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과학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의 삶의 리듬은 점점 빨라 지고, 생활의 흐름이 불안정하여 사람들의 피부노화속도가 크게 빨라 지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의 요구도 예전보다 훨씬 높아지고 있다. 화 장품은 유럽규정(EC) No.1223/2009에서 인체의 외부부위(피부, 머리, 손톱, 입술 및 외부 생식기) 또는 치아와 구강점막을 청결하게 위한 혼합물로 정의된다. 화장품은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 주로 개인위생, 피부보호 그리고 외모변화를 위한 것이다 [1,2]. 최근 들어 화장품 원료로 천연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기능 성 오일 및 천연계면활성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오일로 coconut oil을 선정하고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 를 이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Coconut oil은 질병을 일으키 는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그리고 기생충을 죽일 수 있는 천연의 종합적인 항균 능력을 가지고 있어 식품, 의약 및 다양한 산업에 이용 되고 있다. 또한 용융점이 24~27 ℃로 낮고, 세포 간 긴밀함을 끌어올 려 모공의 수축력을 강화시켜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준다[3,4]. 혼합 계면활성제는 두 가지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 로 계면활성제의 화학구조로부터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value (HLB value)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분류한다. HLB value는 계면활성 제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정도를 나타내며, HLB value = 10을 기준으 로 HLB value가 클수록 친수성이 강하며 작을수록 친유성이 큰 성질 을 의미한다[5-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오일인 coconut oil과 혼합계면활성제 인 Tween 80/Span 80을 이용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유 화과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중 중심합성계획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을 적용하여 두 가지 이상의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을 결정 하였다. CCD-RSM의 독립변수로는 HLB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 량, 유화속도를 설정하였으며,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 치로는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균액적크기(MDS), 유화 안정도지수(ESI) 및 열적 불안정도지수(TII) 등을 설정하여 유화안정 성을 평가하였다.
2. 실험 방법
2.1. O/W 유화액의 제조
본 연구에서는 O/W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Tween-Span계 계면 활성제인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Tween 80, HLB value = 14.9)과 sorbitan monostearate (Span 80, HLB value = 4.0)를 혼 합하여 사용하였다. 수상으로는 초순수 (Vivagenen EXL-III)를 사용하 였으며 유상은 천연 오일인 coconut oil (Junsei Chemical Co., Ltd, Japan)을 사용하였다. Coconut oil은 lauric acid라는 항산화 물질이 포 함되어 있으며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효과가 있고 보습효과가 뛰 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또한 실험에 사용된 혼합계면활성제는 다 음의 식을 이용하여 HLB value 범위를 조절하였다.
O/W 유화액의 총 질량을 200.0 g로 고정한 후 O/W ratio를 2 : 8로 설정하였다. 수상성분과 유상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각 조건별 질량비 에 맞춰 계량한 후 water bath에서 75 ℃로 예열 용해하였다. 유화속도 는 변수로 설정하여 high-speed emulsifier (Homomixer Mark II, T.K. Primix)를 이용하여 10 min 동안 교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유화 가 끝난 유화액은 정제수로 부피를 보정하고 35 ℃로 냉각시킨 후 25 ℃의 incubator에 보관하였다.
2.2. O/W 유화액의 특성 및 안정성 평가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mean droplet size, MDS)와 zeta-potential은 ZETA Sizer (Zen 3600, Malvern)와 광학현미경(KB-320, Optinity)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유화액의 MDS는 유화액 제조 후 7일차까 지 상온(24 ± 3 ℃)에서 유화액 0.1 mL를 기준으로 연속상(continuous phase)인 증류수 100 mL에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유화액은 제조 후 시간이 지나면서 분리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유화액의 안정 성과 관련이 있다. 유화액의 안정성이 떨어질수록 분리현상이 뚜렷해 진다[9].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는 조제된 유화 액을 유리병에 넣어 1 month 동안 상온에 보관하고 분리 후 수층과 serum층의 비교결과이다. ESI는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Hserum은 하층부 serum층의 높이이고, Htotal은 전체 유화액 의 높이이다. 본 연구에서는 3번의 반복실험을 통해 평균값을 사용하 였다.
상온 조건에서의 안정성 외에도 유화액은 고온조건에서의 안정성 도 중요하다. 유화액의 열적 불안정도지수(thermal instability index, TII) 는 상온(25 ℃)과 고온(90 ℃)의 조건에서 6회(1회 24 h) 번갈아 놓고 마지막으로 분리 정도를 측정한다. 유화액은 고온조건에서 오일층을 분리하기 때문에 TII의 계산방법은 ESI와 차이가 있으며, 다음의 식으 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Hserum은 하층부 serum층의 높이이고, Hoil은 상층부 기름층 의 높이이며, Htotal은 전체 유화액의 높이를 의미한다. TII는 3번의 반 복실험을 통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CCD-RSM의 설계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 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한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통계학적 분 석방법인 CCD-RSM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CD-RSM을 통해 3개의 연속 요인 수를 설정한 후 반응표면설계를 생성하였다. 3개의 연속 요인과 각 요인의 범위는 기초실험으로부터 HLB value (8.0~ 10.0),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7.5~10.0 wt.%), 유화속도(5,000~7,000 rpm)로 설정하였다[10]. 각 변수범위에 따라 20번의 표면설계를 생성 하였고 그에 따른 반응치인 MDS (Y1), ESI (Y2), TII (Y3)를 Table 1 과 같이 입력한 후 CCD-RSM 분석을 진행하였다. Table 1의 실험결 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독립변수에 따른 각 반응치를 2차 회귀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MDS는 O/W 유화액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MDS가 작을수록 화장품의 안정성은 향상된다[11].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CCD-RSM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반응치인 O/W 유화액의 MDS (Y1)를 독립변수인 HLB value (x1),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x2), 유화 속도(x3)로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산출되었다.
Figure 1은 CCD-RSM를 이용하여 얻은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MDS 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을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를 나타낸 그 림이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O/W 유화액의 MDS는 140~190 nm 범 위를 나타내었으며, HLB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및 유화속도 가 증가함에 따라 O/W 유화액의 MDS는 감소하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CD-RSM으로부터 산출된 회귀방정식을 통해 추출공 정 독립변수의 주효과도, 교호효과도, 적합성 결여 등을 판단할 수 있 다. 효과도가 실험에 독립변수의 영향도 지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유화속도 = 2,585.3 : 1,305.5 : 1.0의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수가 함께 반응치에 영향을 미치는 교호 효과도인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HLB value × 유화 속도)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유화속도)의 비율은 1,817.30 : 1.35 : 1.0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의 독립변수 중 HLB value의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화액 의 MDS만을 고려했을 때의 최적조건은 HLB value (9.08), 혼합계면 활성제 첨가량(8.73 wt.%), 유화속도(6,288.8 rpm)로 산출되었다.
O/W 유화액의 안정도에 따른 평가와 그 기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ESI라는 유화안정도 기준을 만족하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다음 식은 반응표 면분석법의 반응치인 ESI (Y2)를 독립변수인 HLB value (x1), 혼합계 면활성제 첨가량(x2), 유화속도(x3)를 이용하여 나타낸 2차 회귀방정 식이다.
Figure 2는 CCD-RSM를 이용하여 얻은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ESI 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을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를 나타낸 그 림이다. HLB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및 유화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SI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회귀방정식 을 통해 추출공정 독립변수의 주효과도, 교호효과도, 적합성 결여 등 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효과도인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 제 첨가량 : 유화속도 = 3,045.0 : 1,549.5 : 1.0의 비율로 나타났다. 또 한 교호효과도인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HLB value × 유화속도)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유화속도)의 비율은 4,570.6 : 0.96 : 1.0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화액의 ESI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은 HLB value = 9.12,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8.69 wt.%, 유화속도 = 6,254.8 rpm로 나타났다.
TII는 제조한 유화액의 열적 불안정성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O/W 유화액의 동결융해과정을 통해 유화상태의 열역학적 안정성 및 물성 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평가방법이다. 다음 식은 CCD-RSM의 반응 치인 TII (Y3)를 독립변수인 HLB value (x1),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x2), 유화속도(x3)를 이용하여 나타낸 2차 회귀방정식이다.
Figure 3은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TII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 을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HLB value, 혼합계 면활성제 첨가량 및 유화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II는 감소하다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회귀방정식을 통해 추출공정 독립변수 의 주효과도, 교호효과도, 적합성 결여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 의 주효과도인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유화속도 = 3,004.1 : 1,427.4 : 1.0의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교호효과도인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 (HLB value × 유화속도) : (혼합계 면활성제 첨가량 × 유화속도)의 비율은 63,000 : 12 : 1로 나타났다. 유화액의 TII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은 HLB value (9.12), 혼합계면활성 제 첨가량(8.73 wt.%), 유화속도(6,288.8 rpm)이다.
Figure 4는 MDS에 대한 나타낸 95% 신뢰구간 내의 확률도를 나타 낸 그림이다. 본 연구에서 통계학적 방법으로 normal distribution 이론을 이용하였다. P-value (유의확률 값)란 실험값의 검정 통계량이 귀무가 설을 지지하는 정도를 확률로 표현한 것으로 P-value가 작을수록 귀무 가설을 지지하는 정도가 약하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게 된다. P-value 가 유의수준보다 작으면 귀무가설 하에 일반적인 형상이 아니므로 귀 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되며 일반적인 유의수준으 로는 5.0%를 설정한다[13]. 본 연구에서의 P-value는 5.2%로 나타났 다. 유화액의 ESI와 TII에 대한 평균값은 각각 92.8와 8.144이었으며, 표준편차의 값은 각각 4.688과 4.971로 나타났다.
Figure 5는 독립변수변화가 유화액의 MDS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 세히 알아보기 위해 각 독립변수들의 변수범위의 10%를 증가 또는 감 소시켜 나타낸 perturbation 곡선이다. 독립변수인 HLB value의 경우 최적조건을 기준으로 ± 0.2,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의 경우 최적조건 을 기준으로 ± 0.25 wt.%, 그리고 유화속도의 경우 최적조건을 기준으 로 ± 200 rpm을 ± 10%로 설정하였다. 모든 독립변수의 경우 O/W 유 화액의 MDS 및 TII는 감소하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SI 의 경우는 반대로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HLB value가 모든 반응치에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이나 유화속도에 비해 상대적 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다중반응 최적화
본 연구에서는 3개의 독립변수에 따른 3개의 반응치를 적용한 최적 화과정의 종합만족도 그래프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CCD-RSM의 독립변수인 HLB value,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 유화속도의 변화에 따라 반응치인 MDS, ESI, TII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최적조건을 도출 한 결과이다. 그림을 통해 종합만족도(comprehensive satisfaction, D) 는 0.9891로 알 수 있으며, 최적조건은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 (9.1),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8.73 wt.%), 유화속도(6,200.8 rpm)로 도 출되었다. 각 독립변수를 모두 고려하여 얻던 예상 결과는 MDS (151.0 nm), ESI (99.86%), TII (3.1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 실험 결과 MDS (156.2 nm), ESI (99.61%), TII (3.20%)로 나타났으며, 오차 율은 각각 3.4, 0.3, 0.9%이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Tween-Span계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oconut oil 의 유화과정을 CC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 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유화액의 MDS, ESI, TII 모두 독립변수 중 HLB value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교호효과도는 (HLB value × 유화속도)가 크게 나타났다. 하나의 반응치만을 고려한 최적조건은 유화액의 MDS의 경 우 HLB value (9.08), 혼합계면활성제 첨가량(8.73 wt.%), 유화속도 (6,288.8 rpm)로 산출되었으며 유화액의 ESI와 TII의 경우 HLB value = 9.12로 유화액의 MDS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다.
-
CCD-RSM을 이용하여 3가지 반응치인 유화액의 MDS, ESI, TII 를 동시에 만족하는 독립변수의 영향으로 주효과도는 HLB value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교호효과도는 (HLB value × 혼합계면활성제 첨 가량)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CD-RSM에 의해 산출된 최적조건은 혼합계면활성제의 HLB value (9.1), 혼합계면활성 제 첨가량(8.73 wt.%), 유화속도(6,200.8 rpm)이었고. 실제 실험 결과 오차율은 3.5% 이내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예상 반응치는 O/W 유화액의 MDS (151.0 nm), ESI (99.86%), TII (3.1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