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리튬 이차 전지는 소형 가전 기구의 사용을 넘어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기 자동차용 리튬 이차전지 의 주요 이슈는 이동 가능 거리(용량)에서 빠른 충/방전(고속 C-rate 특 성)으로 바뀌고 있다. 이제까지 자동차용 배터리는 큰 용량의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느린 충/방전 속도를 보완했지만, 제한된 배터리 부피와 한계에 이른 소재의 부피당 용량에 의해 고속 충/방전 가능 소재의 개 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리튬 이차전지 음극 소재로 사용되는 흑연 은 낮은 평균 전위(~0.1 V vs. Li/Li+), 높은 전기전도도, 전기화학적 반 응에 대한 높은 안정성 등의 물성을 만족하지만 리튬 이온의 층간 삽 입/탈리 매커니즘으로 인해 고속 충/방전 특성의 한계가 있다[1-7].
흑연의 낮은 속도 특성은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및 전기화학적 부 반응(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이 탄소 구조의 모서리 부분에서 대부분 일어나기 때문이다. Yoshio 등의 연구에 따르면 드러난 모서 리 부분에 의한 전기화학 반응 면적의 증가는 SEI층의 과다한 생성을 야기한다. 부반응의 제어를 위한 모서리 부분의 제어는 탄소의 형상 을 제어하는 방법과 탄소 전구체를 이용한 코팅 방법이 있다.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구상화, 구형화 방법이 있다. 구상화 방법은 수 평 ball-mill 등을 이용하여 소재의 튀어나온 모서리 부분에 물리적 힘 을 가하여 구상의 소재를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소재의 표면에서 부터 소재를 식각하는 방법으로,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고 쉽다는 장점이 있다. 구형화 방법은 구상화 방법에 서 나온 탄소 조각 혹은 구상화된 탄소를 바인더 소재와 함께 뭉쳐 구형의 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탄소 소재의 형상에 따 라 양파 혹은 눈뭉치 형태와 같은 소재가 제조된다. 이 방법은 공정의 레벨이 높아 구현이 어렵다[8].
탄소 전구체를 이용한 모서리 부분 제어는 탄소 소재 위에 전구체 를 코팅하여 탄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코팅 방법은 용매를 이용 하여 탄소 표면에 코팅하는 습식법과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 힘을 가하여 코팅하는 건식법이 사용되고 있다[9-14]. Wang 등은 glucose를 탄소 전구체로 활용하여 인조 흑연 표면에 코팅하여 전기화학 적 성능을 평가하였으며[13], Han 등은 Coal-tar pitch를 코팅 소재로 이용하여 탄소 소재의 전기화학성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Jo 등은 PFO (pyrolysis fuel oil) based pitch를 사용한 코팅 방법을 통해 음극 탄소 소재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켰다[14]. 하지만 위의 방법은 코팅 공정 사용을 위해 탄소 소재 제조 후 코팅을 위한 공정을 추가해야 하며, 특히 용매를 이용한 코팅 방법은 용매에 녹는 특정 분자량의 탄 소 전구체만 사용하기 때문에 용매에 녹지 않는 부분은 코팅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용매 제거를 위한 공정 및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공정에서 사용 가능한 pilot-scale의 연속식 고 속 입자 충돌 반응 공정을 이용하였다. 상기 반응 공정을 이용하여 음 극 활물질용 탄소 소재의 입도 조절 후, 코팅용 탄소 전구체를 투입하 여 코팅 공정을 수행하였다. 음극 활물질용 탄소 소재로는 침상 코크 스를 사용하였으며, 코팅용 탄소 전구체로는 석유계 피치를 사용하였 다. 분쇄에 의한 침상 코크스의 날카로운 파단면이 코팅 공정 후 피치 에 의하여 덮여진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된 샘플을 1300, 2400 ℃으로 고온 열처리를 진행한 음극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를 진행하 였다.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는 galvanostatic 충/방전 실험과 방전 전류 를 조절하여 고속 방전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치 코팅된 시료는 빠른 방전 속도에서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제어된 모서리 부분으로 인해 생성된 안정된 SEI층이 빠른 방전 속도에 기인하는 매커니즘에 대하 여 논의하였다.
2. 실 험
2.1. 실험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피치 코팅 공정에 따른 물리적 특성 및 그에 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PFO (pyrolysis fuel oil)를 원료 로 코팅용 탄소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사용된 탄소 전구체는 국내 정 유 공장에서 발생되는 석유계 부산물[Yeochun NCC CO. LTD., produced by NCC (Naphtha Cracking Center, South Korea)]을 150 L의 Pilot-scale 피치 반응기에서 개질 온도 410 ℃에서 3 h 반응시킨 피치 를 사용(S.P: 149.9 ℃, Q.I: 0.1 이하, CV: 52%)하여 제조하였다. 음극 소재에 사용된 침상 코크스는 PMCtech에서 제조된 1300 ℃에서 열처 리된 침상 코크스를 사용하였다. 침상 코크스의 입도 조절을 위하여 고속 분쇄 공정을 사용하여 분쇄 속도 8000 rpm, 분급 속도 7000 rpm 으로 분쇄하였다. 침상 코크스의 분쇄 이후 코팅에 의한 구상화를 위 하여 피치를 고속 분쇄 공정에 투입하여 같은 조건에서 코팅 공정을 진행하였다. 피치 코팅된 탄소 소재를 1300, 2400 ℃로 탄화하여 온도 에 따른 음극 소재를 제작하였다. 탄화는 1300 ℃, 1 h 동안 질소 분위 기에서 진행하였으며, 5 ℃/min의 승온 속도로 진행하였다. 2400 ℃ 에서의 탄화 공정은 피치에서 바로 고온 열처리를 진행할 경우 피치 의 저분자량 성분이 휘발되어 흑연화로 내부 오염을 발생 시킬 수 있 어, 저온 열처리로를 이용하여 1000 ℃, 1 h 동안 질소 분위기에서 저 온 열처리 후 진행하였다. 2400 ℃ 탄화 공정은 1500 ℃ (10 ℃/min, 2.5 h 유지, He 분위기)에서 전처리 후, 2400 ℃ (15 ℃/min, 1 h 유지, 감압 분위기)의 2 step으로 진행하였다. 제조된 소재의 명칭은 침상 코 크스와 피치의 비율에 따라 NCPXX라고 명명하였으며, 탄화 온도에 따라 NCPXX-YYYY라고 명명하였다.
2.2. 리튬 이차전지 반쪽셀 제조 및 물리적/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제조된 코크스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i metal을 상 대 전극으로 하여 코인 타입의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전극의 활물 질은 제조된 음극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바인더는 CMC (carboxymethyl cellulose, MTI Korea)와 SBR (styrene-butadiene rubber, MTI Korea)을 사용하였다. 활물질과 SBR, CMC를 90 : 6 : 4 wt.%으로 혼합하고 증 류수를 20 mL 첨가한 후, thinky mixer (ARE-310, Thinky corporation) 를 이용하여 전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극 슬러리를 구리 호 일 위에 250 μm 두께로 코팅하여 상온에서 12 h, 120 ℃에서 12 h 건조를 진행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전극을 압연하여 전극 밀도를 1.3 ± 0.25 g/cm3으로 조절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해액으로는 LiPF6 (EC : DEC = 1 : 1 vol.%)를 사용해 전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 된 탄소 소재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X-ray difraction (XRD, Rigaku D/Max 2200V, Bruker : Cu Kα radiation)을 사용하여 2θ = 2~80° 범위에서 step size 0.02°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FE-SEM을 사용 하여 코팅된 음극소재의 형태 및 코팅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제작 된 반쪽 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battery cycler (WBCS 3000, Won A Tech)를 이용하여 충/방전, 속도 특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충/방전 테스트는 CC-CV 모드로 진행 되었으며, cut-off 전압은 0.01~2.0 V로 하고 속도 특성은 방전 전류를 0.1, 0.5, 1, 2, 5, 10, 0.1 C으로 변화하며 다양한 C-rate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C-rate는 흑연의 이론 용량을 기준으로 372 mA/g으로 설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제조 공정에 따른 구조적 특성
Figure 1(a, b)는 비정질 탄소 코팅층의 유무에 따른 SEI층 생성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Figure 1(a)의 음극 소재는 분쇄 시의 파단면이 드 러나 있어 전기화학 반응 면적이 넓다. 이러한 넓은 반응 면적은 초기 충/방전에서 전해액의 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SEI층이 과다하게 생성 되며, 이러한 과다한 SEI층은 높은 저항과 리튬 이온의 이동도가 낮아 지게 된다. Figure 1(b)의 음극 소재는 음극 소재 제조 공정에서 발생 된 파단면을 피치 코팅을 통해 제어하였다. 그 결과 전기화학 반응 면 적이 제한되어 SEI 층이 얇고 안정되게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c-e)는 고속 분쇄/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음극 소재 의 FE-SEM 이미지이다. Figure 1(c)는 침상 코크스를 고속 분쇄 공정 을 이용하여 분쇄한 소재의 이미지이며,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모서 리 부분이 제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d, e)의 코팅 된 소재는 1300 ℃에서 탄화 후 진행하였다. 코팅 공정 후 빨간색 화살 표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침상 코크스의 모서리 부분이 코팅되어 완화 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Figure 1(c-e)의 음극 소재와 같이 모서리 부 분이 제어되면 전기화학적 활성 면적이 줄어들어 SEI층이 초기 전기 화학 반응에서 일정하게 형성되며, 사이클 반응 동안 유지될 수 있다.
Figure 2는 피치의 양에 따른 코팅 층의 두께 분석을 위하여 제시된 입도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입도 분포 그래프의 넓이는 100으로 보았 을 때, 하위 10, 50, 90%에 해당하는 입도를 각각 D(10), D(50), D(90) 으로 표기하였다. D(50) 기준 침상 코크스는 11.8 μm [D(10): 4.25 μm, D(90): 22.56 μm], NCP82-500은 13.33 μm [D(10): 7.24 μm, D(90): 28.25 μm], NCP73-500은 14.37 μm [D(10): 6.88 μm, D(90): 28.94 μm]이며, 코팅 후 전체적으로 그래프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공정 중 투입된 피치에 의해 입도가 증가하는 것 으로 사료된다. 또한, 침상 코크스 입도 분석 결과 중 1 μm 부근의 미세 입자의 피크가 코팅 후 사라진다. Taleghania 등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극 소재의 bi-modal의 입도 분포에서의 입도 차이는 입자간 전류 밀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전류 불균일성을 야기하며 셀 분극(cell polariz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15]. 위의 미세 입자 제어 는 피치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여 침상 코크스의 미세 입자가 응집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Figure 3, Table 1은 코팅 공정, 탄화 온도에 따른 XRD 그래프와 계산된 d(002), Lc값이다. XRD 그래프에서 피크의 intensity, 2 theta,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이용하여 d(002), Lc를 계산하 였으며
식 (1), (2)를 사용하였다[16]. XRD 그래프에서 탄소소재의 처리 온 도가 상승할수록 XRD 피크의 강도가 증가하고 좁아지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romm 등의 보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열처리 온도가 오를수록 d(002)에 해당하는 피크는 blue shift되며 피 크의 강도가 증가하고 반폭값이 줄어든다. 이러한 현상은 homogeneous graphitization과 함께, 002 면의 층간 간격의 감소를 의미한다 [17]. Figure 3(a)는 침상 코크스와 침상 코크스를 2400 ℃ 고온 열처 리한 소재의 XRD 데이터이다. XRD 피크를 분석하면 침상 코크스는 흑연의 층 구조가 발달된 것을 알 수 있으며, 2400 ℃ 고온 열처리 후에도 구조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Figure 3(b)는 침상 코크스 와 피치의 비율을 조절하여 소재를 제조한 후 1300 ℃로 열처리하여 제조된 소재의 XRD 그래프이다. Figure 3(a)의 침상 코크스와 비교하 여 상대적으로 비정질의 탄소가 코팅되어 002 피크의 FWHM이 증가 한 것을 알 수 있다[18]. Figure 3(c)는 Figure 3(b)와 같은 방법으로 소재를 제조한 후 2400 ℃로 고온 열처리하여 제조된 소재의 XRD 그 래프이다. 코팅 후 2400 ℃로 열처리된 샘플은 Figure 3(b)에 비해 결 정성이 증가하였지만, NC-2400 샘플과 비교하면 낮은 결정성을 보이 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온도에서 흑연화 하였을 때, 침상 코크스가 흑연 구조로 더 잘 발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외부의 코팅 층은 turbostratic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2. 제조 공정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
위와 같은 소재의 구조 발달의 차이에 따른 전기화학적 결과를 분 석하기 위하여 초기 충/방전 분석, 속도 특성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Figure 4에 결과를 도시하였다. Figure 4(a)는 NCP82-1300, NCP 73-1300의 충/방전 그래프이며, 비교를 위하여 NC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지의 초기 충/방전 그래프를 추가하였다. NC, NCP82-1300, NCP73-1300의 초기 쿨롱 효율은 각각 79.7, 82.6, 83.1%로 측정되었 다. 침상 코크스와 비교하여 비정질 탄소로 코팅된 소재가 높은 초기 쿨롱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침상 코크스의 SEM 이미지에서 관찰되었던 날카로운 파단면이 피치 코팅에 의해 제어되 어 안정된 SEI층을 형성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초기 비가역 용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는 Sethuraman 등의 연구 결과와 같이 소재의 모 서리 부분에서 발생된 비표면적의 증가는 SEI층 생성과 같은 부반응 이 더 많이 일어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19]. SEI층 생성 반응은 전해액, 리튬 이온, 전자 등이 참여하며 SEI층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날 수록 초기 쿨롱 효율이 감소된다. 또한 XRD 그래프에서 침상 코크스 는 흑연과 같은 구조 발달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초기 충/방전 그래프에서 보통의 흑연 소재의 그래프에서 관찰할 수 있는 0.2 V vs Li/Li+ 이하에서의 리튬의 삽입과 관련된 평탄 구간이 관찰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선 초기 충/방전 그래프와 같이 침상 코크스의 모서리 면에서 과다하게 발달한 SEI 층으로 인하여 증 가된 저항으로 인해 리튬 이온의 삽입 전위가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 코팅층이 있는 소재는 모두 비정질의 탄소에서 관찰 되는 0.8~1 V vs. Li/Li+에서의 SEI 층 생성을 나타내는 완만한 충/방 전 곡선과 0.5 V vs. Li/Li+ 그 이하의 전위에서 관찰되는 평탄 구간을 모두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코팅 공정 후 제어된 모서리 부분으로 인 하여 안정된 SEI층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저항이 감소되어 나타 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20].
Figure 4(b)는 코팅 공정 후 2400 ℃ 고온 탄화를 거친 소재를 이용 한 전지의 초기 충/방전 그래프이다. Figure 4(a)와 같이 비교를 위해 침상 코크스를 2400 ℃로 탄화한 소재를 이용한 전지의 초기 충/방전 그래프를 추가하였다. 초기 쿨롱 효율은 NC-2400, NCP73-2400, NCP82-2400 각각 92.6, 88.4, 84.2%의 초기 효율을 보였다. Figure 4(a)의 충/방전 그래프와 비교하여 평균 전위가 낮아지는 것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특히 NC-2400는 0.5 V vs. Li+/Li 이하에서의 평탄 구간 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측정되었다. 이는 탄화 온도 상승에 따른 구조 발달에 의한 것으로 앞선 Figure 4(a)와 다르게 전체적으로 구조 발달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20].
Figure 4(c)는 Figure 4(a)에서 분석된 시료의 충/방전 속도에 따른 용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NC, NCP82-1300, NCP73-1300 시료의 0.1C/10C 효율은 각각 61.3, 55.1, 77.4%로 측정되었다. Figure 4(d)는 Figure 4(b)에서 분석된 시료의 충/방전 속도에 따른 용량을 측정한 그 래프이다. NC-2400, NCP82-2400, NCP73-2400 시료의 0.1C/10C 효율 은 각각 45.2, 87.0, 93.7%로 측정되었다. 또한 NC-2400 시료는 2C-rate 의 전류까지는 속도 특성이 유지되지만, 5C 이후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Figure 4(b)에서 NC-2400 시료는 0.5 V vs. Li/Li+ 이후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가 완료된 것으 로 측정된다. 이것은 시료의 모서리 부분이 노출된 형태로 인하여 전 극의 저항이 높아 생기는 현상으로, 빠른 속도로 리튬 이온의 이동이 진행될 때, 이온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써 생긴 현상이다. 결론적으로 모든 음극 소재가 피치 코팅 후 속도 특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으 며, 이는 탄소 코팅을 통해 침상 코크스의 접촉 저항과 내부 저항이 감소하여 생긴 결과로 사료된다.
Figure 5는 속도 특성 실험 결과를 충/방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5(b), (c)의 NCP82-1300, NCP73-1300 시료는 코팅을 안 한 NC 시료와 비교하여 초기 리튬 이온 탈리 전압이 높게 분석되었다가 낮 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표면 코팅 층의 저항 및 리튬 이온 이동 과 관련된 것으로 NC와 비교하여 낮은 결정성의 코팅 층으로 인하여 생기는 저항에 의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위의 현상은 2400 ℃로 열처 리 하였을 때,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높은 온도의 열처리로 인하여 코팅 층의 결정성이 향상되고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계 면에서의 저항은 리튬 탈리 속도 및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은 리튬 탈리 시 초기 전압으로 간접적으로 예측 가능하다. NC-2400은 2C에서 약 0.6 V vs. Li/Li+의 전압이 측정되는데, NCP82-2400, NCP73-2400은 더 낮은 전압에서 리튬 이온의 탈리가 시작된다. 이는 Figure 4의 결과와 같이 탄소 코팅을 통한 접촉 저항 및 내부 저항의 감소로 설명된다[21].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고속 분쇄/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침상 코크스의 분 쇄 후, 피치를 투입하여 침상 코크스 표면에 코팅 층을 생성하였다. 고속 분쇄/코팅 공정의 입자간 충돌에 의한 분쇄 특성을 이용하여 피 치가 침상 코크스에 코팅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탄화-흑연 화하여 음극 소재를 제조 후 물리적,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진행하 였다. 제조된 음극재는 침상 코크스의 모서리 면이 피치 코팅에 의하 여 완화되었으며, 이는 리튬 이차 전지의 대표적인 부반응인 SEI층 생 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완화된 모서리 면과 이에 의하여 제어된 SEI 층의 생성은 높은 방전 속도에서 향상 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