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탄소 재료는 일반적으로 열 전도성과 전기 전도성, 내열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자, 전기, 우주항공 및 기계 분야에서 다 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탄소 재료인 흑연은 이차 전지용 음극 재, 우주항공기용 브레이크 패드, 철강 생산 및 알루미늄 제련용 전극봉 등으로 여러 분야의 산업에서 사용되며,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도록 고 밀도화, 고강도화 및 고결정성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1-8].
일반적으로 흑연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으로 크게 나뉘는데, 천연 흑연은 내부 결정구조가 불규칙하여 균일한 특성을 갖기 힘들기 때문 에 그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인조흑연을 제조하는 많은 연구가 진 행되어 오고 있다. 인조흑연은 내부 결정구조의 균일성이 높아 전기 제강용, 알루미늄 제련용, 전해로용 및 방전가공용 전극, 실리콘 반도 체 및 광섬유 등의 제조용 및 이차전지용 음극재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형상을 갖는 입체구조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조흑연은 전구체인 코크스와 바인더피치로부터 제조되며, 주재료인 코크스 입 자들을 바인더피치로 결합하여 형상을 갖는 탄소블럭으로 제조하고 고 온열처리를 통하여 결정성을 향상시켜 균일성이 높은 고결정성 흑연을 제조할 수 있다[9-14]. 인조흑연의 고결정성 및 고강도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온 열처리 전단계인 탄소블럭의 밀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이러한 탄소블럭은 코크스와 바인더피치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바인더피치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니딩(반죽) 공정을 거쳐 압출, 정수압 또는 몰드 성형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이때, 고밀도 탄소블럭을 제조하기 위하여 니딩공정에서 코크스 입자 표면에 바인더피치가 고르 게 결합되어야만 한다. 바인더피치는 연화점 이상 온도의 니딩공정에 서 연화되어 코크스의 표면 또는 기공에 젖어 들어서 제조되는 탄소블 럭의 공극률을 감소시켜 고밀도 탄소블럭을 제조할 수 있어야 하며, 이 를 위해서는 바인더피치와 코크스와의 우수한 표면 상호작용으로부터 젖음성이 향상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21].
본 연구에서는 탄소블럭 제조 시 밀도 향상을 위하여 개질 방법 및 공정이 비교적 용이한 불소화 표면처리법을 이용하여 코크스 표면에 불소 관능기를 도입하였다. 또한, 표면 개질된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의 젖음성을 평가하고 탄소블럭을 제조하여 밀도를 평가함으로써 불소 관능기의 도입 효과가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에 미치는 영 향과 탄소블럭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2. 실 험
2.1. 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서 탄소블럭 제조를 위한 필러로 사용된 등방 코크스는 1,300 ℃에서 열처리된 석유계 코크스로 (주)피엠씨텍으로부터 공급 받았고 결합재로 사용된 바인더피치는 연화점 107 ℃인 석탄계 피치 로 Baoshun Technology Co., Ltd.에서 공급받았으며, 코크스와 바인더 피치 모두 75 μm 이하의 입자 크기로 체분급하여 사용하였다. 코크스 는 불소가스(99.8% F2, Messer Grieheim GmbH, Germany)와 질소가 스(99.99% N2)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표면처리 하였다.
2.2. 불소화 표면처리
불소화 표면처리를 위하여 코크스 분말을 각각 5 g씩 1.6 L 부피의 회분식 반응기 내부에 넣고, 반응기 내부와 코크스 분말에 존재하는 수분을 포함한 휘발성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120 ℃에서 아르 곤 가스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진행한 후, 표면처리를 하였다. 이때 반 응기를 감압하면서 질소가스로 수회 퍼징시켜 내부를 비활성 분위기 로 유지한 후 반응기 압력이 상압이 되도록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불 소가스의 부분압력을 0.3 및 0.6으로 조절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미처 리된 코크스의 경우를 RC, 불소가스의 부분압력을 0.3 및 0.6으로 불 소화 표면처리 된 코크스의 경우를 각각 FC-3 및 FC-6으로 명명하였 으며, 해당 코크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 또한 동일하게 명명 하였다.
2.3. 탄소블럭 제조
탄소블럭 제조를 위하여 필러인 코크스와 결합재인 바인더피치를 기초 실험을 통하여 8 : 2의 무게비로 혼합한 후, 사용된 바인더피치의 연화점 보다 약 50 ℃ 높은 온도인 157 ± 1 ℃에서 20 min간 300 rpm 으로 교반하는 니딩 공정을 거쳐 바인더피치가 코크스 코팅된 코크스 를 얻었다. 니딩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분말은 150 μm 이하로 체분급 후 10 × 10 × 10 mm3의 규격의 금형 몰드에 주입하여 고온고압 성형 기(hot press)를 이용해 157 ± 1 ℃의 온도에서 5,000 kgf의 힘을 단방 향으로 5 min 동안 유지한 후 자연 냉각시켜 탄소블럭을 제조하였다.
2.4. 코크스 및 탄소블럭 특성 분석
불소화 표면처리 된 코크스의 표면 원소 분석은 X-ray photoelectron sepctroscopy (XPS, MultiLab 2000 spectrometer, England)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접촉각은 증류수(DI water)와 디아이오도메탄 (diiodomethane)을 이용하여 각 5회 측정하여 산술 평균하였다. 제조 된 탄소블럭의 코크스와 피치의 형상을 관찰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Hitachi, SU-8230)을 이용하였다. 탄소블럭의 진밀도는 헬륨 분위기하에서 진밀도 측정기(gas pycnometer, Micromeritics, AccuPyc 134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 코크스/바인더피치의 젖음성 평가
불소화 표면처리된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바인더피치를 10 × 10 × 10 mm3의 규격의 금형 몰드에 주입 하여 고온고압 성형기(hot press)를 이용해 100 ± 1 ℃의 온도에서 5,000 kgf의 힘을 단방향으로 5 min 동안 유지한 후 자연 냉각시켜 정 육면체 상의 바인더피치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바인더 피치 성형체를 불소화 된 코크스 분말이 주입된 알루미나 보트에 위 치시킨 후 박스형 전기로에 넣어서 질소분위기 하에 5 ℃/min의 속도 로 200 ℃까지 승온한다. 이때 코크스 분말 위에 놓여진 바인더피치 성형체의 거동을 확인하여 젖음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에 젖음성 평가장비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3. 결과 및 고찰
3.1. 불소화 표면처리에 따른 코크스의 표면화학적 특성
미처리 및 불소화 표면처리 조건에 따른 코크스의 표면화학적 특성 을 XPS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Figure 2 및 Table 1에 나타내었 다. Figure 2의 XPS survey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크스는 284.5 eV의 결합에너지에서 C1s 피크가, 531.0 eV의 결합에너지에서 O1s 피크가 관찰되며, 불소화 표면처리 된 코크스의 경우 C1s 피크 및 O1s 피크 외에도 687.7 eV의 결합에너지에서 F1s 피크가 추가적으 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2,23]. 또한, 불소화 표면처리 시 불소가스의 부분압이 증가할수록 F1s 피크의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입된 원소의 함량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XPS 원소분석 으로부터 탄소, 산소 및 불소 원소의 표면 함량값을 Table 1에 나타내 었다. Table 1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불소화 처리로 인하여 표면에 불소 원소가 발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불소가스의 부분압(N2 : F2 비율)이 7 : 3에서 4 : 6으로 증가할수록 코크스 표면에서의 불소원소 의 함량이 9.78에서 24.14 at%로 증가함을 보였다. 이때, 산소 원소의 함량은 불소화 표면처리 전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탄소 원 소의 함량은 불소 가스의 부분압이 감소할수록 감소함을 보였다. 이 는 불소화 표면처리 시 불소 가스가 코크스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 보 다는 탄소와 주로 결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불소화 표면처리된 코크스의 표면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류수와 디아이오도메탄 2종의 용매를 이용해 접촉각을 측정하였으 며, 이를 Figure 3에 나타내었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RC, FC-3 및 FC-6의 접촉각은 각각 100.7° (± 0.97), 107.6° (± 1.61) 그리 고 126.7° (± 1.85)로 코크스 표면에 불소원소의 도입량이 많을수록 그 값이 커짐을 보였으며, 미처리된 코크스의 접촉각 대비 최대 25.8% 증가하였다. 또한, 디아이오도메탄을 이용하여 측정한 RC, FC-3 그리고 FC-6의 접촉각은 각각 1.8° (± 0.84), 22.0° (± 1.41) 그리 고 64.8° (± 2.73)로 코크스 표면에 불소원소 도입량이 많을수록 증류 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접촉각 결과 보다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이러 한 결과로부터 불소원소가 도입된 코크스는 소수성을 갖는 동시에 소 유성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성질은 소수성인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 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24-26].
3.2. 코크스/바인더피치의 젖음성
불소화 표면처리에 따른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의 젖음성을 Figure 1 과 같이 전기로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코크스 분말 위에 놓여진 정 육면체 바인더피치 성형체가 녹는 것을 촬영하여 Figure 4에 나타내 었다. 바인더피치 성형체는 사용된 바인더피치의 연화점인 107 ℃보 다 높은 110 ± 1 ℃에서 녹기 시작하여 그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바인 더피치의 녹는양이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4에서 보는 것 처럼, 동일한 바인더피치를 사용하였으므로 약 170 ℃ 이전의 온도에 서 코크스 표면과의 거동이 모든 샘플에서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다 [27]. 그러나, 170 ℃ 이상의 온도에서 바인더피치 성형체의 하단부분 이 녹아서 유동성을 갖는 바인더 피치가 불소화 여부에 따른 코크스 표면과 맞닿았기 때문에, 불소화 표면처리 정도에 따라 코크스와 바인 더피치 간의 거동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170 ℃에서 불소원소가 많이 도입된 FC-6의 경우, 바인더피치와 코크스의 경계면에서 생긴 접 촉각 각도가 RC와 FC-3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각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200 ℃에서 측정된 결과에서는 미처리된 코크스 위의 바 인더피치는 모두 녹았음에도 불구하고 코크스 표면에 전반적으로 펼 쳐지지 못하고 바인더피치끼리 응집되어 있는 형태를 보였으며, 이때 의 코크스 표면과 바인더피치와의 접촉각은 102°로 관찰되었다. 한편, 불소화 표면처리된 FC-3과 FC-6의 경우 불소화된 코크스 표면 전체에 유동성을 갖는 바인더피치가 펼쳐진 형상을 보였으며, 불소원소가 많 이 도입된 FC-6 코크스 표면에서는 바인더피치가 코크스 분말 사이로 침투하여서 피치성형체의 높이가 낮아진 것을 보였으며, 이때 FC-3과 FC-6의 접촉각은 각각 78° 그리고 36°로 200 ℃에서 측정된 RC의 접 촉각보다 각각 23.5, 64.7% 감소하여 젖음성이 최대 64.7% 증가했음 을 확인하였다. 이는 접촉각 측정 결과로부터 확인된 소수성으로 표면 개질된 코크스가 소수성인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을 향상시켜 코크스 입자 사이로 침투가 잘 된 것으로 판단된다[16-19].
3.3. 탄소블럭의 형상 및 밀도
제조된 탄소블럭의 파단면(Figure 5(a-1), (a-2), (b-1), (b-2), (c-1), (c-2))과 육각성형체로 제조된 탄소블럭의 한 면(Figure 5(a-3), (b-3), (c-3))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여 Figure 5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모두 바인더피치가 녹아서 코크스 입자를 둘러 쌓은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코크스 입자와 바인더피치의 젖음성이 낮은 RC의 경우 Figure 5의 (a-1), (a-2), (a-3)와 같이 결합재인 바인더 피치가 코크스 입자를 완전히 코팅하지 못하고 코크스 입자가 부분부 분 노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5의 (b-1), (b-2), (b-3)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불소화 표면처리가 된 코크스를 이용하여 탄 소블럭을 제조할 경우 미처리 샘플인 RC보다 코크스입자와 바인더피 치가 훨씬 더 융합되어 있는 형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실험 에서 불소원소가 가장 많이 도입된 코크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FC-6의 경우에는 탄소블럭의 파단면과 육각성형체 면에서 모두 코크스 입자 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다. 이는 도입된 불소원소에 의하여 젖음성이 향상되어 니딩 공정 시 코크스 입자 표면에 바인더피치가 온전히 코 팅되었으며, 또한 제조된 탄소블럭의 표면에서도 코크스 입자와 바인 더피치가 분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제조된 탄소블럭은 헬륨가스를 이용하여 진밀도를 각 샘플 당 5회씩 측정하였고, 평균값을 구하여 Figure 6에 나타내었다[28,29]. 미처리된 코크스 RC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의 진밀도는 1.85 ± 0.0071 g/cm3, 불소화 표면처리된 코크스 FC-3 및 FC-6을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의 진밀도는 각각 1.87 ± 0.0057, 1.91 ± 0.013 g/cm3 로, 불소화 표면처리된 코크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의 진밀도 는 코크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의 진밀도 보다 최대 3.8% 증 가하였다. 이는 불소화 표면처리법으로 코크스 표면에 도입된 불소원 소가 소수성을 가져 유사한 성질을 갖는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을 향 상시켜 니딩 공정 시 코크스 입자에 바인더피치 코팅이 균일하게 되 어 최종 탄소블럭 제조 시에 폐공극 및 폐기공이 적은 탄소블럭을 제 조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코크스 표면에 도입된 불소원소가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과 탄소블럭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코크스 에 불소화 표면처리하여 불소원소를 도입시킨 후 바인더피치와 니딩 공정을 거쳐 탄소블럭을 제조하였다. 코크스에 불소 표면처리 후 불소 원소 도입량이 증가할수록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이 향상하는 것을 바인더 피치와 코크스 계면의 접촉각으로부터 확인을 하였으며 최대 64.7% 향상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소원소가 도입된 코크스와 바인 더피치로부터 제조된 탄소블럭은 향상된 젖음성 때문에 미처리된 코 크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블럭 보다 밀도가 최대 3.8% 증가하였다. 따라서 코크스 표면에 도입된 불소원소는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을 증진시키고, 최종 제조된 탄소블럭의 기공 및 공극을 감소시켜 밀도를 향상시켜 탄소블럭의 고밀도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