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0112(Print)
ISSN : 2288-4505(Online)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32 No.1 pp.15-19
DOI : https://doi.org/10.14478/ace.2020.1099

Facile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Tyrosine-Rich Peptide and Its Applications to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Yun-Mi Hur, Kyoung-Ik Min†
Biomedical Convergence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Corresponding Autho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Biomedical Convergence Science and Technology, Daegu 41566 Korea
Tel: +82-53-950-4547 e-mail: kimin@knu.ac.kr
December 4, 2020 ; December 17, 2020 ; December 17, 2020

Abstract


In this study, we studied a facile method for the synthesis of stable and nearly spherical gold nanoparticles using a tyrosine- rich peptide, Tyr-Tyr-Gly-Tyr-Tyr (YYGYY), as both the reducing and capping agent. The peptide coated spherical and polycrystalline gold nanoparticles with diameters from 3 to 15 nm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eptide and metal precursor under UV irradiation. The nanoparticles were then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UV-Vis spectroscopy,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TEM-ED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X-ray diffraction (XRD). Furthermore, the catalytic activity of gold nanoparticles was confirmed by the reduction of 4-nitrophenol to 4-aminophenol, in which the catalytic reaction rate constant was 7.3 × 10-3 s-1.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를 사용한 금 나노입자의 손쉬운 합성과 4-니트로페놀의 촉매 환원 응용

허 윤미, 민 경익†
경북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 Tyr-Tyr-Gly-Tyr-Tyr (YYGYY)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구형의 금 나노 입자의 간단한 합성 방법을 연구하였다. 펩타이드로 둘러싸인 구형의 다결정 금 나노 입자는 UV 조사 하에서 펩타이드 및 금속 전구체의 농도를 조절하여 3~15 nm 크기로 합성되었다. 합성된 금 나노 입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투과 전자 현미경(TEM),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및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STEM-EDS),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X선 회절 분석법(XR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합 성된 금 나노입자는 4-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을 통해 7.3 × 10-3 s-1의 반응속도 상수를 갖는 촉매 활성을 확인하였다.



    1. 서 론

    금 나노입자(Au NPs)는 고유의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생체 적 합성, 무독성 및 다양한 표면 기능 활용성 때문에, 광학, 촉매, 바이오 센서, 나노 의학, 바이오 이미징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1]. 특히,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의 특성 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색 검출 바이오센서, 광열 치료로 활용이 가능 하며, 금 나노 입자가 갖는 높은 표면적 및 고유의 산화⋅환원 활성으 로 인해 촉매로 활용되어왔다[1-3].

    일반적으로 금 나노입자는 염화금산(chloroauric acid, HAuCl4)의 환 원에 의해 합성되는데, 이때 입자의 크기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기 때 문에 크기 제어가 매우 중요하며, 입자들 사이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 한 안정화제와, 금 입자 표면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 적인 화학적 처리를 수반한다[1]. 1951년에 개발된 Turkevich 합성법 은 시트르산을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염화금산을 고온에서 반응시켜 Au3+ 이온을 금 나노입자로 환원시킨다[4]. 그러나 시트르산 으로 안정화된 금 나노 입자는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적인 표 면 개질 과정 동안에 비가역적 응집을 초래할 수 있다[1].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적 합성 방법들이 개발되었지만, 다단 계 합성 과정이 필요하거나, 유기 용매 또는 독성이 있는 화학 시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문제 및 바이오메디컬 분야 적용에 한계를 가진 다는 단점이 있다[1,5]. 최근에는 아미노산, 펩타이드를 환원제 및 안 정화제로 사용한 친환경적(green synthetic), 생물학적(biological synthetic)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낮은 독성 및 생체 친화성을 가지며, 맞춤형 표 면 기능성을 단일 공정(one-pot)으로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

    본 연구에서는 UV 조사하에서 Tyr-Tyr-Gly-Tyr-Tyr (YYGYY) 서 열의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3~15 nm 크기의 금 나노입자를 단일공정으로 합성하는 방법에 관해 조사하였다.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 고, 4-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에 촉매로 사용하여 촉매 활성을 관찰하 였다.

    2. 실 험

    2.1. 시약 및 재료

    YYGYY 서열 펩타이드(순도 98%)는 GL Biochem (China)에서 구 입하였으며, 염화금산(chloroauric acid, HAuCl4), 4-니트로페놀(4-nitrophenol) 그리고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NaBH4) 는 Sigma-Aldrich 사에서, pH 10 완충 용액은 Samchun chemical 사에 서,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에 사용된 그리드(FC-200 mesh Cu)는 Ted Pella 사에서 각각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2. 금 나노입자 합성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해 각각 500 μL의 다양한 농도로 제조 된 HAuCl4 수용액과 pH 10 완충 용액에 녹인 펩타이드 용액을 큐벳 에서 혼합하여 총 1 mL의 반응 혼합액을 제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 다. 혼합액 구성성분의 최종 농도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혼합액은 농도에 따라 3~5 h 동안 310 nm 파장의 UV 광(Vilber, T-6M, 6 W, 6개)에 노출시켰으며, 반응이 끝난 혼합액은 15,000 rpm에서 20 min 간 원심분리하고, 침전된 샘플을 회수하여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한 후 다시 증류수에 분산시켰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으로 진행하였다.

    2.3. 특성 분석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특성 분석을 위하여 바이오 투과전자현미경 (bio-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Bio-TEM, Hitachi, HT 7700), 자외선 및 가시광선 분광분석기(UV-Vis spectrophotometer, Nanodrop 2000c, Thermo Fisher Scientific), 전계방사형 투과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E-TEM, FEI company, Titan G2 chemiSTEM Cs Probe),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PerkinElmer, Frontier) 및 X-선 회절 분석기(X-Ray diffractometer, XRD, Panalytical, EMPYREAN)를 사용하였다.

    2.4 촉매 반응 분석

    금 나노입자의 촉매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4-니트로페놀의 촉매 환 원 반응을 진행하였다[7]. 세척 후 증류수에 분산시킨 0.1 mM의 금 나노입자 용액 500 μL와 1 mM 4-니트로페놀(4-nitrophenol) 500 μL, 100 mM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NaBH4) 500 μL 를 혼합한 후 자석 교반기에서 반응을 진행하며, 반응 시간에 따라 UV-Vis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과량의 NaBH4 존재 하에 4-니트로페 놀의 농도에 의해 반응 속도가 결정되는 1차 반응(first-order reaction) 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음으로, 4-니트로페놀의 농도에 따른 금 나노입자 촉매의 반응 속도상수(kcat)는 다음의 식으로 유도하였다[8]. 4-nitrophenol의 초기 및 시간 t에서의 농도는 각각 C04-nitrophenol, Ct4-nitrophenol 이며, Ct4-nitrophenol/C04-nitrophenol의 비는 400 nm에서의 초기 및 시간 t에 서의 흡광도 비 A400nm(t)/A400nm(0)와 같다. 따라서 kcat은 식 (3)에 의해 계산하였다.

    - d ( C 4-nitrophenol ) / d t = k cat C 4-nitrophenol
    (1)

    -ln ( C t 4-nitrophenol / C 0 4-nitrophenol ) = k cat t
    (2)

    -ln [ A 400nm ( t ) / A 400 nm ( 0 ) ] / t = k cat
    (3)

    3. 결과 및 고찰

    3.1. 펩타이드를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합성과 특성 분석

    20개의 천연 아미노산 중 타이로신은 페놀기를 갖고 있는 아미노산 으로, 페놀기의 높은 산화 환원 활성으로 인해 금속 이온을 환원하여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1]. 또한 페놀의 하이드록실기는 금속 이온과 상호 작용할 수 있어 생체 광물화(biomineralization) 를 통해 금속-펩타이드 복합 구조를 만드는데 사용되어 왔다[12,13]. 이러한 타이로신의 특성을 활용하면, 독성을 갖는 화학적 환원제의 사용 없이 친환경적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합성할 수 있고, 환원된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이 아미노산으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생 체 친화성을 갖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YYGYY 서열을 갖 는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펩 타이드로 안정화된 금 나노입자를 단일 공정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연 구하였다. Figure 1에 금 나노입자 제조를 위한 YYGYY 서열 펩타이 드의 화학적 구조와 합성 방법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신의 페놀기는 염기성 수용액에서 자외선 조사를 통해 산화 및 라디칼을 생성하여, Au3+ 이온에 전자를 전달하면서 금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표면은 펩타 이드로 안정화되어 응집 없이 콜로이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9-11,14]. 펩타이드를 사용한 금 나노입자의 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펩타이드와 HAuCl4의 농도를 5 mg/mL, 5 mM (entry no. 6)로 설정하여 UV 조사 를 진행하였고, TEM과 UV-Vis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2(a)에 서 보여주는 TEM 결과에 의하면, 구형의 금 나노입자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적 균일한 평균입도 크기(14.5 ± 1.6 nm)를 가짐을 확인하였다(Figure 2b). Figure 2(c)의 확대된 TEM 이미지에서, 금 나 노입자 표면에 약 2.7 nm 두께의 펩타이드 분자로 막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2(d)는 반응 시간에 따른 금 나노입자 합성 용액의 UV-Vis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구형 의 금 나노입자 콜로이드가 형성되어, 527 nm 파장에서 표면 플라즈 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에 의한 흡광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 인하였다. 또한 노란색의 반응 혼합 용액이 시간이 지날수록 짙은 빨 간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응집 현상 없이 안정적인 콜로 이드 형태로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Figure 2(d) inset].

    Figure 3은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결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HR-TEM 이미지상에서 면심입방구조의 (111) 면에 해당하는 0.23 nm의 격자 프린지(lattice fringe)가 관찰되었고, 전자회절 분석(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SAED)을 통해 다결정(polycrystalline)의 금 나노입자 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건조된 금 나노입자의 XRD 분석 을 하였을 때, 38.2°, 44.1°, 64.7°, 77.5°, 81.4°에서 면심입방구조의 (111), (200), (220), (311), (222)를 나타내는 5개의 회절 피크가 관찰 되었다(JCPDS no. 04-0784). (111)면의 피크가 다른 피크보다 강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면심입방구조의 금 나노입자가 (111)면 을 따라 주된 성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5].

    Figure 4는 금 나노입자 표면의 원소를 분석하기 위한 STEM-EDS 관찰 결과를 보여준다. EDS merging 이미지에서 합성된 금 나노입자 의 표면에 펩타이드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질소가 금 나노입자가 모 여 있는 곳에서 주로 관측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펩타이드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표면 관능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FT-IR을 사용하였다. Figure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펩타이드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1202, 1510, 1644과 3243 cm-1에서 각각 타이로신 페놀 기의 C-O stretching, C=C stretching, Amide I (C=O stretching vibration), Amide A (N-H stretching vibration) 피크가 관찰되었다[16,17]. 따라서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펩타이드 분자가 층을 이루어 안정화하고 있음 을 확인하였고, 이는 TEM에서 관찰된 결과와 일치하였다.

    3.2. 농도 조성 변화에 따른 금 나노입자 형성

    펩타이드와 HAuCl4의 농도에 따른 금 나노입자의 크기 영향을 확 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 조성에서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TEM 이 미지를 관찰하였다(Table 1, Figure 6). 펩타이드 2.5 mg/ml, HAuCl4 2.5 mM (entry no.2)와 펩타이드 5 mg/ml, HAuCl4 5 mM (entry no.6) 의 농도조건에서는 각각, 13.2 ± 1.5와 14.5 ± 1.6 nm의 평균입도를 갖는 구형의 금 나노입자가 형성되었다. 펩타이드가 금 이온에 비해 높 은 비율의 조성인, 펩타이드 2.5 mg/ml, HAuCl4 0.5 mM (entry no.1), 펩타이드 5 mg/ml, HAuCl4 0.5 mM (entry no.4), 펩타이드 5 mg/ml, HAuCl4 2.5 mM (entry no.5) 농도조건에서는 각각, 4.2 ± 1.6, 3.3 ± 0.8, 4.7 ± 1.6 nm의 작은 평균입도를 갖는 금 나노입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펩타이드를 사용한 조성인, 펩타이드 2.5 mg/ml, HAuCl4 5 mM (entry no.3) 농도조건에서는 펩타이드가 금 나 노입자의 환원 과정 중에 충분이 표면을 안정화하지 못하여 입자들 사 이의 응집이 일어난 불규칙한 모양의 금 나노입자가 관찰되었다[18].

    3.3. 금 나노입자의 촉매 반응

    금 나노입자의 촉매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니트로페놀의 환원 촉매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Figure 6). 4-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은 NaBH4와 금 나노입자 존재 하에 4-아미노페놀로 환원되며, 반응의 진 행 정도는 UV-Vis 의 400 nm 흡광도 분석을 통해 쉽게 결과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모델 촉매 반응이다[7]. 먼저, 비교실험으로 금 나노입 자가 없는 상태에서의 환원 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400 nm에서의 흡 광도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Figure 6(b)]. 이와는 반대로 펩타이드로 환원된 금 나노입자가 촉매로 사용되었을 때는, Figure 6(c)의 반응 시 간에 따른 UV-Vis 결과에 나타난 것처럼,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4-니 트로페놀에 의한 400 nm에서의 흡광도가 감소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Figure 6(c)로부터 시간에 따른 –ln[A400nm(t)/A400nm(0)]의 그래프를 Figure 6(d)에 나타내었으며, 그래프의 기울기를 통해 반응 속도 상수 kcat의 값을 7.3 × 10-3 s-1으로 산출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카페산(caffeic acid), 카테킨(catechin), 맥아당(maltose)로 환원된 금 나노입자의 4-니트로페 놀 환원 촉매 반응 속도 상수 값과 비교하였을 때, 펩타이드로 환원 및 안정화된 금 나노입자의 촉매 반응은 더 적은 양의 당량비를 사용하였 음에도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2)[19-21].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타이로신이 풍부한 펩타이드 YYGYY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도입하여 금 나노입자의 친환경 단일 합성법에 대해 연구 하였다. 펩타이드와 금속 이온의 농도를 조절하여 3~15nm 크기를 갖 는 구형의 다결정 금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금 나노입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해 특성이 확인되었고, 펩타이드 로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응집 없이 콜로이드 형태를 유지할 수 있 었다. 또한 4-니트로페놀의 환원 반응에 펩타이드로 안정화된 금 나노 입자를 촉매로 사용하였을 때, 7.3 × 10-3 s-1의 반응속도 상수를 갖는 촉매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금 나노입자의 특성은 촉매 활성을 갖는 기능성 나노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바이오 메디컬 및 나노 바이오 공학 분야에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감 사

    본 연구는 2019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 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R1C1C1005824).

    Figures

    ACE-32-1-15_F1.gif
    Chemical structure of tyrosine-rich peptide (YYGYY) and scheme for the one-step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YYGYY peptide as both the reducing and capping agent.
    ACE-32-1-15_F2.gif
    (a,c) TEM images, (b) size distribution, and (d) time-dependent UV-Vis spectra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5 mg/ml of peptide and 5 mM of HAuCl4 under UV irradiation for 5 h.
    ACE-32-1-15_F3.gif
    (a, b) HR-TEM images, (c) SAED pattern, and (d) XRD pattern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5 mg/ml of peptide and 5 mM of HAuCl4 under UV irradiation for 5 h.
    ACE-32-1-15_F4.gif
    (a) Representative STEM image (HAADF) and (b-d) corresponding elemental mapping image (Au, N, merging) of gold nanoparticle synthesized from 5 mg/ml of peptide and 5 mM of HAuCl4 under UV irradiation for 5 h.
    ACE-32-1-15_F5.gif
    FT-IR spectra of pristine peptide (red) and gold nanoparticle (black) synthesized from 5 mg/ml of peptide and 5 mM of HAuCl4 under UV irradiation for 5 h.
    ACE-32-1-15_F6.gif
    TEM image of gold nanoparticles as a function of various concentration of peptide and HAuCl4: (a) peptide 2.5 mg/ml, HAuCl4 0.5 mM; (b) peptide 2.5 mg/ml, HAuCl4 2.5 mM; (c) peptide 2.5 mg/ml, HAuCl4 5 mM; (d) peptide 5 mg/ml HAuCl4 0.5 mM; (e) peptide 5 mg/ml, HAuCl4 2.5 mM; (f) peptide 5 mg/ml, HAuCl4 5 mM.
    ACE-32-1-15_F7.gif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using gold nanoparticle synthesized from 5 mg/ml of peptide and 5 mM of HAuCl4 under UV irradiation for 5 h. (a) Reaction scheme of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to 4-aminophenol. (b,c) Time-dependent UV-Vis spectra of reaction medium (b) in the absence of gold nanoparticles and (c) in the presence of gold nanoparticle. (d) Plot of -ln[A400nm(t)/A400nm(0)] versus time for the catalytic reduction.

    Tables

    Results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Various Compositions
    Comparison of the Catalytic Activities of Green-Synthesized AuNPs in the 4-NP Reduction Reaction

    References

    1. Y. C. Yeh, B. Creran, and V. M. Rotello, Gold nanoparticles: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bionanotechnology, Nanoscale, 4, 1871-1880 (2012).
    2. X. Ma, S. He, B. Qiu, F. Luo, L. Guo, and Z. Lin, Noble metal nanoparticle-based multicolor immunoassays: An approach toward visual quantification of the analytes with the naked eye, ACS Sens., 4, 782-791 (2019).
    3. M. Haruta, and M. Daté, Advances in the catalysis of Au nanoparticles, Appl. Catal. A-Gen., 222, 427-437 (2001).
    4. J. Turkevich, P. C. Stevenson, and J. Hillier, A study of the nucleation and growth processes in the synthesis of colloidal gold, Discuss. Faraday Soc., 11, 55-75 (1951).
    5. K. G. Lee, J. Hong, K. W. Wang, N. S. Heo, D. H. Kim, S. Y. Lee, T. J. Park, and T. J. Park, In vitro biosynthesis of metal nanoparticles in microdroplets, ACS Nano, 6, 6998-7008 (2012).
    6. J. Zong, S. L. Cobb, and N. R. Cameron, Peptide-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Versatile biomaterials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Biomater. Sci., 5, 872-886 (2017).
    7. P. Zhao, X. Feng, D. Huang, G. Yang, and D. Astruc, Basic concepts and recent advances in nitrophenol reduction by gold- and other transition metal nanoparticles, Coord. Chem. Rev., 287, 114-136 (2015).
    8. A. Saha, J. Adamcik, S. Bolisetty, S. Handschin, and R. Mezzenga, Fibrillar networks of glycyrrhizic acid for hybrid nanomaterials with catalytic features, Angew. Chem. Int. Ed., 127, 5498-5502 (2015).
    9. P. R. Selvakannan, A. Swami, D. Srisathiyanarayanan, P. S. Shirude, R. Pasricha, A. B. Mandale, and M. Sastry, Synthesis of aqueous Au core-Ag shell nanoparticles using tyrosine as a pH-dependent reducing agent and assembling phase-transferred silver nanoparticles at the air-water interface, Langmuir, 20, 7825-7836 (2004).
    10. J. Xie, J. Y. Lee, D. I. Wang, and Y. P. Ting, Silver nanoplates: From biological to biomimetic synthesis, ACS Nano, 1, 429-439 (2007).
    11. S. Si, R. R. Bhattacharjee, A. Banerjee, and T. K. Mandal, A mechanistic and kinetic study of the formation of metal nanoparticles by using synthetic tyrosine‐based oligopeptides, Chem. Eur. J., 12, 1256-1265 (2006).
    12. K. I. Min, D. H. Kim, H. J. Lee, L. Lin, and D. P. Kim, Direct synthesis of a covalently self-assembled peptide nanogel from a tyrosine- rich peptide monomer and its biomineralized hybrids, Angew. Chem. Int. Ed., 130, 5732-5736 (2018).
    13. V. Paribok, Y. O. Kim, S. K. Choi, G. Y. Jung, J. Lee, K. T. Nam, V. E. Agabekov, and Y. S. Lee, Tailoring a Tyrosine-rich peptide into size-and thickness-controllable nanofilms, ACS Omega, 3, 3901-3907 (2018).
    14. H. I. Joschek and S. I. Miller, Photooxidation of phenol, cresols, and dihydroxybenzenes, J. Am. Chem. Soc., 88, 3273-3281 (1966).
    15. G. K. Deokar, and A. G. Ingale,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Elixir of Life) from banana fruit waste extract - An efficient multifunctional agent, RSC Adv., 6, 74620-74629 (2016).
    16. J. L. Burt, C. Gutiérrez-Wing, M. Miki-Yoshida, and M. José- Yacamán, Noble-metal nanoparticles directly conjugated to globular proteins, Langmuir, 20, 11778-11783 (2004).
    17. C. Berthomieu, and R. Hienerwadel, Vibrational spectroscopy to study the properties of redox-active tyrosines in photosystem II and other proteins, Biochim. Biophys. Acta-Bioenerg., 1707, 51-66 (2005).
    18. 18 T. Serizawa, Y. Hirai, and M. Aizawa, Novel synthetic route to peptide- capped gold nanoparticles, Langmuir, 25, 12229-12234 (2009).
    19. 19 Y. S. Seo, E. Y. Ahn, J. Park, T. Y. Kim, J. E. Hong, K. Kim, Y. Park, and Y. Park,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with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caffeic acid, Nanoscale Res. Lett., 12, 7 (2017).
    20. 20. Y. Choi, M. J. Choi, S. H. Cha, Y. S. Kim, S. Cho, and Y. Park, Catechin-capped gold nanoparticles: Gree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activity toward 4-nitrophenol reduction, Nanoscale Res. Lett., 9, 103 (2014).
    21. 21. P. Suchomel, L. Kvitek, R. Prucek, A. Panacek, A. Halder, S. Vajda, and R. Zboril, Simple size-controlled synthesis of Au nanoparticles and their sizedependent catalytic activity, Sci. Rep., 8, 4589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