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고령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피부노화의 원인으로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산화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피부에 충분한 양의 항산화 물질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1-3]. 피부과학(dermatology)과 화장품(cosmetic)의 합 성어인 ‘derma-cosmetic’과 화장품과 pharmaceutical의 합성어인 ‘cosmeceuticals’ 과 같이 치료성분과 화장품을 결합시켜 만든 새로운 제품 들에 대한 구매도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화제의 유해성에 따 른 우려로 인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유화제와 유화 안정제 (emulsion stabilizer)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꽃망울(Flos Sophorae Immaturus) 은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소염, 항균, 피부노화 예방 등 에 효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회화나무는 강한 생명력으 로 생장성이 우수하며, 예로부터 해열, 해독 등의 효능으로 약차로 음 용되고 있다. 회화나무꽃은 채집에 편리하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천연 유화제 인 sugar ester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인 sugar substituent를 가지고 있는 비이온성 유화제이다[7-10]. 유화제 성분중 하나인 sucrose 안에 유리상태의 free hydroxyl groups을 가지기 때문 에 다양한 지방산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화공정을 통해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cosmeceuticals을 제조하였다. 유화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중 하나인 Box-Behnken 설계모델(Box-Behnken design model, BBD) 을 이용하였다.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 할 수 있는 설계 방법으로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과 비교하여 실험을 여러 번 시행할 필요가 없으며 같은 독립변수가 있는 경우 BBD-RSM이 더 경제적이다[11-13]. 본 연구에 서는 BBD-RSM의 반응치(response)로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mean droplet size, MDS), 점도,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 등을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BD-RSM 로부터 산출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3개 반응치를 동시에 최적화시 킴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실험방법
2.1. 유화액의 제조과정
항산화 기능성 물질로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추출공정에 대한 최적 화 결과 추출시간(2.13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2.89 vol.%), 추출온 도(50.42 ℃)에서 전통용매 추출공정으로 추출하였다[14]. 균일한 유 화액을 제조하기 위해 식품,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 용되는 O/W형 유화액을 선택하였다. 수상과 유상으로는 각각 초순수 (Vivagenen EXL-III)와 coconut oil (Junsei Chemical Co., Ltd, Japan) 을 이용하며 유화과정에 사용된 유화제는 천연유화제인 sugar ester를 수상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유화액의 총 질량을 200.0 g, 유상과 수 상의 질량비(O/W ratio)를 2 : 8로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high-speed emulsifier (Homomixer Mark Ⅱ, T.K. Primix)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때 유화온도는 75 ℃로 고정하였으며, 유화제의 첨가 량(1.0~3.0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0.4~2.0 wt.%), 유화시간 (10~30 min), 유화속도(3000~7000 rpm)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유화과 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 후 유화액은 정제수로 냉각시켜 25 ℃인 incubator에 7 day 간 보관하였다.
2.2. O/W유화액의 물성 평가
O/W유화액의 물성 평가를 위해 평균액적크기 및 점도를 측정하였 다. 연구과정 중 coconut oil과 sugar ester 혼합된 유화액의 평균액적 크기 및 점도는 7 day 간 creaming 과정 중 배치시간에 따라 계속 증 가하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creaming 과정 이 끝난 날짜인 7 day차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측정 시 평균액적크 기와 점도를 똑같이 상온(24 ± 3 ℃)에서 측정하였으며 평균액적크기 의 경우는 ZETA Sizer (Zen 3600, Malvern)을 이용하여 10회로 반복 측정하고, 점도의 경우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를 이용하여 각 조건에서 5회 반복 측정하였다.
2.3. 유화안정성 평가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는 유화액의 creaming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유화 액 제조 후 7 day 간 25 ℃의 incubator에서 밀폐된 glass cell로 보관 하여 creaming 과정이 끝난 7 day차 이후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이 때 유화액 상부 creaming층과 하부 serum층으로 분리되어 ESI는 각 층의 부피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여기서 Hserum은 하부 serum층의 높이이고, H은 전체 유화액의 높 이이다[15-16].
3. 결과 및 고찰
3.1. BBD-RSM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
본 연구에서는 BB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설계하기 위 해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 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MDS, 점도, ESI를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기초실험으로부터 계량인자의 범위를 유 화제의 첨가량(2~2.5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0.8~1.2 wt.%), 유화시간(15~20 min) 및 유화속도(5000~6000 rpm)로 설정하였으며 유화액의 물성 및 유화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반응치를 분석하였 다.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독립변수의 비선형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실험에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요인의 BBD-RSM을 통해 Table 1과 같이 27번의 실험을 수행함으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 였다[16,17].
Table 2에서는 유화액의 MDS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통해 F-value, P-value 및 결정계수(R2)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음 식 은 반응치인 MDS (M)에 대한 각 독립변수들의 2차 회귀방정식이다.
여기서 x1, x2, x3, x4는 각각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 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이다. Table 2로부터 결정계수 R2 = 87.01로 나타나며, P-value가 0.014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R2값은 100에 가 까울수록 우수한 최적화 과정을 의미하며, P-value가 0.05보다 큰 경 우에 실험데이터와 회귀방정식은 정규분포에 부합하며 최적화 효과 가 뚜렷한 것으로 판단한다. 각 독립변수의 P-value 및 F-value은 대응 한 독립변수의 중요도를 확인한 척도로 보통 함께 분석하며, P-value 작을수록 동시에 F-value 클수록 경우는 더 중요한 독립변수로 판단할 수 있다[18,19]. 여기서 각 독립변수의 P-value는 x1 = 0.039, x2 = 0.023, x3 = 0.545, x4 = 0.277로 산출되어 MDS만 고려할 경우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x2)의 P-value가 가장 작고 F-value가 가장 크게 나타나 주효과도가 가장 높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일 경우 각 독립변수간 교호효과도를 분석한 필요가 있다. 교호효과도는 계량인자인 독립변수가 2개 이상일 경우 인자수준의 조합에서 일어나는 효과를 나타낸다. Table 2에 나타낸 x1x2, x1x3, x1x4, x2x3, x2x4, x3x4는 각각 (유화제의 첨가량 × 회화나 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시간),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속도),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 유화시간), (회화나무꽃 추 출물 첨가량 × 유화속도), (유화시간 × 유화속도)이며, x1x3의 P-value 가 가장 작고 F-value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시간)의 교호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를 확인하기 위해 BBD-RSM에 의해 4가지 계량인자에 따라 O/W 유 화액의 MDS의 3차원 그래프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독립변수들 2개 고정하여 2개 변화함으로 MDS에 대한 미친 영향 및 서로의 교호효과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림을 통해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시간)은 MDS에 대한 제일 큰 영 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통계학부터 분석한 결과와 다른 결과를 나 타내었다. 이는 MDS의 경우 P-value가 0.05보다 작기 때문에 실험결 과와 회귀방정식부터 예측경향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 화액의 MDS가 1900 nm 이하를 나타내는 유화제의 첨가량 범위는 약 2.2~2.4 wt.%이었으며,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은 0.96~1.12 wt.%, 유화시간은 17~19 min, 그리고 유화속도는 약 5400~5800 rpm이다. 또한 BBD-RSM에 의해 계산된 최적조건에서의 MDS값은 1871.67 nm로 산출되었다.
유화액의 점도는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점도가 클 수록 유화액의 안정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유화액의 점도 가 큰 경우 액적 간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에 의해 불규칙한 운동효과가 약해져 액적 간 충돌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는 BBD-RSM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점도(V)에 대한 2차 회귀방정 식을 산출하였다.
Table 2를 해 R2 = 94.73로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P-value가 0.06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학적 이론부터 정규분포 로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개 독립변수 중 회화나무꽃 추 출물 첨가량인 x2의 P-value가 0.001로 가장 작고 F-value가 67.18로 가장 크게 나타나 주효과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호효과도의 경우는 (유화제의 첨가량 ×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 량)인 x1x2의 경우 가장 작은 P-value = 0.254와 가장 큰 F-value = 1.43로 나타내 유화액의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교호효과도임 을 알 수 있었다. Figure 2는 이러한 통계학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BBD-RSM에 의해 설정된 계량인자에 따른 O/W 유화액의 점도 3차 원 경향을 나타난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통해 독립변수가 2개 고정하 여 유화제의 첨가량 및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만 변화시킬 경우 역시 점도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유화액의 점도가 1800 cP 이상을 나타내는 유화제의 첨가량의 범 위는 2.2 wt.% 이상이었으며,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은 0.9~1.1 wt.%, 유화시간은 17 min 이상, 그리고 유화속도는 5400~5800 rpm로 나타났다. 또한 최적조건에서의 유화액의 점도는 1797.63 cP이었다.
실제 유화액의 안정도에 따른 평가와 그 기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유화안정도지수(ESI)라는 유화안정도 기준을 만족하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9]. 본 연구에도 여러 독립변수에 따른 유화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ESI (E)를 반응치로 설정하여 BBD-RSM에 의해 계산된 2차 회귀방정 식을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여기서 x1, x2, x3, x4는 마찬가지로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이며, 통계학적 분석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BBD-RSM 최적화 결과 R2 = 82.73로 산출되었으며, P-value는 0.184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의해 통계학적 이론을 활 용하여 ESI의 경우에는 BBD-RSM을 통해 계산된 회귀방정식은 정규 분포에 부합하였다. 또한 유화액의 ESI에 미치는 주효과도 분석 결과 4개 독립변수 중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인 x2의 P-value가 0.004로 가장 작게 나타난 동시에 F-value가 13.09로 가장 크게 나타나기 때문 에 주효과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교호효과도의 경우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시간)인 x1x3는 가장 작은 P-value (0.152) 및 가장 큰 F-value (2.34)로 나타나 교호효과도 가 제일 큰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확인 위해 Figure 3과 같이 계량인자에 따라 제조된 O/W 유화액의 ESI에 대한 3차원 그래 프를 나타내었다. 그림을 통해 각 조건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보였 다. 이는 BBD-RSM 분석 결과 R2 = 82.73로 상대 작게 나타나 최적 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Figure 3을 통해 유화 액의 ESI값이 90% 이상을 나타내는 유화제의 첨가량의 범위는 약 2.2~2.4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은 1.0~1.08 wt.%, 유화시간 18 min, 그리고 유화속도는 5600 rpm로 나타났다. 또한 최적조건에서 의 유화액의 ESI는 93.84%로 산출되었다.
통계학적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독립변수의 ± 10% 변화에 따른 MDS의 변화를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유화액의 MDS의 경우 최적유화제 첨가량의 경우 2.28 wt.%을 기준으로 ±0.05 wt.%, 최적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은 1.03 wt.%을 기준으로 ± 0.04 wt.%, 최 적유화시간은 17.93 min을 기준으로 ± 0.5 min, 그리고 최적유화속도 의 경우 5404.04 rpm을 기준으로 ± 100 rpm을 각 조건을 ± 10% 범위 로 설정하였다. 그림을 통해 독립변수 중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변화에 따른 유화액의 MDS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앞서 통계학 분석 결과와 일치한 결과이다. 유화액의 점도의 경우 점도만 고려하여 계산된 최적조건인 유화제의 첨가량 2.37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1.06 wt.%, 유화시간 17.63 min, 유화속도 5639 rpm을 기준으로 ± 10%의 조건에서 분석한 결과 최적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 가량인 x2가 상대으로 주효과도가 크게 나타났다. 유화액의 ESI의 경 우에는 ESI만 고려하여 계산된 최적조건인 유화제의 첨가량 2.29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1.05 wt.%, 유화시간 17.73 min, 유화속도 5545.45 rpm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유화액의 ESI의 분석 결과 주효 과도는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인 x2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2. 종합만족도 평가
본 연구에서는 4개의 독립변수에 따른 3개의 반응치를 각각 최적화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개의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BBD-RSM의 독립변수인 유화제의 첨가량(x1),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x2), 유화시간(x3), 유화속도(x4)에 따라 반응치인 O/W 유화액의 MDS (M), 점도(V)와 ESI (E)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최적조 건을 도출한 결과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2.28 wt.%), 회화나무 꽃 추출물 첨가량(1.05 wt.%), 유화시간(17.78 min), 그리고 유화속도 (5505 rpm)로 산출되었다. BBD-RSM 다중분석 최적화 그래프는 Figure 5에 나타내었다. BBD-RSM 최적화 분석을 통해 4개 독립변수 함께 고려한 최적조건에서의 예측 MDS는 1875.53 nm, 점도는 1789.66 cP, ESI는 93.81%로 산출되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실험을 진 행한 결과 O/W 유화액의 MDS는 1963.68 nm로 오차율 4.7%, 점도는 1812.93 nm로 오차율 1.3%, ESI는 91.99%로 오차율 1.9%를 나타내 었다. 각 반응치의 예측값과 실제 실험결과의 오차율은 모두 5% 이내 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O/W 유화액 제조과정에 BBD-RSM 최적화 분석을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ugar ester를 유화액계에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하여 cosmeceuticals을 제조하 고, BBD-RSM을 통해 유화과정을 최적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BBD-RSM의 반응치인 유화액의 MDS, 점도 그리고 ESI 모두 4 가지 독립변수 중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이 주효과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호효과도는 MDS의 경우 (유화시간 × 유화속도), 점도 의 경우 (유화제의 첨가량 ×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ESI의 경우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
하나의 반응치만을 고려한 BBD-RSM 최적화 결과 유화액의 MDS 의 경우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2.28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1.03 wt.%), 유화시간(17.93 min), 유화속도(5404 rpm)이었으 며, 유화액의 점도의 경우에는 유화제의 첨가량(2.37 wt.%), 회화나무 꽃 추출물 첨가량(1.06 wt.%), 유화시간(17.63 min), 유화속도(5639 rpm), 그리고 ESI의 경우에는 유화제의 첨가량(2.29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1.05 wt.%), 유화시간(17.73 min), 유화속도(5545 rpm) 로 산출되었다.
-
BBD-RSM 분석을 이용하여 3개의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 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2.28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1.05 wt.%), 유화시간(17.78 min), 유화속도(5505 rpm)이었으며, 이 조건에 서의 예측 반응치는 MDS (1875.5 nm), 점도(1789.7 cP), ESI (93.8%) 이었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 실험결과 오차율은 모두 5% 이하로 나 타나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한 cosmeceuticals의 제조공정에서 BBD-RSM을 적용할 경우 우수한 최적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