합성하였고, 점도 조절을 하기 위해서 Acetone을 첨가하면서 진행하였다. 상온으로 온도를 낮춘 후 DMPA와 같은 몰수로 TEA를 넣고 1 h동안 120 rpm으로 교반하여 -NCO 말단의 Prepolymer를 중화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약 15%가 나 올 수 있도록 증류수를 넣은 후, 1 h 동안 500 rpm으로 교반하여 Castor oil 기반의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CWPU). 이후, 진 공 상태에서 아세톤을 제거하여 13.27%의 고형분 함량을 가진 최종 CWPU를 얻었다. CWPU의 용해 저항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 기 위해, 가교제인 TGIC는 CWPU 고형분 함량의 5, 10, 15 wt%만큼 첨가하여 상온에서 1 h 동안 교반하였다. 최종적으로 120 ℃, 24 h 동 안 드라이 오븐에서 준비된 용액을 건조하여, Castor oil 기반의 가교 결합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CWPU-TGIC).
CWPU-TGIC 필름의 구조는 적외선 분광 광도계(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IS50)를 사용하여 4,000~400 cm-1 범위 하에서 측정되었다. CWPU-TGIC 필름의 열적 특성은 시차 주사 열량 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A instruments, DSC250) 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 ~ 150 ℃ 영역을 20 ℃/min로 승온하여 측정되었다. CWPU-TGIC 필름의 기계적인 물성은 아령형 으로 만든 시편을 2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작동하는 만능 인장 시 험기(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P-2014, DRTECH)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바인더들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PVDF, CWPU, CWPU-TGIC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을 제조하였다. 실 리콘 음극은 60 wt%의 실리콘, 20 wt%의 도전제(Super P carbon), 20 wt%의 PVDF 바인더 또는 CWPU-TGIC 바인더로 구성되었다. 가교제 TGIC의 함량은 CWPU 고형분 함량의 5, 10, 15 wt%로 사용하였다.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 위에 코팅한 후 120 ℃ 진공 오븐에서 12 h 동안 건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전극은 지름 13 mm의 원형으로 잘라 글로브 박스에 옮겨 보관되었다. 제조된 전극과 상용 폴리프로필렌 분리막, 1.0 M LiPF6 in EC/DEC/FEC (= 45/45/10, v/v/v) 전해액을 사용한 코 인셀(CR 2032)은 아르곤 가스로 채워진 글로브 박스에서 조립되었다.
순환 전압 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는 Li/Li+의 전압 대비 0.01~2.0 V 범위에서 0.1 mV/s의 주사 속도로 BCS-805 (Bio-Logic Co.) 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배터리 성능은 정전류 충-방전 기기(원아테 크, WBCS3000)을 이용하여 0~3.0 V의 전압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임 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은 AC 진 폭 10 mV에서 1.00 MHz ~ 0.01 Hz의 주파수로 SP-150 (Bio-Logic)를 사 용하여 측정되었다. 사이클링 이후 전극의 측면 형상은 EBSD를 장착 한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SUPRA40VP)을 이용하여 확인되었다.
3. 결과 및 고찰
Figure 1(a)는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Prepolymer에 포함된 -NCO에 해당하는 2270 cm-1 peak가 Castor oil과 DMPA의 -OH와 반 응하여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를 통해 성공적으로 Castor oil 기반의 수분산 폴리우레탄(CWPU)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3]. CWPU에 해당하는 특성 peak인 N-H peak (3337 cm-1), C-H peak (2859 cm-1 및 2938 cm-1), C=O peak (1700 cm-1), C-O-C peak (1000-1300 cm-1)들이 확인되었다[24]. 한편, 가교제 TGIC의 Isocyanurate 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특성 peak인 C=O peak (1690 cm-1), C-N peak (1471 cm-1)와 Oxirane 작용기(910 cm-1)가 관찰되었다[25]. 열처리 결 과, TGIC는 CWPU와 가교 결합을 진행하면서 Oxirane 작용기로 인해 910 cm-1에서 나타나는 peak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Isocyanurate 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C=O peak (1,690 cm-1), C-N peak (1,471 cm-1) 는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xirane 작용기가 사라지는 것은 CWPU의 작용기인 -COO-과 반응하여 고리가 열리는 것으로 판단된 다[25]. 이를 통해 CWPU-TGIC가 가교 결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b)는 가교제인 TGIC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CWPUTGIC 필름의 DSC 곡선을 보여준다. CWPU 필름에 비해 CWPU-TGIC 필름이 유리전이온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교가 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26]. 한편, TGI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가교 밀도가 증 가함에 따라 고분자 사슬의 운동이 제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27]. 그러나, TGIC의 함량이 10 wt%와 15 wt%일 때, 유리전이온도가 비슷 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가교제인 TGIC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의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두 조건에서 비슷한 가교 밀도 를 형성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DSC 측정 결과, CWPU-TGIC 필름이 성공적으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가교제 함 량이 10 wt%일 때 충분한 가교 밀도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2(a-c)는 가교제 TGIC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CWPU-TGIC 필름의 구조적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Figure 2(a,b)는 CWPU와 CWPU-TGIC10 필름을 1.0 M LiPF6 in EC/DEC/FEC(= 45/45/10, v/v/v) 전해질에 24 h 넣고 필름의 전, 후 형태 변화를 비교하였다. 가교 결합 을 하지 않은 CWPU 필름은 화학 구조에 친수성 작용기인 COO-가 존 재하여 전해질에 쉽게 용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CWPU-TGIC 필름의 경우 TGIC의 Oxirane 작용기와 CWPU에 존재 하는 -COO-가 결합을 통해 기계적으로 안정한 3차원 네트워크 구조 를 형성하여 전해질에 대한 용해 저항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28]. 따라서, CWPU-TGIC 바인더는 전해질에 용해되지 않아 전극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Figure 2(c)는 만들어진 CWPU-TGIC 필름의 가교 밀도의 평가를 위해서 측정된 용매 내 팽창 비율과 젤 함량이다. 각 실험은 1.0 M LiPF6 in EC/DEC/FEC (= 45/45/10, v/v/v) 전해질과 용매인 Tetrahydro- furan(THF)에 담그기 전 필름의 무게와 24 h 후의 무게를 비교하여 진행하였다. 고분자 바인더의 가교 밀도가 낮으면 음극 활물질이나 구리 집전체에 대한 접착력을 약화시켜 전기전도성이 약화되고, 구리 집전체에서 활물질이 탈리되어 결국 용량과 수명 특성이 급격히 감소 한다[29]. 따라서 바인더의 팽창 비율 및 젤 함량은 전극의 구조의 안 정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분석 결과, 가교제 함 량이 증가할수록 CWPU-TGIC 필름이 전해질 내에서 팽창되는 비율 이 낮아지고, 젤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0]. 이는 CWPU-TGIC에서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교 결합 밀도가 증 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1].
제조된 고분자 바인더의 기계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응력-변형 률을 측정하였다. Figure 2(d)은 CWPU, 가교제 함량 별 CWPU-TGIC 및 PVDF 필름의 응력-변형률을 나타낸 곡선이다. PVDF 필름은 낮은 파괴 변형률(14.87%), 인성(30.18 MPa)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영률 (3.66 MPa)을 나타내었다. CWPU-TGIC 필름은 TGIC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의 인장 강도는 증가하고 파괴 변형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CWPU-TGIC10 필름은 가장 우수한 기계적 성능을 보 였으며, 인장 강도와 영률은 각각 6.88 MPa, 0.042 MPa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가교 결합을 통해 CWPU의 인장 강도와 영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CWPU-TGIC에 효과적으로 3차원 네트 워크 구조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2]. 따라서 기계적인 물성 측정 결과, 가교제 함량이 10 wt% 일 때 실리콘의 부피 변화를 효과적으로 막아주어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제조된 바인더가 도입된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서 코인셀을 제조하였다. Figure 3(a, b)는 각각 PVDF와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들의 0~2.0 V (vs Li/Li+) 의 전압 범위에서 초기 5 사이클 동안의 CV 곡선을 나타낸다. 먼저 두 CV 곡선에서 FEC 첨가제의 환원 분해로 인해 형성되었던 1.2 V에 서의 peak가 소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3]. 이것은 안정적인 SEI 막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며 부반응 없이 장기간 동안 충방전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리튬 이온이 충전됨에 따라 0.01 V 및 0.1 V 근방에서 환원 peak가 관찰되며, 또한 리튬 이온이 방전됨에 따라 0.37 V와 0.49 V 근방에서 산화 peak가 관찰되었다. 분석 결과,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에서 산화, 환원 peak가 더욱 뚜렷하고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에서 산화, 환원 반응의 속도가 빠르고, 높은 전기화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3(c)는 PVDF와 가교제 함량을 달리한 CWPU-TGIC 바인더 에 따른 전류 밀도 별 방전 용량 특성을 보여준다. 전류 밀도가 증가 하면 모든 전극에서 방전 용량이 점차 감소하고 초기 전류 밀도로 돌 아오면 방전 용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해볼 때, CWPU-TGIC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이 PVDF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보다 모든 전류 밀도에서 우수한 방전 용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CWPU-TGIC 바인더가 실리콘 입자 및 전 도성 물질과 단단히 결합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부피 팽창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높은 전류 밀도에서 리튬 이온과 전자 전달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34]. 또한 CWPU-TGIC10 바 인더가 포함된 실리콘 음극은 모든 전류 밀도에서 CWPU-TGIC5 바 인더가 포함된 실리콘 음극보다 방전 용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가교 결합의 밀도가 증가하기 때문 으로 여겨지며, 가교제의 함량이 10 wt%일 때 더욱 효과적으로 실리 콘 입자의 부피 팽창을 제어하고 지속적인 SEI 막의 형성을 억제함으 로써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시킨 것으로 판단된다[31].
Figure 3(d)는 바인더에 따른 1.0 A/g의 전류 밀도에서 실리콘 음극의 수명 특성을 나타낸다. 예상과 같이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 리콘 음극이 PVDF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보다 초기 용량과 100 사이클 후 방전 용량이 모두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높은 쿨롱 효율을 나타낸다. 이는 PVDF가 장기간 반복된 충, 방전에 의한 실리콘 입자의 큰 부피 변화에 취약함을 나타내며, 이와 달리 TGIC에 의해 가 교결합이 형성되면 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인더에 따른 전극-전해질 계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10, 50, 100 사이클 후 측정한 임피던스 분광법 결과를 Figure 4에 나타내었 다. 각 곡선은 고주파 영역에서의 반원과 중주파 영역에서의 반원, 저 주파 영역에서의 직선으로 구성되며, 각각 전해질 저항, 전하전달 저 항, 리튬 이온 확산의 Warburg impedance를 나타낸다[35]. 사이클링 후,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보다 PVDF 바인더 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에서 전극과 전해질 사이 계면에서의 저항 (RSEI)과 전하전달(Rct)의 저항은 명백히 증가하며, 이는 실리콘 입자의 붕괴로 인해 전자 전도 경로가 파괴되고 지속적인 SEI 막이 형성되기 때문이다[32]. 따라서,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 이 안정적인 전해질-전극 계면 구조를 형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영역에서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의 직선 기울기가 더 크기 때문에 리튬 이온 전도 특성이 향상되 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36].
Figure 5는 각각 사이클 전, 후의 PVDF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 극 및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의 단면 SEM 이 미지를 보여준다. Figure 5(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이클링 전 PVDF 바인더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은 약 10.05 um의 두께를 가지지 만 사이클링 후 33.65 um (초기 두께의 235.22%)까지 팽창한다. 특히 전극의 일부분이 구리 집전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균 열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활물질의 큰 부피 팽창으로 인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사이클링 중 지속적인 용 량 감소를 초래하였다고 판단된다[37]. 반면에 CWPU-TGIC10 바인더 를 사용한 실리콘 음극의 사이클링 전 두께는 14.7 um였지만 100 사 이클 후 전극의 두께는 18.66 um로 26.93%의 비교적 낮은 부피 팽창 이 발생하였다[Figure 5(b)]. 또한, 사이클링 후에도 전극이 구리 집전 체에 잘 결합되어 있고 균열이 적게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가교 결합을 통해서 실리콘 음극의 부피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SEI 막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38]. 따라서 CWPU-TGIC10 바인더를 사용하면 실리콘 음극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음극용 바인더로의 응용을 위해 Castor oil 기반의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가교제로 Oxirane 작용기가 포함된 TGIC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으로 가교 결합이 가능한 CWPU-TGIC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분광학적, 열적 분석을 통해 가교 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을 확인하였고, 기계적인 물성 측정을 통해 가교 밀도가 증가할수록 기계적인 물성이 증가하고 전해질에 대 한 용해 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WPU-TGIC 바 인더가 실리콘 음극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된 바인 더를 사용한 셀 테스트 결과, CWPU-TGIC 바인더를 가진 실리콘 음 극은 PVDF 바인더를 가진 실리콘 음극보다 우수한 수명 특성과 방전 용량이 측정되었다. 이는 CWPU-TGIC의 가교 결합 구조가 실리콘 음 극의 부피 변화를 제어하여 지속적인 SEI 막의 형성을 억제하고, 그 결과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효과적으로 전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