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2 No.4 pp.385-392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1.1045

A Study of Nitric Oxide Oxidation Catalyst Using Non-noble Metals

JungHun Shin, SungChang H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Kore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Suwon 16227,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onggi Universi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ergy Engineering, Suwon 16227, Korea Tel: +82-31-249-9744 e-mail: schong@kyonggi.ac.kr
May 12, 2021 ; May 29, 2021 ; May 31, 2021

Abstract


In this study, impact of Co proportion and calcination temperature of ceria on the Co/CeO2 was analyzed by comparing nitrogen monoxide oxidation performance of various catalysts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each catalyst were studied by XRD and BET analysis, and the surface crystal states of cobalt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surface density. Oxidation states of elements were observed through Raman and XPS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 oxidation states and nitrogen monoxide oxidation performance was designed. Through H2-TPR, oxygen-transferring capacity due to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atalysts were identified, and activation sites (Co3+) for oxidation were suggested.



비귀금속계 금속을 이용한 일산화질소 산화 촉매 연구

신 중훈, 홍 성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Co/CeO2 촉매 제조 시 코발트의 첨가 함량 및 세리아의 소성온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및 일산화 질소 산화 성능을 비교하였다. Co/CeO2 촉매의 구조적 특성은 XRD, BET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코발트 표면밀 도에 따른 표면 결정 상태를 제안하였다. 또한, Raman, XPS 분석을 통하여 촉매의 산화가 및 산소 결합 상태를 확인하 였으며,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과의 관계를 제안하였다. H2-TPR 분석을 통하여 촉매의 특성 변화에 따른 산소전달특성 을 확인하였으며, 일산화질소 산화를 위한 촉매의 활성점(Co3+)을 제안하였다.



    1. 서 론

    오늘날 석탄연료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환경적인 문제가 심각한 상 태에 이르고 있다.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로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암모니아(NH3), 오존(O3), 휘발성유 기화합물(VOCs)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질소산화물은 앞서 언급한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다.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 에 배출되는 경우 산성비,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구온난화 그리고 광 화학스모그의 생성에 기여한다고 알려졌으며, 최근 대기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PM 2.5)의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다[1,2]. 최근 국내에서는 초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제 를 강화하였으며, 질소산화물 배출시설에 배출할당량을 지정하고 단 계적으로 축소하여 점진적인 감량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할당된 연 간 배출량을 초과하는 경우 벌금 및 패널티가 부과되어, 향후 강화되 는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 다. 다양한 질소산화물 배출 시설 중 발전소, 자동차, 선박 등에서는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사용 하는 선택적 촉매 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이 상용되 고 있다[3]. 그러나 일부 산업현장에서는 암모니아 환원제의 위험성 및 고농도의 질소산화물이 배출로 인하여 SCR 공정의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산업용 배기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의 제거를 위하여 공정 이 간단하며 효율적인 대기오염방지 시설인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 또는 흡착제(adsorbent)를 적용하고 있다[4,5]. 대부분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은 주로 일산화질소(NO)의 형태로 배출되나, 일 산화질소는 이산화질소(NO2)에 비하여 비교적 용해도가 낮거나 흡착 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로 전환하 여 흡수 또는 흡착 제거하는 기술은 탈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 법 중 하나이다[6-8].

    최근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로 산화하는 방법 중 공정이 간단하 며 유지비용이 적은 촉매 산화법이 각광받고 있으며, 활성금속으로 Pt [9,10], Ru[11,12], Ag[13] 등이 사용된 촉매는 우수한 일산화질소 산 화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해당 금속은 가격이 비싸고, 자원이 한 정적이며, 소결에 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이금속계 활성금속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Mn[14,15], Co[16,17]가 주로 사용 되었다. 특히, 금속산화물 중 Co는 전형적인 산화 촉매로 프로판[18], 메탄[19], 일산화탄소[20] 등을 산화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코발트 촉 매는 Co3+와 Co2+로 존재할 수 있으며, 산화반응에서 Co3+의 산화 환 원 능력은 Co2+에 비하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21].

    세륨은 산소 저장 용량(oxygen storage capacity; OSC)이 매우 뛰어난 희토류 물질로 산소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많 은 화학 반응에서 담체 또는 활성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22]. 따 라서 Co-CeO2 혼합 산화물을 산화촉매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 히 진행되어져 왔다. Woods 등[23]에 의하면, 우수한 CO 산화 성능을 갖는 CoOx/CeO2 촉매를 제조하였으며, 팔면체 Co3+가 산화를 위한 활 성 site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Akter 등[24]은 NH3-SCR 에서 NO 산화반응을 통해 탈질성능을 향상시켰으며, CoOx/CeO2 촉매 는 강한 코발트-세리아 상호작용 때문에 벌크 Co3O4에 비하여 더 우 수한 산화 성능을 나타내었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Co/CeO2 촉매가 NO 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리아에 담지되는 코발트 함량 또는 제조 조건이 다른 세리아 지지체에 동일한 함량을 첨가하여 코발트의 표면밀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조된 Co/CeO2 촉매의 일산화질소 산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또한, 촉매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ET, XRD, Raman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화학적 특성 및 산소전달 특성은 XPS, H2-TPR 분석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2. 실 험

    2.1. 촉매 제조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촉매의 활성금속으로 코발트(Co)를 사용하였고, 지지체로는 연소법(combustion method)를 이용하여 생산된 세리아 (CeO2)를 사용하였다. CeO2는 Ce nitrate hexahydrate [Ce(NO3)3⋅6H2O; sigma ald. Co.]를 300~700 ℃에서 소성하여 제조되었으며, CeO2(×00) 로 언급하였다.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일산화질소 산화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하여 CeO2(500)에 cobalt(II) nitrate hexahydrate [Co(NO3)2⋅ 6H2O; sigma ald. Co.]를 첨가하였으며, 활성금속의 함량은 전구체를 제외한 순수 활성금속의 무게비로 1, 5, 10, 15 wt% 만큼 계산하였다. 계산된 cobalt(II) nitrate hexahydate는 50 mL의 증류수에 가하여 30 min 이상 교반하였으며, 정량된 지지체에 수용액을 혼합하였다. 슬러 리 형태의 혼합용액은 1 h 이상 교반되었으며, 회전진공증발기(Eyela Co. N-N series)를 사용하여 65 ℃ , 65 mmHg의 조건에서 수분을 제 거하였다. 추가로, 미세기공에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 여 105 ℃ 오븐에서 24 h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파우더는 공기 분 위기에서 10 ℃/min의 승온 속도로 400 ℃에서 4 h 동안 소성되었으 며, 제조된 촉매를 Co[x]/CeO2(500)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코발트의 함 량을 10 wt%로 고정시키고, 다양한 소성온도에서 제조된 CeO2(×00) 지지체에 코발트 전구체를 첨가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 다. 해당 촉매는 Co[10]/CeO2(×00)으로 언급되었다.

    2.2. 실험장치 및 방법

    본 연구에서 일산화질소 산화 실험에 사용된 실험 장치의 모식도는 Figure 1에 나타내었다. 반응기에 공급되는 가스는 질소(N2), 산소(O2), 일산화질소(NO)를 사용하였으며, 가스의 유량은 mass flow controller (MFC)를 사용하여 조절되었다. 모든 가스는 pre-heater에 연결하여 혼 합하였으며 온도는 180 ℃로 유지하여 반응기로 공급되었다. 반응기 는 내경 8 mm, 높이 650 mm인 석영관을 사용하였으며, 온도를 150~ 400 ℃로 제어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촉매는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펠렛(pellet) 화 시킨 후 40~50 mesh로 채거름하여 반응기에 0.6 g 만큼 충진하였 다. 일산화질소의 이산화질소로의 전환율 계산을 위하여 일산화질소 의 농도는 비분산 적외선 가스분석기(ZKJ-2, Fuji Electric Co.)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응가스 중 일산화질소의 농도는 1000 ppm으로 고정 하였고, 반응가스 내 산소의 농도를 10 vol%로 하였으며, 총 유량을 500 cc/min으로 공급하였다. 위의 실험조건은 Table 1에 자세히 정리 하였다. 일산화질소 산화 실험은 제조된 촉매를 반응기에 충진하고, 400 ℃에서 30 min간 촉매를 전처리하여 산화상태를 균일하게 유지 하도록 하였다. 이후 반응 가스를 주입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농 도가 일정해질 때까지 실험을 지속하였다. 촉매의 성능은 일산화질소 의 이산화질소로의 전환율(NO to NO2 conversion)로 확인하였으며, 식 (1)과 같이 정의하였다.

    ACE-32-4-385_EQ1.gif
    (1)

    2.3. 촉매 특성분석

    2.3.1. BJH (Barrett Joyer Hanlenda), BET (Brunauer Emmett Teller)

    촉매의 기공 크기 및 비표면적은 Micromeritic Co.의 ASAP 201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기공 부피와 평균 기공 크기는 BJH 식을 이 용하여 계산되었으며, 비표면적은 BET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2.3.2. XRD (X-ray diffraction)

    촉매의 구조는 PANalytical Co.의 X’Pert PRO MRD를 이용하여 측 정되었다. 분석 조건으로는 radiation source: Cu Ka (λ = 1.5056 Å), X-ray generator: 30 kW에서 측정하였다. 2θ의 범위는 10~90°로 설 정하였고, 6 °/min의 주사속도로 측정하였다.

    2.3.3. Raman

    촉매의 산소 특성은 Raman 분석을 통하여 확인되었으며, Horiba Co. 의 Lapram ARAMIS를 사용하였다. Laser source는 He-Ne laser (Red 633 nm)를 사용하였고, laser power는 5 mW, scan 회수는 100으로 하 였다. Detector는 multichannel thermal electric cooled CCD를 사용하 였다. Raman shift range는 200~1200 cm-1이며, resolution은 1.7~2 cm-1 으로 하였다.

    2.3.4.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촉매의의 산화 상태 및 산소종을 확인하기 위하여 Thermo Co.의 Alpha-K를 이용하였으며, excitation source는 Al Kα monochromatic 로 측정하였다.

    2.3.5. HS-TPR (temperature programmed reduction)

    촉매의 산소전달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icromeritics Co.의 autochem 2920을 이용하였다. 분석 장비로는 TCD (thermal conductivity detector) 를 사용하였다. 샘플은 0.3 g을 충진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 하여 10% O2/He 분위기로 400 ℃에서 30 min 동안 전처리 되었다. 다 음은 60 ℃에서 10% H2/Ar 분위기로 표면을 안정화하였으며, 10 ℃ /min의 승온 속도로 800 ℃까지 승온시켜 소모된 수소를 확인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코발트 표면밀도에 따른 NO 산화 영향

    Gawade 등[25]에 따르면, Co/CeO2 촉매에서 코발트 함량에 따른 CO 산화 실험을 수행하였을 때 코발트가 담지된 촉매는 낮은 온도(T ≤ 150 ℃)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리아 지지체에 코발트를 첨가한 Co/CeO2 촉매의 제조 방법에 따른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 다. Co[x]/CeO2(×00) 촉매의 제조에 사용된 세리아 지지체는 Ce nitrate hexahydrate를 소성하여 제조하였으며, 해당 지지체의 구조적 특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ET, XRD, Raman 분석을 수행하여 Table 2와 Figure 2에 나타내었다.

    세리아 지지체 제조를 위한 소성온도는 300~700 ℃로 제어하였으며, Table 2의 결과로부터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이 100.56 m2⋅g-1에서 42.158 m2⋅g-1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Figure 2(a)에 나타낸 소성온도에 따른 세리아 지지 체의 XRD 결과에서는 CeO2에 해당하는 피크(JCPDF No. 00-004-0593) 를 28.55, 33.07, 47.49, 56.32, 59.09, 69.40, 76.73°에서 관찰할 수 있 었으며,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피크의 intensity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RD에서 피크의 intensity는 해당 구조의 결 정성과 관련이 있으며, 위의 결과를 통하여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CeO2의 결정성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Raman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며, Figure 2(b)에 나타낸 것과 같 이 세리아의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Raman intensity가 증가함에 따 라 결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발트 표면밀도에 따른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확 인하기 위하여 Co/CeO2 촉매를 제조하였으며, 첫 번째로는 동일한 CeO2(500) 지지체에 코발트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Co[x]/CeO2(500) 촉매를 제조하였고, 두 번째로는 소성온도가 다른 CeO2(×00) 지지체에 코발트의 함량을 10 wt%만큼 담지하여 Co[10]/CeO2(×00) 촉매를 제 조하였다. 제조된 Co/CeO2 촉매의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비교한 결 과는 Figure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일산화질소 산화 실험에서는 일산 화질소/이산화질소 평형에 의하여 일정 온도 이상에서 일산화질소의 산화 성능이 평형에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aspen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실험조건에서 일산화질소/이산화질소 평형 곡선을 제시하였으며, 그래프에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3(a)에 나타낸 코발트 함량에 따른 Co[x]/CeO2(500) 촉매의 일산화질소 산화 실험결과, 300 ℃ 이상의 온도에서는 Co[1]/CeO2(500) 를 제외하고 모든 촉매 성능이 평형곡선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은 약 270 ℃부터 성능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 며, 150 ℃에서 모든 촉매의 일산화질소 성능이 0%가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일산화질소의 산화 성능은 Co[10]/CeO2(500), Co[5]/CeO2(500), Co[15]/CeO2(500), Co[1]/CeO2(500)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코발트의 함량이 1 wt%에서 10 wt%로 증가함에 따라 일산화질소 성능이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코발트의 함량이 15 wt%로 증가하는 경우 오히려 일산화질소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발트의 함량이 10 wt%일 때 가장 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은, 소성온도가 다른 CeO2(×00) 지지체에 코발트 최적 함량인 10 wt% 를 첨가하여 일산화질소 산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3(b)에 나타내었다. 세리아의 소성온도에 따른 Co[10]/CeO2(×00) 촉매 는 300 ℃ 이상의 온도에서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이 평형곡선에 수렴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은 약 270 ℃부터 감소하 기 시작하였으며, Co[10]/CeO2(500), Co[10]/CeO2(400), Co[10]/CeO2 (600), Co[10]/CeO2(300), Co[10]/CeO2(700) 순으로 우수한 일산화질 소 산화 성능을 나타내었다.

    3.2. Co/CeO2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

    본 절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Co/CeO2 촉매의 물리⋅화학 적 특성에 따른 일산화질소 산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 였다. Figure 4는 Co[x]/CeO2(500) 촉매의 표면 구조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XRD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Figure 4(a)에 나타낸 코발트 함량에 따른 Co[x]/CeO2(500) 촉매의 XRD 분석 결과 모든 촉매에서 CeO2에 해당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JCPDF No. 00-004-0593). 추가적으로 Co[15]/CeO2(500)에서는 Co3O4 에 해당하는 피크가 36.83, 44.81, 65.22°에서 관찰되었다(JCPDF No.00- 009-0418).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o[1]/CeO2(500), Co[5]/CeO2(500) 그리고 Co[10]/CeO2(500)는 CeO2(500)과 유사한 XRD 패턴을 나타냄 에 따라 촉매 표면에 코발트가 고르게 분산 되었으나, Co[15]/CeO2(500) 은 Co3O4에 해당하는 피크가 미세하게 관찰되기 시작함에 따라 촉매 표면에 결정화된 코발트 입자가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Figure 4(b)에 나타낸 세리아 지지체의 소성온도에 따른 Co[10]/ CeO2(×00) 촉매의 XRD 분석 결과에서는 모든 촉매에서 CeO2에 해당 하는 피크를 관찰되었고, Co[10]/CeO2(600)과 Co[10]/CeO2(700)에서 Co3O4에 해당하는 피크가 추가로 관찰되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XRD 분석을 통하여 Co3O4가 생성된 촉매는 Figure 3의 결과에서 일산화질 소의 성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eO2(×00) 지지체 표면에 코발트가 무정형의(amorphous) 형태로 존재할 때 일산화질소 산화 성 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3은 Co/CeO2 촉매의 비표면적 및 표면밀도를 확인하기 위한 BET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첨가되는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Co[x]/CeO2(500) 촉매의 BET 분석 결과를 통하여 비표면적을 비교한 결과 Co[1]/CeO2(500), Co[5]/CeO2 (500) 그리고 Co[10]/CeO2(500) 촉매의 비표면적은 각각 64.37, 64.17, 64.103 m2⋅g-1으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Co[15]/CeO2(500)의 비표면적은 42.16 m2⋅g-1으로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Co[15]/CeO2(500) 촉매의 비표면적 감소는 Figure 4(a)의 결과에서 확 인한 바와 같이 결정화된 코발트 입자의 생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다. 추가로 Co[10]/CeO2(×00) 촉매의 비표면적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세리아의 소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이 증가하여 비표면적 또 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세 리아 표면에 무정형의 코발트로 존재하는 촉매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Jampaiah 등[26]은 세리아에 첨가된 전이금속을 첨가하여 수은 산화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Raman 분석 결과 Ce-O 결합 진동에 해당하는 460 cm-1 피크가 낮은 주파수로 이동하는 현상을 통하여 세 리아의 산소 공석이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Xu 등[22]은 세 리아에 코발트를 첨가하여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코 발트가 세리아와 상호작용하여 표면 산소 감소가 개선된다고 언급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세리아 표면 구조 변화 특 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Raman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5에 나타내었다.

    Figure 5(a)에 나타낸 첨가되는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Co[x]/CeO2 (500) 촉매의 Raman 분석 결과 CeO2(500)은 461 cm-1에서 Ce-O의 진 동에 해당하는 피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26]. 첨가되는 코발 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461 cm-1의 피크는 낮은 주파수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o[10]/CeO2(500)부터 피크의 이동이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낮은 주파수로의 피크 이동은 세리아-코발트의 상호작용에 의해 산소 공석이 형성되어 나타나는 현 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Figure 5(b)에 나타낸 세리아 지지체의 소성온 도에 따른 Co[10]/CeO2(×00) 촉매의 Raman 결과에서도 관찰되었다. Figure 2(b)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모든 세리아 지지체의 Ce-O 진동 피 크는 461 cm-1에서 관찰되었으나, 코발트가 첨가된 Co[10]/CeOx(×00) 촉매의 피크는 각각 다른 위치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00 ℃ 이하의 온도에서 소성된 세리아 지지체는 Ce-O의 진동에 해당하는 피 크가 439 cm-1에서 관찰됨에 따라 많은 양의 산소 공석이 생성되었음 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600 ℃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된 세리아 지지 체는 피크가 453 cm-1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산소 공석이 비 교적 적게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세리아 구조가 무정형(amorphous)으로 존재하 는 지지체가 코발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많은 양의 산소 공성을 생성하며, 결정성이 높은 세리아 지지체는 코발트와 결합할 수 있는 양이 적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Co/CeO2 촉매에서 산소 공석의 형성은 촉매의 산화-환원(redox)을 향상시켜 산화 성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리아의 경우 Ce4+와 Ce3+의 산화-환원 순환에 의하여 산소 이동이 이루어지며, Ce3+로 존 재하는 경우 산소의 공석을 의미한다[22]. 따라서 코발트 첨가로 인한 세리아의 산소 공석을 확인하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Co[x]/CeO2(500) 촉매의 Ce3+/Cetotal 비율은 첨가되는 코발트의 함량이 10 wt%가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으나, 15 wt%로 첨가되는 경우 16.11%로 오히려 줄어드 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o[10]/CeO2(500) 촉매가 가장 많은 산소 공석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며, Raman의 결과와 일치한다. 추가적으로, Co3+/Cototal의 비율은 Co[1]/CeO2(500)에서 90.49%로 매 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첨가되는 코발트의 함량이 점차 증가 할수록 Co3+/Cototal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리아 지지체의 소성온도에 따른 Co[10]/CeO2(×00) 촉매의 Ce3+/Cetotal 비율 은 소성온도가 300 ℃보다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가 600 ℃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다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Co3+/Cototal의 비율은 세리아를 300 ℃로 소성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O 1s 분석을 통하여 촉매 내 격자 산소종(Oα)과 표면 흡착 산소종(Oβ)을 구분할 수 있으며, 표면 흡착 산소종(Oβ)은 산화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6]. 본 연구에서 각각의 촉 매의 Oβ/Ototal 비율은 Ce3+/Cetotal의 비율이 높은 촉매일수록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o[10]/CeO2(500) 촉매는 가장 많은 표면 흡착 산 소종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Co3+은 촉매표면에 무정형으 로 존재할수록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Ce3+은 코발트와 세리아의 상호작용이 가장 많은 촉매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 흡착 산소종(Oβ)은 Ce3+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 인하였으며, Ce3+와 표면 흡착 산소종의 증가는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 이 향상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세리아 표면적 당 코발트가 무정형으로 최대한 존재하는 촉매가 우수한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나타낼 것으로 추측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리아 비표면적 당 코발트 원자 의 수를 의미하는 표면밀도(surface density)를 계산하여 일산화질소 산 화 성능 및 Ce3+ 비율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표면밀도를 계산하기 위 한 계산식은 식 (2)에 나타내었으며, Table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면밀도를 계산하는 식에서 Cw는 촉매의 코발트 농도(g/g), NA는 아 보가드로의 상수(6.02 × 1023 mol-1), Mw는 코발트 원자량(58.93 gmol-1) 그리고 SBET는 코발트를 담지하기 전 지지체의 비표면적(m2/g)을 나타 낸다.

    n s ( Co atom mm -2 ) = C W ×N A M W ×S BET ×10 18 ( nm 2 /m 2 )
    (2)

    추가로, 표면밀도에 따른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과 Ce3+ 비율과의 관 계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일산화질소의 산화 성능은 모든 촉매의 성능 차이가 확인되는 270과 250 ℃에서 확인하였다.

    코발트의 첨가 함량 및 세리아의 소성온도에 따른 Co[x]/CeO2(×00) 촉매의 코발트 표면밀도가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한 결과 코발트의 표면밀도가 12~13 Co atoms/nm2에 해당하는 촉 매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값보다 표면밀 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우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은 감소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앞선 XRD 결과를 토대로 12 Co atoms/nm2보다 낮은 촉매는 코발트의 구조가 무정형으로 존재하였으며, 13 Co atoms/nm2 보다 높은 촉매는 결정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코발 트의 표면밀도가 12~13 Co atoms/nm2에 해당하는 촉매는 세리아 표 면에서 무정형으로 가장 많이 존재할 수 있는 값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면밀도에 따른 Ce3+ 비율을 확인한 결과 12~13 Co atoms/nm2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해당 촉매에서 세리아의 표면 흡착 산 소가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물리⋅화학적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Co/CeO2 촉매의 산 소전달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2-TPR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 과를 Figure 7에 나타내었다.

    Figure 7(a)에 나타낸 코발트의 함량에 따른 Co[x]/CeO2(500) 촉매 의 산소전달특성을 확인한 결과 CeO2(500)은 400과 530 ℃에서 두 개 의 피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피크는 세리아의 표 면 산소종과 벌크 산소종에 해당한다[22]. 코발트의 첨가에 따라 3개 의 환원 피크가 생성되기 시작하였으며, 200~300 ℃에서 관찰되는 첫 번째 피크는 세리아와 상호작용하는 Co3+가 Co2+로 환원되는 피크이 고, 350~450 ℃에서 관찰하는 두 번째 피크는 Co3O4상의 Co2+가 Co 로 환원되는 피크이며, 500~600 ℃에서 관찰하는 세 번째 피크는 Co2+ 가 Co로 환원되는 피크이다[22]. 앞선 XPS 분석에서 확인한 바와 같 이 Co[1]/CeO2(500) 촉매는 주로 Co3+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리아와 상호작용함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 환원 피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 였다. 또한 코발트의 함량이 10 wt%까지 증가함에 따라 해당 피크가 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Co[15]/CeO2(500) 촉매의 경우 결 정화된 Co3O4가 생성됨에 따라 350~450 ℃에서 피크가 생성되기 시 작하였다. Figure 7(b)에 나타낸 세리아 소성온도에 따른 Co[10]/CeO2 (×00) 촉매의 H2-TPR 결과에서도 세 개의 환원 피크가 확인되었으며, 모든 촉매에서 Co3+에 해당하는 환원 피크가 저온에서 생성되고, Co[10]/CeO2(600)과 Co[10]/CeO2(700)에서 Co3O4에 대한 피크가 관 찰되기 시작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하여 세리아와 상호작용하는 Co3+ 의 산소가 가장 낮은 온도에서 생성됨에 따라 일산화질소의 산화 성 능에 반응 site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Co/CeO2 촉매 제조 시 코발트의 첨가 함량 및 세리 아의 소성온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및 일산화질소 산화 효율을 비교하였다. Co/CeO2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RD, Raman, BET, XPS, H2-TP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 1. BET 분석을 통하여 세리아 비표면적당 코발트 원자량을 의미하 는 표면밀도를 계산한 결과 12~13 Co atoms/nm2일 때 가장 우수한 일 산화질소 산화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XRD 분석 결과 코발트가 무정 형(amorphous)으로 존재할 때 일산화질소 산화 성능이 우수하였다.

    • 2. XPS 분석 결과 표면밀도가 12~13 Co atoms/nm2에 해당하는 촉 매는 코발트-세리아의 상호작용에 의해 Ce3+/Cetotal과 Oβ/Ototal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Raman 분석을 통하여 해당 촉매의 산소 결함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 3. H2-TPR 분석 결과 세리아 코발트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 Co3+ 가 우수한 산소전달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o3+가 일산화질 소 산화 반응의 활성점에 해당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었다.

    감 사

    이 저서는 2019년도 경기대학교 연구년 수혜로 연구되었음.

    Figures

    ACE-32-4-385_F1.gif
    The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equipments.
    ACE-32-4-385_F2.gif
    Structure properties of CeO2(×00) supports (a) XRD pattern, (b) Raman pattern.
    ACE-32-4-385_F3.gif
    NO to NO2 conversion of Co/CeO2 catalysts on NO oxidation (a) Co[x]/CeO2(500), (b) Co[10]/CeO2(×00).
    ACE-32-4-385_F4.gif
    XRD spectra of Co/CeO2 catalysts (a) Co[x]/CeO2(500), (b) Co[10]/CeO2(×00).
    ACE-32-4-385_F5.gif
    Raman spectra of Co/CeO2 catalysts (a) Co[x]/CeO2 (500), (b) Co[10]/CeO2 (×00).
    ACE-32-4-385_F6.gif
    The effect of Co surface density on NO oxidation with Ce3+ ratio.
    ACE-32-4-385_F7.gif
    H2-TPR profiles of Co/CeO2 catalysts (a) Co[x]/CeO2 (500), (b) Co[10]/CeO2 (×00)

    Tables

    Experimental Conditions on Reaction System
    Specific Surface Area of CeO2(×00) Supports
    Specific Surface Area and Co Surface Density of Co/CeO2 Catalysts
    Chemical State of Co/CeO2 Catalysts

    References

    1. G. Qi and R.T. Yang, Performance and kinetics study for low-temperature SCR of NO with NH3 over MnOx-CeO2 catalyst, J. Catal., 217, 434-441 (2003).
    2. P. S. Metkar, M. P. Harold, and V. Balakotaiah,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x on combined Fe- and Cu-zeolite monolithic catalysts: Sequential and dual layer configurations, Appl. Catal. B: Environ., 111-112, 67-80 (2012).
    3. O. Krocher, Chapter 9 Aspects of catalyst development for mobile urea-SCR systems - from vanadia-Titania catalysts to metal-exchanged zeolite, Stud. Surf. Sci. Catal., 171, 261-289 (2007).
    4. R. Krzyzynska and D. Hutson, Effect of solution pH on SO2, NOx, and Hg removal from simulated coal combustion flue gas in an oxidant-enhanced wet scrubber, J. Air Waste Manage. Assoc., 62, 212-220 (2012).
    5. X. Chang, G. Lu, Y. Guo, Y. Wang, and Y. Guo, A high effective adsorbent of NOx: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of Ca-beta zeolites, Microporous Mesoporous Mater., 165, 113-120 (2013).
    6. M. S. Kang, J. Shin, T. U. Yu, and J. Hwang, Simultaneous removal of gaseous NOx and SO3 by gas-phase oxidation with ozone and wet scrubbing with sodium hydroxide, Chem. Eng. J., 381, 122601 (2020).
    7. M. D. Hutson, R. Krzyzynska, and R. K. Srivastava, Simulataneous removal of SO2, NOx and Hg from coal flue gas using a NaClO2-enhanced wet scrubber, Ind. Eng. Chem. Res., 47, 5825-5831 (2008).
    8. I. Boscarato, N. Hickey, J. Kaspar, M. V. Prati, and A. mariani, Green shipping: Marine engine pollution abatement using a combined catalyst/seawater scrubber system. 1. effect of catalyst, J. Catal., 328, 248-257 (2015).
    9. K. Hauff, U. Tuttlies, G. Eigenberger, and U. Nieken, Platinum oxide formation and reduction during NO oxidation on a diesel oxidation catalyst - Experimental reults, Appl. Catal. B: Environ., 123-124, 107-116 (2012).
    10. Y. Liang, X. Ding, J. Dai, M. Zhao, L. Zhong, J. Wang, and Y. Chen, Active oxygen-promoted NO catalytic on monolithic Pt-based diesel oxidation catalyst modified with Ce, Catal. Today, 327, 64-72 (2019).
    11. L. Li, L. Qu, J. Cheng, J. Li, and Z. Hao, Oxidation of nitric oxide to nitrogen dioxide over Ru catalyst, Appl. Catal. B: Environ., 1-2, 224-231 (2009).
    12. S. Adjimi, J. M. Gracia-vargas, J. A. Diaz, L. Retailleau, S. Gil, M. Pera-Titus, Y. Guo, and A. Giroir-Fendler, Highly efficient and stable Ru/K-OMS-2 catalyst for NO oxidation, Appl. Catal. B: Environ., 219, 459-466 (2017).
    13. D. Y. Yoon, E. Lim, Y. J. Kim, J. H. Kim, T. Ryu, S. Lee, B. K. Cho, I. S. Nam, J. W. Choung, and S. Yoo, NO oxidation activity of Ag-doped perovskite catalysts, J. Catal., 319, 182-193 (2014).
    14. X. Li, S. Zhang, Y. Jia, X. Liu, and Q. Zhong, Selective catalytic oxidation of NO with O2 over Ce-doped MnOx/TiO2 catalysts, J. Nat. Gas Chem., 1, 17-24 (2012).
    15. L. Qiu, Y. Wang, D. Pang, F. Ouyang, C. Zhang, and G. Cao,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activity of Mn-Co/TiO2 catalysts for NO oxidation to NO2 at low temperature, Catalysts, 6(1), 9 (2016).
    16. M. F. Irfan, J. H. Goo, and S. D. Kim, Co3O4 based catalysts for NO oxidation and NOx reduction in fast SCR process, Appl. Catal. B: Environ., 3-4, 267-274 (2008).
    17. M. M. Yung, E. M. Holmgreen, and U. S. Uzkan, Cobalt-based catalysts supported on titania and zirconia for the oxidation of nitric oxide to nitrogen dioxide, J. Catal., 247, 356-367 (2007).
    18. Z. Zhu, G. Lu, Z. Zhang, Y. Guo, Y. Guo, and Y. Wang, Highly active and stable Co3O4/ZSM-5 catalyst for propane oxidation: Effect of the preparation method, ACS Catal., 6, 1154-1164 (2013).
    19. C. Q. Lv, C. Liu, and G. C. Wang, A DFT study of methanol oxidation on Co3O4, Catal. Commun., 45, 83-90 (2014).
    20. H. F. Wang, R. kavanagh, Y. L. Guo, Y. Guo, G. Lu, and P. Hu, Origin of extraordinarily high catalytic activity of Co3O4 and Its morphological chemistry for CO oxidation at low temperature, J. Catal., 296, 110-119 (2012).
    21. X. Xie, Y Li, Z.Q. Liu, M. Haruta, and W. Shen, Low-temperature oxidation of CO catalysed by Co3O4 nanorods, Nature, 458, 746- 749 (2009).
    22. J. Xu, G. Lu, Y. Guo, Y. Guo, and X. Q. Gong, A highly effective catalyst of Co-CeO3 for the oxidation of diesel soot: The excellent NO oxidation activity and NOx strage catacity, Appl. Catal. A: Gen., 535, 1-8 (2017).
    23. M. P. Woods, P. Gawade, B. Tan, and U. S. Ozkan, Preferential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on Co/CeO2 nanoparticles, Appl. Catal. B: Environ., 1-2, 28-35 (2010).
    24. N. Akter, S. Zhang, J. Lee, D. H. Kim, J. A. Boscoboinik, and T. Kim,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of NO by ammonia and NO oxidation over CoOx/CeO2 catalysts, Mol. Catal., 482, 110664 (2020).
    25. P. Gawade, B. Bayram, A. M. C. Alexander, and U. S. Ozkan, Preferential oxidation of CO (PROX) over CoOx/CeO2 in hydrogen- rich streams: Effect of cobalt loading, Appl. Catal. B: Environ., 128, 21-30 (2012).
    26. D. Jampaiah, K. M. Tur, S. J. Ippolito, Y. M. Sabri, J. Tardio, S. K. Bhargava, and B. M. Reddy, Structure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evaluation of transition and rare earth metal doped ceria- based solid solutions for elemental mercury oxidation, RCS Adv., 3, 1296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