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소수성 코팅 재료는 자가세척, 유수분리 및 부식방지 등 다양한 응 용 분야에서 유망한 재료로 사용된다[1-4]. 이러한 소수성 재료는 다 양한 부식 환경조건에 따라 코팅 재료를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중요 하며, 금속 표면에 코팅하면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장벽 메커니 즘에 의해 부식을 일으키는 요인들로부터 금속을 보호하여 부식을 방 지할 수 있다. 에폭시, 우레탄, 알키드 수지 등 많은 유기 코팅 재료들 은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분, 산소, 자외선 노출과 같은 환경 부식제로부터 뛰어난 보호 능력을 가지고 있어 부식방지 코팅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불소계 고분자 코팅재료 는 산, 염기, 및 용매에 대한 우수한 내화학성 및 소수성을 갖는 재료 로 장벽특성이 뛰어나 우수한 부식방지 특성을 보인다[5,6]. 그러나, 대부분의 불소계 고분자는 가공성이 좋지 않아 가공에 어려움이 많아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PVDF는 다른 불소화 고분자와 비교하여 특히 낮은 용융점으로 인하여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항산화, 열 안정성 및 부식방지 특성 가지고 있어 범용으로 쓰이는 불소계 고 분자 재료이다[7,8]. 그러나 PVDF는 다른 불소계 고분자에 비하여 상 대적으로 적은 불소 함량으로 인하여 소수성이 약하기 때문에 그 응 용성 확장을 위하여 소수성 강화가 요구된다[9].
한편, 고분자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 에 불소 작용기를 도입하는 표면처리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 으며, 이 표면처리법에는 직접 기상 불소화 및 플라즈마 불소화 방법 등의 방법이 있다[10-19]. 직접 기상 불소화 반응은 배치식으로 진행 되며, 높은 반응성을 가진 F2 가스가 상온에서 직접 반응하여 표면에 불소기를 도핑하는 처리법이다[12-14]. 촉매 혹은 에너지원 없이도 불 소 분자의 반응에 의하여 표면처리 반응이 개시되며, 고분자 주사슬 에 자유라디칼이 형성되어 곁가지로 결합되어 있던 원자와 발열반응 을 일으키며 불소로 치환된다. 직접 기상 불소화는 공정이 간단하다 는 장점이 있지만 F2 가스의 반응성이 너무 높아 반응이 과도하게 일 어나는 경우 고분자 표면에 발열반응이 격렬해지며 반응열이 높아져 고분자가 용융된다[15]. 한편, 플라즈마 불소화는 플라즈마 장비 내에 서 SF6 및 CF4 등의 반응원에 고에너지를 가하여 불소 라디칼을 형성 시켜 표면에 도핑하는 처리법이다. 이때, 불소 플라즈마는 고분자 사 슬의 곁가지로 결합된 원자의 결합을 분해하고 사슬에 C-F, C-F2, C-F3 등의 형태로 결합한다[16-19]. 플라즈마 불소화 역시 공정이 간 단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직접 기상 불소화에 비하여 반응이 결렬하지 않아 고분자의 표면처리 방법으로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11]. 다만, 플라즈마 불소화는 올레핀계 고분자에 대한 결과가 보고 되었으나 불소계 고분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고분자 PVDF의 소수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불소화 방법으로 표면에 불소를 도핑하고 이에 따른 표면의 변화를 화학적, 형태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불소 도핑 전 후 PVDF의 표면자유에너지를 계산하였으며, 플라즈마 불소화 변수에 따른 부식방지 특성을 고찰하였다.
2. 실 험
2.1. 시약 및 재료
본 연구에서는 PVDF (Mw 530,000, Aldrich)를 코팅재료로 선정하 였고 고체 상태인 PVDF를 용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 dimethylformamide (DMF, Acros)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불소화 가스는 고순도 사불화탄소 가스(99.999%, Deokyang Co., Korea)를 사용하였 고, 부식 및 코팅에 사용된 철판은 일정한 크기(30 × 30 mm, 두께 1 mm)로 하여 아세톤 및 에탄올로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2.2. PVDF 용액 제조 및 코팅
PVDF 용액은 DMF를 용매로 하여 PVDF 펠릿을 넣고 70 °C에서 3 h 동안 기계적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되어 얻어졌다. 용액 내 PVDF 의 농도는 20 wt%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제조된 PVDF 용액은 스 핀 코팅 공정으로 철판에 코팅되었으며 이때 스핀 코팅은 회전 속도 1,000 rpm, 코팅 시간 60 sec의 조건에서 실행되었다. PVDF가 스핀 코팅된 철판을 온도가 110 °C인 오븐에서 1 h 동안 용매인 DMF를 완전히 날려주어 PVDF를 철판에 증착시켰다.
2.3. 플라즈마 불소화
PVDF 코팅 철판의 표면에 균일한 불소작용기를 도핑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불소화 장치(CUTE-1MPR, Femto Science. Co., Korea)를 사 용하였다. 플라즈마 불소화 장치는 알루미늄 합금 반응기(200 × 145 × 115 mm), 감압 펌프, 가스, 전원 공급기, 유량 조절기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불소화는 반응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바꾸어 준 뒤, 사불화 탄소 가스를 30, 60, 및 90 sccm으로 다르게 주입하며 진행하였다. 이 때, 플라즈마 불소화를 하지 않은 PVDF 막을 PVDF라 명명했으며 사 불화탄소 가스의 유량 변수 30, 60, 및 90 sccm에 따라 불소화 된 샘 플은 각각 F30-PVDF, F60-PVDF, F90-PVDF라 명명하였다. 사불화탄 소 가스의 C-F 결합의 해리 에너지는 485 kg/mol이며, 최대유량에서 C-F 결합을 해리하기 위하여 30.75 W의 에너지가 필요한 것으로 계 산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모든 C-F 결합을 해리하기 위하여 80 W에 서 15 min 동안 과량으로 에너지를 주입하였다. 이때, 주파수는 이전 실험에서 표면 불소 도입 함량이 가장 높았던 50 kHz로 고정하였다.
2.4. 불소 도핑 PVDF의 특성 분석
불소 도핑 PVDF 막 표면의 화학적 특성 및 화학 결합 구조의 변화 를 확인하기 위하여 PVDF 코팅 철판에서 PVDF 막을 절개한 후 X선 광전자 분광기(XPS, MultiLab 2000 spectrometer, Thermo Electron Co., England)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형태학적 표면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원자간력 현미경(AFM, XE-100, Park Systems, Korea) 으로 표면 거칠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2.5. 접촉각 측정 및 표면자유에너지
접촉각 측정 장비(Phoenix 300, Surface Electro Optics Co. Ltd, Korea)를 이용하여 각 샘플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접촉각 측정은 DI water와 diiodomethane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샘플 내에서 8회 이상 서로 다른 부분에서 용액을 떨어뜨려주어 접촉각을 측정하고 평균값 을 얻었다.
2.6. 부식 실험
소수성이 강화된 PVDF 막의 부식방지 성능을 고찰하기 위하여 바 닷물과 유사한 환경에서 철판, PVDF 코팅 철판, 그리고 코팅 PVDF 에 불소 도핑 철판을 14일간 5 L의 3 wt% NaCl 용액에 침지하여 부 식시켰다. 부식된 샘플 표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코팅을 벗긴 샘플 표면을 무작위로 5개 지점을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Hitachi S-4800, Hitachi, Japan) 및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기(EDS,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으로 분석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불소 도핑 표면 특성
불소 도핑 PVDF 막 표면의 화학적 특성 및 화학 결합 구조 변화를 XPS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Figure 1 및 Table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에서 284.5, 686.0 eV 부근에 C1s, F1s 피크가 나 타났음이 확인되었다. Table 1에서는 불소 및 탄소의 원자 함량을 나 타내었으며 PVDF, F30-PVDF, F60-PVDF 및 F90-PVDF의 불소와 탄 소의 비율(F/C)이 각각 2.1, 73.1, 96.1, 187.2%로 증가하였다. 이는 기 존 PVDF 막 표면의 구조가 파괴되면서 새로운 불소 작용기가 도입됨 으로 판단되며 플라즈마 불소화 반응에서 유량이 증가할수록 불소와 탄소의 비율이 증가한다고 여겨진다[17].
플라즈마 불소화 처리된 PVDF 막 표면의 화학적 결합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C1s 및 F1s 피크를 세부 피크로 분할하여 그 결과를 Figure 2로 나타내었다. Figure 2(a)-(d)는 C1s를 세부 피크로 분할한 결과로 PVDF 막과 비교하여 플라즈마 불소화 처리가 진행된 샘플들 은 287.30, 291.58, 그리고 293.87 eV 부근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 피크들은 각각 C-F, CF2-CF2, 그리고 C-F3 결합으로 알려져 있으며 플 라즈마 불소화 이후 새로운 불소 작용기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 다[20,21]. Table 2(a)에 C1s 각 세부 피크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289.48 eV 부근에서 확인되는 CF2-CH2결합은 PVDF 막에서 46.18% 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데 비하여 불소 도핑 PVDF는 불소 유량이 많 아질수록 함량이 20.48, 21.62, 15.78%로 감소하였다. 이는 플라즈마 불소화 시 반응기 안에서 형성된 불소 라디칼이 C-H 결합을 분해한 후 탄소와 결합에 의하여 새로운 불소 작용기 형성 및 불소 함량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22,23].
플라즈마 불소화 유량이 가장 높은 F90-PVDF는 F30-PVDF, F60- PVDF에 비하여 낮은 CF2-CF2 함량과 높은 C-F3 함량을 보인다. 이는 불소 라디칼이 앞서 설명한 C-H 결합을 분해 후 탄소와의 결합과 더 불어, PVDF의 주사슬인 C-C 결합도 분해하여 말단기의 수를 증가시 키고 말단기에 불소 원자가 3개 결합하여 생성되었다고 사료된다 [16-19,21]. CF3 말단기를 가진 고분자 사슬의 수가 증가하면 PVDF 막 표면 전체의 불소 함량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20]. 이는 Table 1에서 F90-PVDF가 가장 높은 불소와 탄소의 비율을 나타낸 것 과도 일치한다. Figure 2(e)-(h)는 F1s를 세부 피크로 분할한 결과로 685.3 및 687.3 eV 부근에서 각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 피크는 각각 반이온 성 C-F 결합과 공유 C-F결합으로 알려져 있으며 반이온성 C-F 결합 은 공유 C-F 결합에 비하여 결합 세기가 약한 결합이다[24, 25]. F1s 세부 피크의 함량은 Table 2(b)에 나타냈으며 F90-PVDF가 가장 높은 공유 C-F 결합의 함량을 보였다.
PVDF 및 불소 도핑 PVDF 막의 형태학적 표면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하여 2D, 3D 원자간력 현미경 이미지를 Figure 3에 보여주었고, 이에 대한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및 10점 평균 거칠기(Rz)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ure 3에 보여준 것처럼 PVDF는 수지상결정 구조를 포 함하는 반결정 구조를 보였으며 Ra 및 Rz 값은 각각 64, 497 nm였다 [26]. 불소가 도핑된 F30-PVDF, F60-PVDF의 경우 Ra 값이 85, 84 nm 였으며 Rz 값은 1,048, 1,243 nm로 PVDF에 비하여 거칠기가 증가하 였다. 이는 플라즈마 불소화 반응 중 고에너지의 불소 라디칼이 PVDF 표면을 식각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27]. 또한, 유량이 가장 높은 F90-PVDF는 Ra 및 Rz 값이 70, 556 nm로 다시 줄어드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주입된 불소 라디칼의 양이 많아 거칠어진 표면을 과하게 식각하여 다시 완만해졌을 것이라 판단된다[28].
3.2. 불소 도핑에 따른 표면자유에너지의 변화
Figure 4는 샘플에 대한 DI water와 diiodomethane의 접촉각을 측정 하여 나타내었다. PVDF 막에 대한 극성 용액 DI water의 접촉각은 74.37°으로 측정되었으며 불소가 도핑된 F30-PVDF, F60-PVDF, F90- PVDF 막에서는 각 115.71, 121.21, 121.41°으로 불소 도핑 전에 비하 여 최대 63.74% 증가하였다. 무극성 용액 diiodomethane의 접촉각은 PVDF에서 74.37°였으나 각각 84.83, 90.78, 91.44°으로 PVDF보다 최 대 52.27% 증가하였다. 접촉각을 이용하여 표면자유에너지를 구할 수 있는데, 표면자유에너지(γSL)를 계산한 식 (3)은 아래 Young-Dupre Eq. (1)과 Owen-Wendt 이론 (2)을 통하여 유도되었다[29].
위 식에서 γLV 는 접촉각 측정에 사용된 용액의 표면 장력이다. 무극성 에너지는 샘플과 용액을 각각 로 나타냈으며 극성 에너지는 각 각 으로 나타내었다. 무극성 및 극성 용액의 접촉각을 식 (3)에 대입하여 샘플의 무극성 에너지와 극성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샘플의 무극성 에너지와 극성 에너지의 합을 표면 자유에너 지로 나타낸다[30]. 각 샘플에 대한 DI water 및 diiodomethane의 접촉 각 및 (3)에 대입하여 계산된 표면자유에너지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27]. 불소화 된 PVDF의 표면자유에너지는 PVDF 막에 비하여 불소 도핑 PVDF 막에서 낮은 값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PVDF 막 표면에 불소 작용기가 도핑되어 표면자유에너지가 낮아졌기 때문이다[27,31]. F90-PVDF는 F60-PVDF보다 더 많은 불소가 도핑 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접촉각과 표면자유에너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불 소 도핑 PVDF 막의 표면 거칠기 차이에 의한 것이라 판단된다. 표면 거칠기에 의한 표면자유에너지 변화는 Wenzel 모델과 Cassie-Baster 모델에 따른다. Wenzel 모델은 친수성 물질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 면 고체-액체 계면의 유효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친수성 표면이 물의 습윤에 도움이 되어 친수성이 증가한다는 모델이다. 반대로, Cassie- Baster 모델은 소수성 물질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면 표면의 흠 사이 의 공기 주머니에 의하여 지지되어 소수성이 증가한다는 모델이다. 불소 라디칼에 의하여 표면이 식각되어 거칠기가 증가된 PVDF는 Cassie-Baxter 모델을 따라 소수성이 증가되므로 수접촉각이 증가되고 표면자유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32-34]. 그러나 F90-PVDF는 과도한 식각으로 인하여 표면 거칠기가 F60-PVDF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표면 불소양이 많더라도 유사한 표면자유에너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Figure 5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90-PVDF보다 비교적 적은 양의 사불화탄소 가스 유량 에도 불구하고 근사한 표면자유에너지를 가진 F60-PVDF가 불소 도 핑의 최적조건이라 판단된다.
3.3. 부식방지능력 평가
불소 도핑에 의하여 소수성이 강화된 PVDF 막의 부식방지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온에서 3 wt% NaCl 용액에 철판, PVDF 코팅 철판, 그리고 F60-PVDF 코팅 철판을 14일간 침지 하여 부식시켰다. 이 후 부 식된 철판의 코팅층을 벗겨 SEM/EDS로 철판 표면을 분석하였다. 각각 철판에 대한 SEM/EDS 이미지는 Figure 6에 나타내었다. 또한, EDS로 Fe 및 O의 함량을 분석하여 Table 5에 표기하였다. 철판의 경우 EDS의 분석 결과 표면 전체의 3%만의 산소가 있었으나 부식실험 후 산소의 비율이 50.8%로 크게 증가하였다. 철판 표면의 산소는 철판이 물과 반 응하여 수산화철이 생성되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35,36].
PVDF 코팅 철판은 부식 후 EDS 분석 결과, 산소의 함량이 19.0%로 철판에 비하여 낮아진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불소계 코팅재료인 PVDF가 기본적으로 소수성을 가지고 있어 장벽특성을 보였을 것이라 사료된다. 부식된 F60-PVDF 코팅 철판의 산소 함량은 13.6%로 부식 된 PVDF 코팅 철판의 산소함량 19.0 %에 비하여 총 28.4% 정도 낮아 져 부식특성이 개선되었다. 이는 F60-PVDF의 강화된 소수성이 3wt% NaCl 용액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및 Na, Cl과 같은 이온들로부터 우수 한 장벽특성을 보이며 철판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했다고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의 최대 유량으로 제조된 F90-PVDF에서 불소 함량은 최대 99.46%까지 증가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10점 평균 거칠기로 분석 되었을 때 PVDF보다 F60-PVDF에서 150% 증가하였으나, F90-PVDF 에서는 표면을 과식각하여 다시 55% 감소되었다. F90-PVDF의 표면 자유에너지는 불소 함량이 가장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표면 거칠기 차 이로 인하여 그 F60-PVDF와 비슷한 값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부식성 테스트 후 불소 도핑 PVDF 막이 코팅된 철판의 산소 함량 은 불소처리 하지 않은 PVDF 막이 코팅된 철판에 비하여 산소 함량 이 5.4% 적어 28.4% 부식특성이 개선되었다. 상기의 결과들은 플라즈 마 불소화에 의한 PVDF 막의 표면자유에너지 감소에 기인하여 표면 소수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한 철판의 수분 접촉이 최소화됨으로 써 부식방지 특성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