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밀배아유(wheat germ oil)는 밀배아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일로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 불포화지방산뿐만 아니라 비타민 E, 인지질(phospholipid), 스테롤(sterol) 및 옥타코사놀(octacosanol) 및 기타 생리활성 성분이 풍부한 오일이다. 그 중에서도 비타민 E 함량 은 식물성 오일 중 가장 많으며, α, β, γ, δ형 4종류의 비타민을 함유 하고 있어 강력한 천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밀배아유 는 낮은 용해도 및 빛, 열, 산소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므로 실제 생산 에서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고려하여, 유화기술을 적용하면 활성물질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향상 시키고 활성물질의 화학적 분해를 방해하며 활성 물질의 효과를 유지 할 수 있다[1-2]. 천연 계면활성제인 sugar ester는 무취 및 무독성 비 이온 계면활성제로 눈과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며 음식뿐만 아니라 생분해성이 뛰어나 의약품 및 화장품에도 적합하다. Sugar ester의 HLB 값(hydrophile lipophile balance value)은 1~16까지 다양하며, 모 든 등급의 sugar ester는 우수한 계면활성제 기능을 나타낸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유화능력은 친수성기의 수분 흡수 능력과 친유성기의 유 흡수 능력 사이의 균형에 달려 있다. 이러한 상대 균형을 정량화하 기 위한 지표로 HLB 값을 사용한다[3-4]. 유화액은 계면활성제를 첨 가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지만, 유화액은 큰 열역학적 불안정한 유체 계면계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응집 (flocculation), 병합(coalescence), Ostwald 숙성(Ostwald ripening) 및 상분리를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메커니즘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유화(demulsification)하는 경향이 있다[5,6].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은 연속 가변 표면모델을 설정하고, 생물학적 과정과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평가하고, 최적 수준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생물학적 과장을 최적화하는 통계적 실험 설계법이다. 그리고 필요한 실험군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고, 인적 및 물질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다양한 생물학적 공정 최적화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7].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ugar ester-370 (S-370) 및 sugar ester-1670 (S-1670)을 유화제로 사용하여 밀배아유 원료 O/W 유화액를 제조하였다. 유화과정의 독립변수로 HLB 값, 유화제의 첨 가량, 유화시간을 설정하여 반응치인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mean droplet size, MDS), 유화액의 점도 및 유화안전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반응표면분석법 중 에 중심합성계획(central composite design, CCD-RSM)모델 최적화 분 석에 의해 유화안정성을 평가하였다.
2. 실험 방법
2.1. O/W 유화액의 유화과정
천연 밀배아유(The Kerfoot Group,England) 및 초순수(Vivagenen EXL-III)와 천연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ugar ester (S-370 및 S-1670) 를 사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밀배야유 원료 O/W 유화액의 제 조하기 위해 유상과 수상의 질량비를 2:8로 유지한 후 유화액의 총 질 량을 200 g으로 설정하였다. 유상 및 수상은 가열교반기(HSD150-03P, Misung Scientific Co,. Ltd,)를 이용하여 70 ℃로 예열하였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370 (HLB 값 = 3.0)는 유상에 S-1670 (HLB 값 = 6.0) 는 수상에 용해시켰다. 유화과정은 high-speed emulsifier (Homomixer Mark II, T.K. Primix)를 이용하여 6000 rpm으로 유화시켰다. 유화과정 의 변수로는 HLB 값(6.0~10.0), 계면활성제의 첨가량(5.0~7.0 wt%), 유화시간(20~30 min) 등으로 설정하였으며, 제조된 유화액은 25 ℃ incubator에 7 일간 보관한 후 유화안정성을 평가하였다.
2.2.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HLB 값 계산
본 연구에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S-370와 S-1670를 혼합하여 HLB 값 변화에 따른 유화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혼합 계면활성제 의 HLB 값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HLBOW 는 혼합 계면활성제의 HLB 값이고, HLBO 는 S-370의 HLB 값, HLBW 는 S-1670의 HLB 값이다. 또한 WO 와 WW 는 각각 S-370와 S-1670의 질량이고, WOW = WO + WW 는 혼합계면활성제의 질량이다.
2.3. 유화안정성의 평가
유화의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분석은 ZETA Sizer (Zen 3600, Malvern)을 사용하여 나노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 (mean droplet size, MDS) 및 PDI (polymer dispersity index)를 측정 하였다. 다중산란효과(multiple scattering effect)를 피하기 위해, 각 유 화액 샘플을 200배 희석하고 25 ℃에서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 25 ℃에서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reaming층 또는 침전층의 양을 계산함 으로써 유화액의 중력 분리 정도에 통해 유화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ESI는 25℃에서 7 일 후의 유화액을 이용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HE 은 전체 유화액의 높이이고, HC 은 Creaming 층의 높이이 며, HS 은 침전층의 높이이다. ESI가 클수록 유화액은 더 큰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3. 결과 및 고찰
3.1. CCD-RSM을 이용한 회귀방정식 분석
CCD-RSM을 이용한 밀배아유 원료 O/W 유화과정에서의 독립변수 는 HLB 값(6.0~10.0), 계면활성제의 첨가량(5.0~7.0 wt%), 유화시간 (20~30 min)을 사용하였고, 반응치는 MDS, 점도 및 ESI로 선택하였 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조건 및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은 반응치로 MDS의 반응표면도 및 등고선도로 나타낸 그 림이다. 독립변수인 HLB 값, 유화제의 첨가량, 유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치인 MDS는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DS가 작을수록 계면막(interfacial film)의 분자 구조가 좋고, 유화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최소 MDS를 갖는 조건을 최적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8,9]. Figure 1의 등고선도의 모양은 요인 상호작용의 강도를 반영하며, CCD-RSM에 의해 다음의 회귀방정식을 얻었다.
여기서 S 는 CCD-RSM에서의 반응치로 MDS이다. 독립변수 x1 , x2 및 x3 각각 HLB 값, 유화제의 첨가량 및 유화시간이다. 반응치로 MDS (S )에 대한 각 독립변수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P -값, F -값 등 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각 변수의 영향의 유의성은 P -값으로 검증 되며, P -값이 작을수록 반응치에 대한 영향의 유의성이 더 크다. 또한 영향 정도의 분석을 통해 각 요인의 F -값은 영향의 크기를 반영할 수 있으며, F -값이 클수록 반응치에 대한 영향이 커진다. MDS의 변화와 관련된 주효과도로 -값, -값 및 -값의 비율은 2.2 : 1.0 : 1.3이 다. MDS의 변화와 관련된 교호효과도로 -값, -값 및 -값 의 비율은 1.0 : 5.2 : 5.9이다. 주효과도를 비교하여 MDS에 영향정도 를 미치는 독립변수는 HLB 값이 가장 크고 유화시간, 유화제의 첨가 량의 영향이 컸으며, 교호효과도를 비교하여 MDS에 영향정도를 미치 는 독립변수의 조합은 유화제의 첨가량과 유화시간, HLB 값과 유화 시간, HLB 값과 유화제의 첨가량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O/W 유화액 의 MDS만을 고려할 경우 최적 조건은 HLB 값 = 8.5, 유화제의 첨가 량 = 6.4 wt%, 유화시간 = 28.0 min이고, 이때의 CCD-RSM을 통해 MDS의 예측값은 203 nm이다.
Figure 2는 데이터를 통해 얻은 반응치로 MDS를 정규 95% 신뢰구 간 내의 확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확인하려면 P -값을 유의 수준과 비교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의 수준 α는 0.05이다. 본 연구에서의 데이터는 적합정규분포선과 상대 적으로 가깝게 나타났으며, 유화액의 MDS에 대한 정규분포의 P -값 (0.172)이 유의 수준 0.05보다 크므로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 반 응치로 MDS 모두 상한선과 하한선의 범위 내에 모든 데이터가 존재 하고 기준선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모의회귀방정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실험설계에 의해 독립변수인자 HLB 값, 유화제의 첨가량, 유화시 간 및 반응치로 유화액의 점도에 대해 CCD-RSM을 수행하였다. Figure 3은 각 독립변수에 따른 반응치인 유화액 점도의 반응표면도 및 등고선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3 가지 독립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액의 점도는 증가하다 감소하였다. 유화액의 점도가 크면, 유화액 입자가 서로 충돌하기 위해 극복해야하는 에너지 장벽이 더 커져, 유 화액 입자의 중합에 저항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유화액 안정성이 향상 된다[10,11]. 따라서 최대 점도를 나타내는 조건을 최적조건을 설정하 였다. 실험결과를 CCD-RS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회귀방 정식을 얻었다.
여기서 V 는 CCD-RSM에서의 반응치로 유화액의 점도이다. Table 2 의 유화액의 점도 변화와 관련된 주효과도인 -값, -값 및 -값 의 비율은 5.6 : 1.0 : 2.0로 나타났으며, 교호효과도로 -값, - 값 및 -값의 비율은 10.7 : 14.6 : 1.0로 나타났다. 주효과도를 비 교하여 유화액의 점도에 영향정도를 미치는 독립변수는 HLB 값 > 유 화시간 > 유화제의 첨가량으로 얻을 수 있었다. 교호효과도를 비교하 여 유화액의 점도에 영향정도를 미치는 독립변수는 (HLB 값×유화시 간) > (HLB 값×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제의 첨가량×유화시간)으 로 얻을 수 있다. O/W 유화액의 점도만을 고려하면, 최적 조건은 HLB 값 = 8.9, 유화제의 첨가량 = 6.5 wt%, 유화시간 = 26.1 min이고, 이때 CCD-RSM을 통해 유화액 점도의 예측값은 8184 cP이다.
Figure 4는 데이터를 통해 얻은 반응치로 유화액의 점도를 정규 95% 신뢰구간 내의 확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유화액의 점 도에 대한 정규 분포 P -값(0.083)이 유의 수준 0.05보다 크므로 데이 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원래의 가설을 만족하였다.
실험설계에 의해 독립변수인자 HLB 값, 유화제의 첨가량, 유화시 간 및 반응치로 ESI에 대해 CCD-RSM을 수행하여 Figure 5에 나타내 었다. 3 가지 독립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액의 ESI가 증가한 후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I가 크면 유화액 입자의 충돌 및 계면접선 방향의 전단작용이 높은 저항성을 가지며, 계면의 층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 증가하여 유화시스템이 해유화 및 상분리 등의 경향이 어려워 진다[12]. 따라서 ESI 값이 100에 가까울수록 유화액 안정성이 우수한 최적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반응치인 ESI의 CCD-RSM 분석결과 산출 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E 는 CCD-RSM에서의 반응치로 유화액의 ESI이다. ESI의 변 화와 관련된 주효과도로 -값, -값 및 -값의 비율은 631.1: 1645.1 : 1.0로 나타났다. ESI의 변화와 관련된 교호효과도로 -값, -값 및 -값의 비율은 1.8 : 1.0 : 4.4로 나타났다. 주효과도를 비교하여 ESI에 영향정도를 미치는 독립변수는 유화제의 첨가량 > HLB 값 > 유화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교호효과도를 비교하여 ESI에 영향정도를 미치는 독립변수는 (유화제의 첨가량×유화시간) > (HLB 값×유화제의 첨가량) > (HLB 값×유화시간)으로 나타났다. O/W 유 화액의 ESI만을 고려할 경우 최적 유화조건은 HLB value = 8.2, 유화 제의 첨가량 = 6.7 wt%, 유화시간 = 23.4 min이고, 이때 ESI 예측 값 은 98.4%이다.
Figure 6은 데이터를 통해 얻은 반응치로 ESI를 정규 95% 신뢰구간 내의 확률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유화액의 ESI에 대한 정규분 포 P값이 0.059로 유의 수준 0.05보다 크게 나타나 데이터가 정규분포 를 만족하였다. 또한 반응치의 P -값이 MDS > 점도 > ESI 순으로 나 타나 MDS에 대한 결과가 점도나 ESI보다 정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3. 종합만족도 평가
Figure 7은 종합만족도 그래프이다. O/W 유화액은 CCD-RSM의 수 학적 모델을 통해, 유화액의 MDS를 최소화하고, 점도를 최대화하며, ESI를 최대화하는 세 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건 은 HLB 값 = 8.4, 유화제의 첨가량 = 6.4 wt%, 유화시간 = 25.4 min 이다. 이 최적조건에서 모델을 통해 최적 반응치는 유화액의 MDS = 206 nm, 점도 = 8125 cP, ESI 98.2%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평균값을 얻기 위해 3 회 실험을 반복 수행하였으며 실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유화액의 MDS, 점도 및 ESI는 각각 209 nm, 7974 cP 및 98.7%으로 안정적인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과정 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4. 결 론
본 연구는 천연 밀배아유를 유상으로 사용하고, 천연 복합비이온계 면활성제인 sugar ester를 이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O/W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화액의 MDS, 점도, ESI를 CCDRSM의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
1. CCD-RSM을 사용하여 3 가지 반응치의 반응표면도, 등고선도 및 독립변수의 F 값을 분석하였다. MDS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주효과도는 HLB 값이며 교호효과도는 (유화제의 첨가량×유 화시간)이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와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주효과도는 유화제의 첨가량이며 교호효과도는 (유화제의 첨가량×유화시간)이었다.
-
2. 밀배아유 원료 O/W 유화액 제조의 안정성은 MDS, 점도 및 ESI 의 3 가지 반응치로 CCD-RSM모델에 의해 평가되었다. O/W wheat germ oil 유화액의 제조를 위한 최적의 공정조건은 HLB 값은 8.4, 유화제의 첨가량은 6.4 wt%, 유화시간은 25.4 min이며, 최적조건에서 CCD-RSM 모델을 통한 예측 반응치는 유화액의 MDS = 206 nm, 점도 = 8125 cP, ESI 98.2%이었다. 또한 실제 실험을 통해 얻어진 유화액의 MDS, 점도 및 ESI는 각각 209 nm, 7974 cP 및 98.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