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휴대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전기, 전자 및 통신기기가 발달됨 에 따라 산업과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러한 전자기기의 사용은 전자파를 발생시키며, 전자파 간섭으로 전자 제품의 오작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자파는 인체에 흡수되어 질 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전자파 차폐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 나 금속 재료는 밀도가 높고, 낮은 내화학성, 부식성 및 높은 제조비 용을 갖는다는 단점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2,3].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믹, 고분자 및 탄소 재료를 금속 소재와 복합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4-6]. 이 중에서 탄소재료는 경량성 및 우수한 전기전도도로 인하여 전자파 차폐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종횡비, 매 우 낮은 밀도,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자파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재료로 여겨진다. 그러나 탄 소나노튜브는 탄소 층간의 반데르발스 인력으로 낮은 분산성을 가지 게 되는데, 이는 전도성 네트워크구조 형성에 영향을 주어, 전자파 차 폐 특성 향상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7,8]. 한편, 금속의 도입은 탄 소나노튜브 사이의 접촉매질로서 전자파 차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 어서, 금속이 도입된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전자파 차폐재로서 적용 이 가능하다[9]. 또한, 이렇게 도입된 금속은 전자기적 특성 가지며 전 자파 흡수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금속을 도입하는 방법은 스퍼터링 코팅, 물리 적 증착, 무전해 도금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무전해 도금은 전도체 가 없이도 수행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도금할 수 있고, 경제성이 우수 하다는 장점이 있다[11,12]. 따라서 Kim 등은 탄소나노튜브를 무전해 니켈도금하여 전자파 차폐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또한, Lee 등은 흑연섬유의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고자 무전해 구리 도금을 실시하는 등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탄소재료의 전기전도도 및 전자파 차폐 특성 향상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5,13]. 그러나 이 무전해 도금은 표면 결합성의 관능기가 없거나 매끄러운 표면에서는 도입되는 금속량과 표면의 촉매 반응을 조절하기 어렵다 는 단점이 있다[14-16].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Cao 등은 선택적 무전해 구리 도금을 위하여 PET 기판의 관능기를 바꾸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17]. 따라서 표면처리를 이용하여 재료 표면에 관능기 도입하는 방법은 무전해 도금의 양을 조절하고 균일한 도금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플라즈 마처리, 산처리, 전기화학적 산화, 오존처리, 불소화 및 함산소불소화 등이 알려져 있다[18]. 이 중, 함산소불소화는 산소와 불소 가스의 혼 합물을 이용한 직접 기상 표면처리 방법으로, 상온에서 촉매나 개시 제 없이 빠르게 반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함산소불소화는 비 교적 간단한 장비를 이용하여 표면 원소나 구조를 쉽게 조절하여 관 능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함산소불소화에 의해서 형성 된 산소 및 불소 관능기는 분산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20]. 따라서 함산소불소화는 다른 표면 처리보다 단시간 및 온화한 조건에서 간단하게 탄소나노튜브 표면의 관능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함산소불소화가 무전해 니켈도금 및 전자파 차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 브의 표면을 다양한 조건으로 함산소불화 표면처리 한 후, 무전해 니 켈도금을 수행하였다. 함산소불소화 정도에 따른 니켈도금의 양과 표 면 형상은 열중량 분석과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더 불어 함산소불소화의 조건에 따라 니켈도금된 탄소나노튜브의 전자 파 차폐 특성을 고찰하였다.
2. 실 험
2.1.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
본 실험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직경: 10~15 nm, 길 이: ~150 μm, CM-250, Hanhwa Chemical Co., Korea) 표면에 불소관 능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그 반응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반응기에 탄소나노튜브를 넣은 후, 질소 퍼징을 진행하였다. 이후 기상의 불소가스(99.8%, MesSER Griesheim GmbH, Germany)와 산소가스(99.999%)를 다양한 비율(O2 : F2 = 1 : 9 / 2 : 8 / 3 : 7)로 혼합 주입하여 25 ℃에서 10 min 간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1,21]. 제조된 샘플은 O2 : F2 분압비에 따라 각각 O1/F9, O2/F8 및 O3/F7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미처리 탄소나노튜브는 RCNT 라고 명명하였다.
2.2. 탄소나노튜브의 니켈도금
미처리 및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에 무전해 니켈도금을 하기 위 하여 우선, 예민화 및 활성화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니켈 환원을 위 한 Sn/Pd 핵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0.3 g의 미처리 또는 함산소 불화 탄소나노튜브를 SnCl2 (tin(II) chloride anhydrous, 95.0%, Junsei, Japan) 수용액에 넣고 10 min 간 교반하여 예민화를 실시하였다. 이후, 예민화 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PdCl2 (palladium(II) chloride, Aldrich, USA) 수용액에서 2 min 간 활성화를 진행하였다. 활성화 처리된 탄소 나노튜브는 수세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니켈도금 용액은 니켈 이온 공급체인 NiSO4 (nickel(II) sulfate hexahydrate, Aldrich, USA)와 환원 제인 H2NaOP⋅H2O (sodium hypophosphite monohydrate, Aldrich, USA) 그리고 착화제인 C6H5Na3O7⋅H2O (sodium citrate dehydrate)를 초순수에 일정 성분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5,13]. 일정한 pH로 조 절하기 위하여 제조된 도금용액에 NaOH (sodium hydroxide, Samchun, Korea)를 첨가하였고, 용액은 pH 7.5로 유지하였다. 미처리 및 함산소 불화 탄소나노튜브의 무전해 니켈도금은 60 ℃로 유지된 초음파 수조 에서 니켈도금 용액에 5 min 간 담지하여 수행하였다. 이후, 니켈도금 된 탄소나노튜브는 증류수로 5회 이상 수세 및 여과하였고, 80 ℃에 서 24 h 건조하였다.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 샘플들은 통합하여 Ni-OF-CNT라고 명명하였고, 함산소불소화 가스 분압비에 따라 Ni-O1/F9, Ni-O2/F8 및 Ni-O3/F7이라고 명명하였다. 미처리 탄 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도금한 경우, Ni-CNT라고 명명하였다.
2.3. 전자파 차폐 시편 제조
전자파 차폐 시편은 제조된 니켈도금 탄소나노튜브와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Aldrich, USA)를 8 : 2 비율로 혼합하고, NMP (1-methyl-2-pyrrolidone, 99.5%, Samchun, Korea)를 첨가하여 슬러리 를 제조하였다. 또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NMP의 양을 조절하였 고 균일한 분산을 위하여 6 h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슬러리를 폴리 이미드 필름(40 μm, Isoflex, Korea) 위에 250 μm 두께로 코팅하고 100 ℃에서 30 min 간 건조하였다. 제조된 샘플은 규격에 맞추어 외부 직 경 49 mm이고, 내부 직경이 6 mm인 고리모양으로 펀칭 기계를 이용 하여 전자파 차폐 시편을 제작하였다.
2.4. 함산소불소화 및 니켈도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물성 및 전 자파 차폐 특성 평가
미처리 및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원소 함량 및 표면 화 학 결합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X-선 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microscopy, XPS, Multi Lab 2000, Thermo Electron Co., England)을 실시하였다. 모든 샘플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0-9 mbar에서 처리되었다. 또한, 광원으로 AlKα (1,485.6 eV)를 이용하 였으며 에노드 전압 4.9 keV, 필라멘트 전류 4.6 A 그리고 방출 전류 20 mA 조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무전해 니켈도금으로 탄소나노튜브에 도입된 니켈의 양은 열중량 분 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SDT2960, TGA Instrument, USA) 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열중량 분석은 산소분위기에서 실시하였으 며 10 ℃/min의 속도로 25~970 ℃ 구간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니켈 도금된 탄소나노튜브의 다양한 표면 형상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5500, Hitachi, Japan, in KBSI Jeonju center)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전자파 차폐효율은 ASTM E 37 규격에 따라 전자파 차폐 측정기 (A333 network analyzer, Proteck, USA)를 이용하여 0~1.5 GHz의 주 파수 구간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전자파 차폐효율은 S-parameter (scattering parameter)로부터 계산되었다[22].
3. 결과 및 고찰
3.1.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화학적 특성
미처리 및 함산소불소화 정도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원소 함 량 및 결합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P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를 Figure 1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표면의 산소 와 불소 함량을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O/F 비율을 계산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Figure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XPS 결과는 285.4, 352.0 및 684.0 eV에서 탄소, 산소 및 불소 피크를 각각 나타내었으며 모든 샘플에서 가장 두드러진 피크는 C1s로 이는 탄소나노튜브의 주 피크로 확인되었다[18].
RCNT는 탄소 함량이 97.63%, 산소 함량이 2.37%로 나타났다. 탄 소나노튜브의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 후에는 불소 피크가 새롭게 나 타났으며 불소 가스의 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불소 피크의 세기가 증가하며, 그 함량이 최대 8.41%까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 가지로 불소 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탄 소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함산소불소화 시, 탄소나노튜브 표면이 산소 및 불소와 반응하여 관능기를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F 값은 불소가스의 부분압이 증가할수록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함산소불소화 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산소함량보다 불소함량이 더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사 료된다.
함산소불소화 조건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보다 자세한 표면 화학적 결합구조를 확인하고자 피크분석 프로그램(Unipress, USA)과 pseudo- Voigt 식 (1)을 이용하여 C1s 피크를 세부 피크로 분할하였다[23].
위 식에서 F(E)는 에너지의 E에서의 세기를 의미하고, H는 피크의 높이, E0는 중심값, FWHM은 피크의 반폭 값 그리고 S는 symmetry와 Gaussian-Lorentzian의 혼합 비율과 관련된 shape function을 나타낸다. 분할된 C1s의 세부 피크의 종류와 함량은 Table 2에 정리하였다. 또한 미처리 및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C1s 피크를 분할한 결과는 Figure 2에 나타내었다.
분할된 C1s의 세부피크는 284.5, 285.4, 286.4, 287.4, 289.3 및 290.5 eV에서 나타났으며 각각은 C-C(sp2), C-C(sp3) C-O, C=O, semi-ionic (반이온성) C-F 및 covalent (공유성) C-F으로 C(1)~C(5)라고 하였다. C(1)은 관능기가 도입되지 않은 C-C(sp2)결합으로 탄소나노튜브의 방 향족 고리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RCNT의 경우, C(1)의 함량이 83.75% 로 나타났다.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 후, RCNT와 비교하여 C(1)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O1/F9에서는 최대 C(1)이 10.73% 감소하였다. 또 한 함산소불소화 후, 산소 관능기에 해당하는 C(3) 및 C(4)가 증가하 였고, 불소 관능기에 해당하는 C(5) 및 C(6)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이 러한 표면의 산소 및 불소 관능기는 함산소불소화 시 불소 부분압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탄소재료 표면에서의 함산소불소화 메커니즘으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불소라디칼은 표면의 탄소결합과 반응하여 탄 소라디칼을 형성한다. 이러한 탄소라디칼은 산소 또는 불소가스와 반 응하여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산소 및 불소 관능기를 형성한다[24]. 따 라서 높은 부분압으로 불소가스를 반응기에 주입 시, 보다 많은 탄소 라디칼이 형성되고, 더 많은 산소 및 불소 관능기가 형성된다. 그러므 로 가장 높은 불소 부분압에서 처리된 O1/F9의 경우, C(3), C(4), C(5) 및 C(6)가 각각 2.97, 1.66, 6.07 및 3.07%로 산소 및 불소 관능기의 함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형성된 산소 관능기는 친수성을 향상시키고, 불소 관능기는 소수성과 낮은 활성을 야기하기 때문에 무전해 니켈도금에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된 다[19,20,25].
3.2.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열적 특성
니켈도금된 Ni-CNT, Ni-O1/F9, Ni-O2/F8 및 Ni-O3/F7와 미처리 탄 소나노튜브인 RCNT의 열적 특성과 도금된 니켈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 하여 TGA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Figure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RCNT는 500 ℃까지 중량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이후 100%까지 중량이 감소하였다. 이는 산소 분위기에서 열 분석 시, 탄소나노튜브가 열분해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반면, 니켈도금된 탄소나노튜브의 중량 감소는 RCNT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 어났으나 일정온도부터는 중량 감소 없이 무게를 유지하였다. 이는 탄 소나노튜브에 도입된 니켈로 인하여 열전도도가 향상되고 촉매 효과 가 촉진되어 열분해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진행되었으나 도금 된 니켈은 열분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26,27].
미처리 및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도금된 니켈의 양은 탄소나 노튜브가 모두 열분해되고 남은 970 ℃에서의 잔여량 변화로 평가하 였다. Ni-CNT의 경우, 잔여량이 39.65%로 나타났다. Ni-OF-CNT의 경 우, 잔여량이 27.96, 29.76 그리고 33.84%로 각각 Ni-O1/F9, Ni-O2/F8 및 Ni-O3/F7 샘플에 해당하는 값이다. 이로부터 함산소불소화 시 니 켈도금 양이 감소하며 불소 부분압이 높을수록 즉, 탄소나노튜브 표 면의 불소 관능기 양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는 다음의 Figure 4에 제시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에 니켈이 도 금되는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불소라디칼이 탄소나노튜 브 표면에 화학적 결합을 형성한 후, 탄소나노튜브는 액상의 금속용 액에서 무전해 니켈도금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semi-ionic 및 covalent C-F와 같은 불소 관능기가 도입되었고, 이는 소수성이어서 표면에너지를 낮아지게 하며 비접착성 표면특성을 나 타내어 여러 물질과의 접착성이 저하된다[22,23]. 결과적으로, 탄소나 노튜브의 불소관능기는 무전해 니켈 도입을 막을 수 있어서 함산소불 소화는 탄소나노튜브에 도입되는 니켈의 양과 전자파 차폐효율을 결 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3.3.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형상
RCNT와 미처리 및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니켈도금 후 표면 형상은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Figure 5에 나타내었다. Figure 5(a)에 나타내었듯이, RCNT는 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매끈한 표 면을 나타내었다. 반면, 무전해 니켈도금 후에는 도금된 탄소나노튜브 표면이 니켈 클러스터로 코팅되었으며 튜브 직경이 넓어진 것을 확인 하였다. Ni-CNT (Figure 5(b))는 RCNT와 비슷하게 선형의 배열을 보 였고, 내부에서 약간의 응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Ni-O1/F9는 탄 소나노튜브와 니켈 사이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네 트워크구조가 잘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니켈은 다른 Ni-O2/F8 및 Ni-O3/F7보다 Ni-O1/F9에서 더 균일하게 도금되어 있음을 확인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탄소나노튜브의 함산소불소화로 인하여 형성된 산소 및 불소 관능기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Kim 등은 함산소불화 탄소나노 튜브 표면에는 친수성 관능기인 산소관능기가 증가되어 물에서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28]. 또한, 함산소불화 탄소나 노튜브 표면의 다양한 관능기는 튜브와 튜브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탄소나노튜브의 응집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니켈은 함산소불화 탄 소나노튜브 표면에 균일하게 도금된 것으로 판단된다[29,30]. 따라서 함산소불소화는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사이의 효과적인 전도성 네트워 크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전자파 차폐효율 향 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전도성 네트워크의 형성이다. 따라 서 탄소나노튜브 표면의 균일한 금속 도금은 전도성 네트워크를 형성 하여 전자파 차폐효율을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31,32].
3.4.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전자파 차폐 특성
제조된 니켈도금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전자파 차폐 시편의 면저항은 각 조건당 5회 이상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Ni-CNT의 평균면저항은 50.05 Ω/m2이다. Ni-OF-CNT 는 모두 Ni-CNT보다 감소된 면저항을 나타내었으며, 함산소불소화의 불소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면저항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 히, Ni-O1/F9의 면저항은 41.70 Ω/m2으로 Ni-CNT보다 약 20% 가량 감소하였다. 이러한 면저항의 감소는 전기전도도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니켈도금 전 함산소불소화에 따라 전기전도도를 제어할 수 있었다[33].
또한, 전자파 차폐는 방사된 전자파의 흡수 및 반사와 관련이 있다 [34]. 총 전자파 차폐효율은 투과하는 동안에 일어난 전자파의 흡수 및 반사 손실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계산된 흡수차폐효율(SEA)과 반사차폐효율(SER)의 합으로 계산된다[35]. 차폐효율(shielding efficiency, SE)은 다음의 식 (2)에 나타내었다.
위 식의 P1과 P2는 각각 입사 및 투과되는 전자파의 힘(power)이며, E1과 E2는 입사 및 투과되는 전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36,37].
모든 샘플의 전자파 차폐효율 값은 0~1.5 G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ure 6에 나타내었다. 함산소불소화 처리를 수행한 모든 Ni-OF-CNT의 전자파 차폐효율은 Ni-CNT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면저항 시험과 일관된 결과로, 표면저항이 감소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자파 차폐효율이 향 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i-O1/F9에서는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최대 전자파 차폐효율을 나타내었으며, 1 GHz에서 약 19.4 dB 이상의 가장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RCNT의 전자파 차폐효율은 Ni-O1/F9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자파 차폐 시편 제조 시에 무게 비로 첨가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밀도 가 낮은 탄소나노튜브와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니켈이 도금된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하였기에 RCNT의 경우 Ni-O1/F9보다 많은 양의 탄 소나노튜브가 사용된 것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두 경우를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기에 탄소나 노튜브의 양과 평균 전자파 차폐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 Figure 7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 샘플의 탄소나노튜브의 양은 열중량분석에서 970 ℃의 잔여량으로 계산된 값이다. Figure 7에 나타내었듯이, RCNT와 Ni-O1/F9의 전자파 차폐 효율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Ni-O1/F9의 탄소나노튜브의 양은 RCNT보다 약 39% 감소되었다. 따라서 Ni-O1/F9는 훨씬 더 적은 탄 소나노튜브의 양으로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가 무전해 니켈도금과 전자파 차폐 특성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향상된 전자파 차폐 특성은 다음의 2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적 절하게 도금된 니켈의 양이다. 도금된 니켈의 양은 전자파 차폐효율 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니켈이 과하게 도금되었을 경우, 주어진 질량에서 탄소나노튜브의 양은 니켈의 높은 밀도 때문에 적어 진다. 적은 양의 탄소나노튜브는 탄소나노튜브를 연결하는 니켈의 양 이 증가하여도 전도성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충분하지 않아 전기전도 도를 향상시키기 어렵다[41]. 그러나 함산소불소화로 인해 탄소나노 튜브에 도입된 불소 관능기는 소수성으로 표면에 니켈이 과하게 도금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양의 니켈 도입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함 산소불소화는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산소 및 불소 관능기를 형성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응집을 막고 무전해 도금 용액에서의 분산성을 향상 시킨다. 또한, 표면에 형성된 관능기에 의하여 튜브간 거리가 증가되 어 반데르발스 힘이 약화되고, 표면의 극성 및 친수성을 나타내는 산 소관능기가 증가함에 따라 분산안정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30-32]. 따라서 무전해 도금 용액에서 잘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표면 에 균일하게 니켈도금이 가능하다. 또한, 균일하게 도금된 니켈은 효 과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연결시키며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 어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전자파 차폐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니켈도금 양과 도금 용액에서 향상된 분산성은 전자파 차폐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조한 무전해 니켈도금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전자파 차폐 특성을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 및 탄소나노튜브 강화 복합재 료 샘플과 비교하고자 다음의 Table 4에 정리하였다[5,16,38]. 이 결과 로부터 무전해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가 미처리 후, 니 켈도금된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나노튜브를 강화한 복합재료와 비교 하여 우수한 전자파 차폐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의 함산소불소화가 전자파 차폐 특성 향상에 효과적임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조된 무전해 니켈도금 탄소나노튜브가 상용 의 전자파 차폐재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상용제품 기준과 비 교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용의 전자파 차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 자파 차폐가 99%가량 되어야 하며 그 기준은 20 dB 이상이다. 본 논 문의 가장 우수한 조건인 Ni-O1/F9의 경우, 상용제품 기준과 유사한 수준으로 전자파 차폐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39,40].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함산소불소화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관능 기를 조절하고, 이의 니켈도금 양 및 전자파 차폐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을 고찰하고자 다앙한 분압비로 함산소불소화 표면처리 후, 무전해 니 켈도금을 수행하였다. XPS 결과로부터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함산소 불소화 표면처리는 산소 및 불소 관능기를 형성하며, O2 : F2 = 1 : 9 (O1/F9)로 처리된 탄소나노튜브에서 산소 및 불소 관능기가 가장 많 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GA 결과로부터 도금된 니켈의 양을 계 산하였으며, 그 양은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의 산소 및 불소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 튜브는 니켈도금된 미처리 탄소나노튜브보다 면저항이 감소하고 전자 파 차폐효율이 향상되었다. 특히, O2 : F2 = 1 : 9 (O1/F9)로 처리된 탄 소나노튜브를 니켈도금한 경우, 면저항이 약 20% 감소하였으며 1 GHz 에서 약 19.4 dB 이상의 가장 우수한 전자파 차폐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도입된 산소 및 불소 관능기의 영향으로, 소수성의 불소 관능기는 무전해 니켈도금에 영향을 미치며 적절한 양의 니켈을 도금시키고, 이 에 따라 전자파 차폐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산소 관능기는 탄소나노 튜브의 응집을 방지하여 도금 용액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 시키기 때문에 니켈이 균일하게 도금되고, 전도성 네트워크를 형성시 킨다. 결론적으로, 함산소불소화는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니켈도금 형 상 및 양에 영향을 미치며, 니켈도금된 함산소불화 탄소나노튜브는 전 자파 차폐효율 향상에 효과적인 재료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