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들어 피부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화장품 제조분야에 인 체친화적인 물질의 사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 오일 중 coconut oil은 식용기름으로 풍부한 포화 지방을 가지고 있어 유화과정 후 훌륭한 항산화 및 방부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응용화 학, 식품화학, 의약화학 또한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1,2]. 또한 천연 유화제인 sugar ester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인 sugar substituent를 가지고 있는 비이온성 유화제 이다. Sucrose는 극성 머리 원자단(polar head group)이며, 지방산이 소 수성(apolar group)으로 구성되어 있다. Sucrose 안에 유리상태의 수산 기(free hydroxyl groups)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방산과 결합 하여 광범위의 HLB 값(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value) 조절이 가 능하다[3-6]. 이러한 양친매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sugar ester는 유 화과정의 비이온성 유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sugar ester를 사용하여 제조한 O/W 유화액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최적 제조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 합성계획모델을 통해 두 가지 이상의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조건을 결정하는데 활용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은 화장품 분야의 연 구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반응표면분석법이란 실험 계획법(design of experiment)의 종류 중 하나로 실제 공정의 실험을 바탕으로 경향성을 분석해 회귀방정식을 유도하고 목표값에 최적화 시키는 분석방법이 다. 이는 상호 작용을 독립 변수의 효과 정의뿐만 아니라 변수 사이의 주효과도를 최적화할 수 있어 현재 코팅, 식품, 촉매 등 다양한 분야 에서 적용되고 있다[7,8]. 반응표면분석법에서는 실험목적의 달성에 직결된 품질 특성을 나타내는 반응치(response, y), 인자들이 실험 중 에 취하는 값 또는 조절조건인 수준(level), 반응치에 영향을 주리라 기대되는 변수인 계량인자(quantitative factor) 및 계수인자(qualitative factor), 주어진 결과값과 인자변화의 관계를 설명하는 수학적 관계인 모델, 그리고 계량인자가 반응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주효과도 (main effect) 및 계량인자가 두 개 이상일 때 인자수준의 조합에서 일 어나는 효과를 나타낸 교호효과도(interaction effect) 등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mean droplet size), 유화안정도지 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를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 설정 하였고, 유화과정의 계량인자로는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 량 등을 설정하였다.
2. 실험방법
2.1. O/W 유화액의 유화과정
O/W 유화액의 제조를 위해 수상과 유상으로는 각각 초순수(Vivagenen EXL-III)와 coconut oil (Junsei Chemical Co., Ltd, Japan)을 이 용하였다. 유화과정에 사용된 유화제는 천연유화제인 sugar ester를 수 상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유상과 수상의 질량비(O/W ratio)를 2 : 8 로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high-speed emulsifier (Homomixer Mark II, T.K. Primix)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때 유화온도는 75 ℃ 로 고정하였으며, 유화시간(10~25 min), 유화속도(4,000~7,000 rpm), 유화제의 첨가량(1.0~2.5 wt.%)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유화과정을 수 행하였다. 유화과정 후 유화액은 정제수로 냉각시켜 25 ℃인 incubator 에 7 days간 보관하였다.
2.2. O/W 유화액의 물성 측정
O/W 유화액의 물성 평가를 위해 점도, 평균입자크기, zeta-potential 등을 측정하였다. 유화액의 점도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5회 반복 측정 하였다. 또한 평균입자크기와 zeta-potential은 Zeta Sizer (Zen 3600, Malvern)을 이용하여 10회 반복 측정하였다. 유화액의 점도, 평균액정 크기 및 zeta-potential은 유화액 제조 후 경과시간 7 days차까지 상온(24 ± 3 ℃)에서 측정하였다.
2.3. 유화안정성 평가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화안정도지수(ESI)는 유화액의 creaming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유화액 제조 후 7 days간 25 ℃ 의 incubator에서 밀폐된 glass cell로 보관하여 유화액 상부 creaming층 과 하부 serum층으로 분리시키고 각 층의 부피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 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서 Hserum은 하부 serum층의 높이이고, Htotal는 전체 유화액의 높이이다. 따라서 ESI가 100에 가까울수록 유화액의 안정성이 좋은 것 으로 평가할 수 있다[9-11].
3. 결과 및 고찰
3.1.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최적화 과정
본 연구에서는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O/W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 7 days 경과 후 ESI를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 설정하고, 유화과 정의 계량인자로는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 등을 설정하 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기초실험으로부터 계량인자의 범위를 유화시간(20~25 min), 유화속도(6,000~7,000 rpm), 유화제의 첨가량 (2.0~2.5 wt.%)으로 설정하였다. 유화과정의 최적화를 위해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 설계된 20개의 실험조건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반응 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점유형(point type) 분석을 수행하였다. 점유 형 분석에서는 높은 반응치를 갖는 점유형을 1, 낮은 반응치를 갖는 것을 -1, 중간값은 0으로 표현한다. 이 반응치를 바탕으로 점유형이 0 인 변수는 유화시간 22.5 min, 유화속도 6,500 rpm, 유화제의 첨가량 2.25 wt.%로 경향성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총 6번 반복실험을 진 행한다. 또한 점유형 1의 변수는 중간값에서 모두 분산되어 있으며, 반 응치에 높은 영향을 끼치는 지점이다. 점유형이 -1인 변수는 낮은 반 응치를 갖는 지점으로 3변수 중 2변수가 중간값을 갖고, 1변수만 반응 치가 낮은 지점으로 한 변수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한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점유형이 0인 중간값에서의 결과 유화액의 점도 1,704.5 cP, 평균입자크기 1,890 nm, 7 days 경과 후 ESI는 93%이고 오차범위 는 ± 1%로 나타났다. 이는 중심합성계획법을 사용하기 적합한 실험이 라고 판단된다.
Figure 1은 중심합성계획모델에 의해 설정된 계량인자에 따라 제조 된 O/W 유화액의 점도를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로 나타낸 그림이 다. 유화액의 점도가 클수록 유화액적의 brown 운동에 의한 분자 간 불규칙한 운동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충돌을 피하는 능력 이 생기므로 유화액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화액의 점도는 유화액의 안정성과 정비례 관계가 있다. 이러한 3차원 그림을 이용하 여 관측에 대한 변수의 주효과도, 교호효과도 등을 종합하여 회귀방 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설계된 O/W 유화액 의 점도에 대한 중심합성계획모델의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V 반응표면분석법에서 반응치로 설정된 O/W 유화액의 점도이고, 계량인자인 x1, x2, x3는 각각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이다. 회귀방정식으로부터 O/W 유화액에 미치는 각 계량인자 의 주효과도는 (유화시간) : (유화속도) : (유화제의 첨가량)의 비율 62.13 : 1.0 : 1,680.66로 나타났으며, 교호효과도인 (유화시간 × 유화 속도) : (유화시간 × 유화제의 첨가량) : (유화속도 × 유화제의 첨가량) 의 비율은 1.0 : 3,565.22 : 21.30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O/W 유화액 의 점도에 미치는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함께 고려할 경우 유화제 의 첨가량이 O/W 유화액의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가지 계량인자인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화액의 점도는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O/W 유화액의 점도만을 고려할 경우 반응표면분석법으로 계산된 최 적 유화조건은 유화시간(23.14 min), 유화속도(6,644.40 rpm) 및 유화 제의 첨가량(2.31 wt.%)이고, 이때 O/W 유화액의 점도는 1,708.1 cP 로 예측할 수 있다.
Figure 2는 중심합성계획모델에 의해 설정된 계량인자에 따라 제조 된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를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로 나타낸 그림이다.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는 유화액의 액적 분산도를 나타내 며, 유화액의 안정성이 좋을 경우 작은 평균입자크기를 갖는다. 세 가지 계량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는 감소하다 증가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설계된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에 대한 중심합성계획모델의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S는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이고, 계량인자인 x1, x2, x3 는 각각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이다. 회귀방정식으로부 터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에 대해 계량인자들의 주효과도는 (유 화시간) : (유화속도) : (유화제의 첨가량)은 -79.35 : 1.0 : -2,945.48로 나타났으며, 교호효과도는 (유화시간 × 유화속도) : (유화시간 × 유화 제의 첨가량) : (유화속도 × 유화제의 첨가량)의 비율은 1.0 : 1,598.25 : 1.62로 나타났다.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만을 고려할 경우 반 응표면분석법으로부터 계산된 최적 유화조건은 유화시간(22.50 min), 유화속도(6,593.43 rpm) 및 유화제의 첨가량(2.29 wt.%)이고, 이때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는 1,876.6 nm로 예측된다.
Figure 3은 중심합성계획모델에 의해 설정된 계량인자에 따라 제조 된 O/W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ESI를 3차원 그래프와 등고선도로 나타낸 그림이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설계된 O/W 유화액의 평균 입자크기에 대한 중심합성계획모델의 회귀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E는 O/W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ESI이고, 계량인자인 x1, x2, x3는 각각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이다. 회귀방정식 으로부터 O/W 유화액의 ESI에 대해 주효과도는 (유화시간) : (유화속 도) : (유화제의 첨가량)은 89.06 : 1.0 : 3,058.82로 나타났으며, 교호효 과도는 (유화시간 × 유화속도) : (유화시간 × 유화제의 첨가량) : (유 화속도 × 유화제의 첨가량) = 1.0 : -3,600 : -6.0로 나타났다. 이를 통 해 O/W 유화액의 점도에 미치는 주효과도와 교호효과도를 함께 고려 할 경우 유화제의 첨가량이 O/W 유화액의 점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W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ESI만을 고려할 경우 최적 유화조건은 유화시간(22.20 min), 유화속도(6,627.41 rpm) 및 유화제의 첨가량(2.29 wt.%)이고, 이때 7 days 경과 후 O/W 유화 액의 ESI 예측값은 93.26%이다.
유화과정의 계량인자인 유화시간, 유화속도, 유화제의 첨가량 등의 주효과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 계량인자 증감에 따른 O/W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 7 days 경과 후 ESI의 변화를 Figure 4에 나타내 었다. 계량인자의 동일한 변수범위를 위해 각 계량인자의 증감범위를 최적조건을 기준으로 ± 10%인 유화시간(± 0.5 min), 유화속도(± 100 rpm), 유화제의 첨가량(± 0.05 wt.%)으로 설정하였다. O/W 유화액의 점도는 유화제의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의 순으로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O/W 유화액의 평균입자크기의 경우 유화 액의 첨가량이 다른 두 변수에 비해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O/W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ESI의 경우에는 모든 계량인자에 대해 유사 한 주효과도를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유화제의 첨가량이 유화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2. 종합만족도 평가
Coconut oil과 sugar ester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유화과정에서 O/W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 7 days 경과 후 ESI를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 건은 유화속도(6,627.41 rpm), 유화시간(22.63 min), 유화제의 첨가량 (2.29 wt.%)으로 산출되었으며, 최적화 종합만족도 그래프를 Figure 5 에 나타내었다. 최적화 과정의 종합만족도는 0.8848로 나타났으며, 이 러한 조건들에 중심합성계획모델을 통해 예상한 반응치가 각각 유화 액 점도(1,707.56 cP), 평균입자크기(1,877.05 nm), 7 days 경과 후 ESI (93.23%)로 나타났다. 최적조건 하에서 실제 실험을 진행한 결과 O/W 유화액의 점도(1,688 cP), 평균입자크기(1,902.3 nm), 7 days 경과 후 ESI (92.14%)로 측정되었으며, 평균오차율은 1.2 ± 0.1%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 유화안정도지수(ESI)를 반응표면분석법의 반응치로 설 정하고, 최적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유화액의 점도와 평균입자크기의 경우 계량인자 중 유화제의 첨 가량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점도만을 반응치로 고려한 경 우 최적유화조건은 유화시간(23.14 min), 유화속도(6,644.4 rpm), 유화 제의 첨가량(2.31 wt.%)이었고 평균입자크기만을 고려한 경우에는 유 화시간(22.50 min), 유화속도(6,593.4 rpm), 유화제의 첨가량(2.29 wt.%) 이었다.
-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ESI의 경우에는 세 가지 계량인자의 영 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7 days 경과 후 ESI만을 고려한 최적유화 조건은 유화시간(22.20 min), 유화속도(6,627.4 rpm), 유화제의 첨가량 (2.29 wt.%)이었다.
-
유화액의 점도, 평균입자크기, 7 dyas 경과 후 ESI 등 세 가지 반 응치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유화조건은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 획모델에 의해 유화시간(22.63 min), 유화속도(6,627.4 rpm) 및 유화제 의 첨가량(2.29 wt.%)으로 산출되었으며, 이때 유화액의 점도(1,707.56 cp), 평균입자크기(1,877.05 nm), 7 days 경과 후 ESI (93.23%)를 예측 할 수 있었다. 이때 종합만족도는 0.8848이었고, 이 조건에서의 실제 실험 결과 평균오차율은 1.2 ± 0.1%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