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1980년 산업 혁명 이후 화석연료에 대한 소비가 늘어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세계 평균기온이 상승하였 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는 세계평균 기온 상승에 대한 영향을 발표하면서 그 위험성을 경고하였으며[1], 이 에 대하여 국제사회는 교토 의정서 체결을 시작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해왔다[2].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인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대체 에너지 연 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바이오매스(biomass)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3].
바이오매스는 동⋅식물을 비롯한 유기생명체의 총칭이며 넓게는 조류(algae), 유기성 폐기물인 분뇨, 하수 슬러지, 음식 폐기물도 포함 하므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4]. 또한 바이오매스는 이산화탄소를 흡 수하는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고, 연소 시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배출시키는 탄소 중립적 특성(carbon neutral)이 있으므로[5] 이산화탄 소 배출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에너지원 중 하나이다. 하지만 화석연 료에 비해 수분함량이 많고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다. 따라서 가스화와 같은 열화학적 변환을 통해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공정이 필요하며, 식 (1)과 같이 바이오매스가 약 500~900 ℃에서 공기와 반 응하여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으로 구성된 ‘producer gas’를 생성 한다[6-8].
가스화로 생성된 producer gas는 열 및 전기 생산, 연료전지의 연료, 액체연료 합성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가스화 과정에서 타르(tar)를 비 롯하여 ash, char 등의 입자상 물질이 생성되며, 이러한 불순물의 존재 는 배관에 축적되어 막힘 현상을 일으키거나, 발전용 터빈을 손상시 키는 문제를 야기하므로, 제거가 필요하다[7,9].
타르는 다양한 탄화수소의 복합체이며 점성이 있는 물질로써, 바이 오매스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의 분해로부터 발생되는데, 대부분 리그닌 성분의 분해로 생성된다[10]. 선행연구자들은 타르에 대해 흡수, 흡착, 여과의 방법 등으로 제거를 시도하였으며, 그 중에서 흡수의 방법은 스크러버를 통한 흡수제거, 여과의 방법으로는 필터를 통한 제거방법이 있다[5,9,11]. 흡수를 통한 타르 제거의 경우, 일반적 으로 세정액으로써 물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타르는 비극성 물질이므 로 흡수율이 낮아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나므로, 같은 비극성 물질인 oily material을 세정액으로써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5,12], 필터 를 통한 타르제거의 경우 고온의 영역에서 촉매연소에 의한 타르의 분해가 진행될 수 있도록 세라믹 필터를 사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3,14]. 하지만 세라믹 필터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낮고, 소요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9,15]. 이에 대하여 세라믹 필터와 같이 입자에 대 한 제거효율이 높고 중⋅고온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섬유재질 필터를 사용해 타르를 비롯한 입자를 제거하는 시도도 있었으나 필터 표면에 서 응축된 타르로 인해 필터의 여과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필터 눈 막 힘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했다[9,16]. 이러한 문 제에 대하여 Eberhard 등[17]이 제안한 pre-coating 기술을 적용해 producer gas 중의 타르 및 입자를 제거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Pre-coating 기술은 여과 개시 전 pre-coat 물질을 주입해 필터 표면에 mm 단 위의 얇은 층을 형성하여 필터 표면을 보호하면서 여과효율을 상승시 켜주는 기술이다[17-19].
본 연구에서는 섬유재질 필터를 이용하여 타르를 비롯한 입자상물 질을 제거하였으며, 필터 장치로 유입되는 타르의 양을 조절하기 위 해 집진장치 전단에 스크러버를 도입하고, 그 유무에 따른 집진장치 에서의 타르 및 입자에 대한 제거효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 크러버에 사용되는 흡수용매로써 타르에 대한 흡수 효율이 좋은 대두 유를 사용하였고[20], 집진장치에는 pre-coating 기술을 도입하여 producer gas 중 존재하는 타르로 인해 발생되는 필터 눈 막힘 현상 등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Pre-coat 물질로는 점착성을 가진 입자 제거에 대 하여 99%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인 소석회[19]와 함께 타르를 비롯한 유기물질 흡착능력이 있는 활성탄을 선정하여[16,20], producer gas 중 tar 및 입자가 필터 표면에 형성된 pre-coating 층에서 제거가 될 수 있 도록 하였다.
2. 실 험
2.1. 가스화 장치
2.1.1. 가스화 반응기
반응기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는 층 물질(bed material) 의 존재로 반응기 내부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고, 유지되며 연료가 투입되었을 때 효율적으로 반응이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는 기포 유동 층 반응기(bubbling fluidized bed)를 이용하였으며[21] 크기는 직경 10 cm, 높이 100 cm이다. Figure 1에 보이는 것처럼 반응기 상단에 설치 된 screw feeder가 연료를 공급한다.
2.1.2. 층 물질(Bed material)
유동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geldart particle classification B 그 룹에 속하는 입자를 선정하였으며[22], 평균입도 301 μm, 겉보기 밀도 (bulk density) 1,290 kg/m3, 입자 밀도(apparent density)가 2,580 kg/m3 인 규사를 사용하였다.
2.1.3. 바이오매스
가스화에 사용된 연료로서 (주)세종 산림조합에서 시판중인 직경 5 mm의 목재펠릿을 적용하였으며, 길이 10~20 mm 크기로 분쇄한 후 사용하였다. 물성 분석을 위해 공업분석(proximate-analysis), 원소분석 (ultimate analysis)을 진행하였고, 각각 ELTRA (TGA-Thermostep, GmbH, Germany)와 EA112/FLASH2000 (Flash-Smart EA, Thermo Fisher, US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2.2. 스크러버 장치
SUS 재질로 직경 15 cm, 높이 30 cm의 흡수병(impinger) 형태로 제 작하였으며, 이중관 형태의 구조로써 내부에는 흡수 용매를 채우고, 외 부에는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였다. 스크러버 장 치에 사용되는 흡수용매로서는 타르와 같이 비극성이면서 흡수율이 좋은 대두유(soybean oil)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Table 2 에 나타내었다.
2.3. 집진장치
2.3.1. 필터 재질
사전 실험을 통해 pre-coat 물질을 충분히 여과시켜주면서 부착되는 양이 많고, 필터에 걸리는 차압이 낮게 나타난 필터 재질로서 PPS (poly phenylene sulfide)를 사용하였으며, 필터는 (주)창명산업으로부터 직 경 10 cm, 높이 20 cm인 백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2.3.2. Pre-coat 물질
Pre-coating 진행 시 사용할 코팅 물질로서 분말 소석회, 목질계 분 말 활성탄(wood-char)을 사용하였고, 여과 개시 전 screw feeder를 통 해 일정량을 균일한 투입 속도로 주입하였으며, 집진장치 전단에 공 기를 주입하면서 pre-coat 물질이 장치 내로 유입되어 필터 표면에 입 자층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Pre-coat 물질별 물리적 특성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2.3.3. Fly ash
당진 화력발전소의 fly ash를 사용하였으며, 성분 분석정보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2.4. 실험 방법
가스화 생성가스 중 타르 및 입자제거 실험에 앞서 소석회, 활성탄 (wood char) 분말을 pre-coat 물질로 선정하여 필터 표면에 코팅을 진 행한 뒤 1 m/min의 여과속도로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screw feeder를 통해 fly ash를 분당 5 g 속도로 투입하고 grimm dust monitor (Dust spectrometer ver1.108, Grimm, Germany)로 백 필터 전 후단 입자개수 를 비교하여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10 s 간격 으로 차압변화를 기록하였으며, 차압이 100 mmH2O에 도달하게 되면 5 bar, 1~2 ms 간격으로 pulse-jet 탈진을 진행하고 난 뒤, pre-coat 물 질 투입으로 재 코팅을 진행하였다. 적절한 코팅 두께를 선정하기 위 해 필터에 걸리는 차압이 40, 60, 80 mmH2O가 될 때까지 pre-coat 물 질 투입으로 코팅을 진행한 후 코팅 전후 필터 무게 차이를 통해 부착 량을 측정하고, pre-coat 물질의 밀도, 공극률을 기반으로 식 (2)를 통 해 코팅 두께를 계산하였으며, 각 두께별로 fly ash 제거효율과 코팅 후 여과 진행시간, 잔류차압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코팅 두께로 pre-coating을 진행하였으며 producer gas 중 타르 및 입자 제 거 실험에 적용하였다.
‘L’은 coating 두께(mm)를 나타내며, ‘Wp’는 필터 표면에 부착된 pre-coat 물질의 양(g), ‘A’는 여과면적(m2), ‘ρ’는 pre-coat 물질의 밀도 (kg/m3)를 나타낸다[19].
가스화는 수소의 수율이 높게 나타난 ER (equivalence ratio, 공연 비) 범위인 0.25로 진행하였으며[23], 온도는 840~850 ℃, 압력은 100 mmH2O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였다. 가스화 반응으로 생성된 producer gas는 사이클론과 열 교환기를 지나 집진장치로 유입되는데, 이때 열 교환기까지 연결된 배관과 사이클론은 타르의 응집을 막기 위해 300 ℃로 유지하였고[24], 열교환기로부터 집진장치까지의 배관은 70~90 ℃로 유지하였다. Figure 1의 ‘1’ 경로로 producer gas를 집진장치로 유 입시키기 전 필터에 pre-coating을 진행하여 코팅 여부에 따른 타르 및 입자제거 효율 변화를 비교하였고, 제거효율 및 차압변화 측정은 fly ash 제거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는 한편, 차압변화가 일정하게 유지 될 때 pulse-jet 탈진을 진행하였다. 이후 Figure 1의 ‘2’ 경로와 같이 집진장치 전단에 스크러버를 도입하여 타르 및 입자 제거효율의 변화 를 관찰하였다. 스크러버의 경우 용매 온도를 상온과 저온으로 각각 유지하였을 때 타르 및 입자 제거효율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용매 온 도를 0과 20 ℃를 유지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Pre-coating 후 필터여과 성능
3.1.1. 필터 후단 fly ash 입자개수 변화
Figure 2는 fly ash를 집진장치로 투입하며 필터 후단에서의 입자 개수를 측정한 결과이며, pre-coating은 차압 60 mmH2O에 도달할 때 까지 진행하였다. Pre-coating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 0.5~2 μm 입 자가 대부분 필터를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re-coating 진행 후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크기 범위가 1 μm보다 작은 입자크기로 줄어들 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터 표면에 생성된 pre-coating 층이 필터를 투 과하는 입자로부터 보호 역할 및 새로운 필터의 기능을 함으로써 기 존 PPS 필터에서 제거하지 못하고 투과되던 입자까지도 코팅 층에서 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 수가 감 소한 것으로 사료된다[19,25]. Pre-coat 물질별로는 소석회 코팅을 사 용한 경우(■)에서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 수가 더 적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석회 코팅이 활성탄 코팅(▲)에 비해 더 좋은 여과 성능을 보 여줌을 알 수 있다.
3.1.2. Pre-coat 물질별 여과 진행시간, 잔류차압변화
총 10회의 여과 cycle 동안 여과 개시부터 탈진까지 걸린 시간을 측 정하여 Figure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6번째 여과 개시 이전까지는 pre-coat 물질을 통한 coating으로 여과가 일부 진행되었기 때문에 순 수하게 fly ash만을 제거하는 여과시간이 pre-coating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가 더 길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6번째 이후부터 pre-coating을 적용한 경우(●, ▲)가 더 긴 시간 동안 여과 진행이 가 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Schiller 등[26]의 실험결과와 유사하게 여과 개시부터 최고 차압까지 소요되는 시간(이하 여과 진행시간)이 여과 cycle별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 이 pre-coating 층이 필터 보호층 및 새로운 필터역할을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pre-coat 물질별로는 필터 보호효과가 좋게 나타났 던 소석회를 코팅재로 사용했을 때(▲) 더 긴 시간동안 효과적인 여과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잔류차압의 경우 일반적인 필터에 대하여 Figure 4의 pre-coating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와 같이 필터를 통과한 일부 입자가 필터 내부 에 잔존하여 pulse-jet 탈진으로도 완전히 탈진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 하는데, 이러한 입자의 축적으로 인해 여과 cycle이 반복됨에 따라 잔 류 차압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pre-coating 적용 후 (■, ▲) 코팅층으로 인해 pulse jet 탈진 후에도 필터 내에 잔류하는 입자량을 줄여줌으로써 잔류차압변화가 적게 나타났다[19,27].
3.1.3. 코팅 두께에 따른 여과성능 변화
적절한 코팅 두께를 선정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필터 표면 부착량이 활성탄에 비해 많았던 소석회를 pre-coat 물질로 사용하였 다. 40, 60, 80 mmH2O에서 나타난 코팅 두께는 각각 평균 0.5, 0.7, 0.9 mm로 계산되었으며, Figure 5(a)에는 각 코팅 두께별, 여과 cycle 별 여과 개시부터 탈진 시까지 소요된 시간을 표시하였다. Fly ash 입 자 제거효율에 있어서는 모든 두께에 대하여 0.3~10 μm 입자크기에 대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코팅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고차압 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감소하였으나, 여과 cycle이 지속됨에 따라서는 0.7 mm 이상으로 코팅을 진행하였을 때(▲, ◆), 일정한 여과시간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께가 0.5 mm (●)인 경우는 형성된 입자층 이 얇아 필터보호층 역할을 충분히 해주지 못하기 때문에[19] Figure 5(b)에 나타난 잔류차압변화처럼 두께 0.7, 0.9 mm에 비해 잔류차압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0.9 mm의 경우(◆)에는 필터보호역할은 하지 만 fly ash 입자 여과 개시 때 80 mmH2O의 높은 차압을 나타내고 있 으므로 실험용 코팅 두께로 선정하기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따 라서 본 실험에 사용할 코팅 두께를 0.7 mm로 선정하였다.
3.2. 가스화 생성가스 중 타르 및 입자 제거
3.2.1. Tar 및 입자 제거효율
가스화 생성가스 중 타르 및 입자 제거를 위해 집진장치, 스크러버 를 사용하였으며, 집진장치에 pre-coating 적용 전(Figure 6, × 기호)에 는 타르로 인해 필터표면에 눈 막힘 현상 등이 발생하였고, 집진장치 로 유입되는 입자크기가 대부분 2 μm 이하였기 때문에 필터를 대부 분 통과하여 타르 및 입자 제거효율이 약 50%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16]. 그러나 pre-coating에 의해 필터 표면에 생성된 입자층이 타르입 자로부터 필터를 보호함에 따라 평균 제거효율이 소석회 코팅에서 86%, 활성탄 코팅에서 80%로 나타났다.
집진장치 전단에 스크러버 도입 후(Figure 6; ■, ▲)에는 집진장치 에서의 타르 및 입자 제거효율과 여과 진행시간이 증가하였는데, 스 크러버에 사용된 용매인 대두유가 구성 성분으로써 유기산을 함유하 고 있으며, 타르와 같은 비극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28] 가스화 과정 에서 생성된 producer gas 중의 타르가 스크러버에서 흡수 제거됨으로 써 집진장치로 유입되는 타르의 양이 저감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여과 진행시간의 경우, 소석회 코팅[Figure 6(a)]에서 집진장치 만 사용하였을 때인 4 min에서 6 min으로 증가하였고, 활성탄 코팅 [Figure 6(b)]에서는 1 min 30 s에서 2 min 30 s로 증가하여 스크러버 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여과 진행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용매 온도에 따라서는 온도를 0 ℃로 유지한 경우(▲)에서 가장 긴 시 간 여과가 지속될 수 있었는데, 0 ℃인 경우 타르의 응축량이 상온에 비해 많아졌으며 흡수 용매의 점도 또한 증가하여 타르흡수를 통한 제거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11,29].
용매온도에 따른 여과 진행시간은 소석회 코팅의 경우에서 상온일 때 약 5 min간 진행이 가능하였으나 0 ℃일 때 6 min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활성탄 코팅의 경우, 상온일 때 약 2 min, 0 ℃일 때 2 min 30 s로 나타났으며, 평균 효율은 소석회 코팅이 상온에서 87%, 0 ℃일 때 88%, 활성탄은 상온에서 82%, 0 ℃일 때 83%로 집진장치만 사용한 결 과와 유사하게 소석회 코팅이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앞서 3.1.3 에서 언급한 것처럼 pre-coat 물질 중에 소석회가 활성탄에 비해 필터 표면 부착량이 더 많아서 활성탄 코팅에 비해 두꺼운 코팅층이 형성 되었고, 그 결과 필터표면의 코팅층에서 활성탄 코팅에 비해 더 많은 타르 및 입자를 제거가 가능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3.2.2. 차압변화 및 잔류차압
타르 및 입자를 제거하면서 나타난 차압변화 양상은 Figure 7에 나 타난 것과 같이 3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코팅층에서 타르 를 흡수하면서 점진적으로 차압이 증가하는 단계, 흡수된 타르로 인 해 코팅 입자간 응집이 발생하면서 그 구조층이 변화하면서 순간적으 로 차압이 증가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입자층 구조 변화가 끝나고 차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30]. 차압변화를 통 해 Figure 6과 같이 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제거효율이 감소되는 이유 를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차압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두 번째 단계에 들어설 때에 입자층에 흡수된 타르에 의해 변형된 입자 층 구조가 필 터보호역할을 하지 못해 제거효율이 감소되거나 입자층에 흡수된 타 르가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다시 유입(re-entrainment)되는 현상 을 이유로 들 수 있다[31]. 재유입 되는 현상의 경우 액상입자는 고상 입자와 다르게 입자간 인력이 약해 필터에서 한번 여과된 이후에도 유동성이 있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쉽게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차압변화 단계 이후로는 입자층을 통과하거나 필터 후단으로 다시 유입되는 입자 양이 일정해지면서 차압변화도 일정하게 유지된 다. 이때 여과 효율의 경우 Zhang 등[30]의 실험에서는 여과효율이 감 소하였다가 초기 여과효율로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본 실험 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Gac 등[31]이 언급한 바와 같이 타르로 인 하여 입자층의 구조가 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차압이 유 지되는 구간에서는 입자층에서 흡수된 타르에 의해 필터가 오염되고, 탈진 후에도 필터표면에 남아있는 pre-coat 물질로 인해 잔류차압이 상 승하여 다음 여과 진행에 영향을 주므로, 안정적으로 연속 운전을 하 기 위해서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점에서 pulse jet 탈진을 진 행하였다.
스크러버 도입 후(Figure 7; ■, ●) 시간에 따른 차압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용매가 저온일 때 가장 느리게 차압이 변화하였다. 소석 회 코팅의 경우 타르 및 입자 제거가 스크러버 사용이 없을 때 약 4 min간 진행 가능했던 반면에, 스크러버 도입 후 약 5 min 30 s로, 활 성탄의 경우 집진장치만 사용한 경우 1 min 30 s에서 스크러버 도입 후 약 2 min 30 s로 증가하였다(스크러버 용매 온도 0 ℃ 기준).
탈진 후 잔류 차압변화 또한 Figure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호효 과가 뛰어났던 소석회 코팅의 경우가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으며, 스 크러버에 투입되는 용매 온도가 낮을수록 잔류차압변화도 적게 나타 났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매를 저온으로 유지했을 때 스크 러버에서 타르의 흡수량이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s 6과 7을 놓고 보았을 때 스크러버 용매 온도에 따라 제거효 율, 차압변화, 잔류차압변화에 차이가 있었으나 상온으로 용매를 유지 시킨 경우 평균 제거효율이 87%, 여과 진행이 가능한 시간이 약 4 min 30 s로 나타남으로써 0 ℃로 유지시켰을 때와 크게 차이가 없었 으며, Figure 8에 나타난 여과 cycle별 잔류 차압변화에 있어서도 거의 비슷한 변화를 보였기 때문에 용매를 0 ℃로 냉각 및 유지시키는 동 력비를 고려한다면 상온에서 스크러버를 운전시키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PPS 필터에 소석회, 활성탄의 두 가지 pre-coat 물질을 사용하여 pre-coating을 진행 후 fly ash 입자 제거 실험을 진행한 결과 pre-coat 물질로 생성시킨 입자층이 새로운 여과 및 보호기능을 함으로써 기존 PPS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 수가 감소하였으며, 필터를 통과하는 입자 크기 또한 0.5~2 μm 범위에서 1 μm 이하로 줄었다. Pre-coat 물질별 로는 소석회를 사용하였을 때 활성탄보다 적은 입자수가 통과되므로 소석회 코팅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과 cycle별 잔류 차압변 화 또한 소석회를 사용한 경우가 적었다. 가스화 생성가스 중 타르 및 입자 제거실험에서도 fly ash 입자 제거실험과 동일하게 소석회를 pre-coat 물질로 사용했을 때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고 더 긴 시간 타르 및 입자 제거 진행이 가능하였기에 가스화 공정에서도 소석회 코팅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선택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집진장치 전단 에 대두유를 용매로 사용하는 스크러버를 사용한다면 더 긴 시간 안 정적인 집진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크러버에 사용되는 용매의 경우 온도가 낮을수록 타르 입자 평균 제거효율이 양호하였으나 경제 성을 고려한다면 상온에서 진행하는 것이 보다 더 적절한 선택인 것 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